부정맥중 대표적 질환 심방세동

  • 등록 2020.02.10 15:52:47
크게보기

실내외  온도차가  심한  겨울철에는  심혈관질환  위험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심장에 무리가 오기 쉽기 때문이다.    급성심장질환으로  인한 돌연사 중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부정맥’이다.
인간의  심장은 일반적으로  분당  60~100회  정도 규칙적인  펌프질 을 반복한다.   이러한 심장박동에  문제가 생겨  맥박이 정상적인  리듬을  잃고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부정맥이라고 한다.


심방세동 유병률 상승…뇌졸중 등 급성 심뇌혈관질환 유발
심장이 어떤 식으로  불규칙하게  뛰느냐에  따라 부정맥의  종류가 달라지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심방세동’이다.    심방세동은  불규칙한  맥박이 나타나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주로  고혈압,   심부전,   판막질환 등에  동반되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심장은 수축된  후 심실을  수축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가  정해진 회로를  통해  내려간다.   반면심방세동은  심장이 매우 빠르게  뛰기 때문에  심실에 정확한  수축 신호를  보내주지 못하게  되어 불규칙한 심전도  파형을 보인다.


심방세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가파르게  상승한다.    노화로  인해탄력을  잃은  심방에서  이상 전기  신호가  다발적으로  나타나  발생하는 것이다.    급속도로  고령사회에  접어들며  자연스럽게 국내  심방세동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보인다.


문제는 이같은  심방세동이  심장 안에 ‘혈전’을  만드는  것이다.    혈전은 선지처럼  응고된  핏덩어리인데  커지면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퍼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혈전이  뇌혈관으로  흘러가면  뇌졸중(중풍)의 주요 원인이 되며,  2017년 질병관리본부  자료에  따르 면 심방세동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뇌졸중 위험이 5배가량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


심방세동은  가장 큰 원인이  노화인  퇴행성 질환이다.   금연 및 금주,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혈관을 깨끗하게  관리해야 하며,  건강검진을  통해  본인의 혈관과   맥박 상태를  주기적으로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냉각풍선도자절제술,  발작성 심방세동에   5% 이상 치료 효과
심방세동 등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약물 치료를  받고도  심방세동이나타나는  경우 환자의  연령,  기저질환,  심방세동의  형태,  심장의 크기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전극도자 또
는  냉각풍선도자절제술  치료를  시행한다.   심방세동은치료가  지연될수록  약물치료와  시술의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해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냉각풍선도자절제술은  심방세동을  유발하는  폐정맥의  입구를  특수 설계된 풍선으로  밀착시키고 여기에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영하 40도 이하로  급속 냉각시키는 방법이다.   폐정맥  입구 주변의  좌심방  조직을얼려서  전기 흐름을  제거해  부정맥이  심장으로  나오지못하게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방법이다.


대규모 연구를  통해 심방세동에  대한 일반적 시술인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과  동등한  치료 효과가 입증되었다.   특히 심방세동의  초기 단계인  발작성 심방세동은  냉각풍선도자절제술  한 번으로  85% 이상 치료
가 가능하다.   또한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에  비해 시술 시간이  짧고 안전하여  시술 후 환자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냉각풍선도자절제술은  심방세동이  만성화되기 전초기에  시행할수록  치료 성공률이 높다.  냉각풍선도자절제술은  시술 시간이  짧고  전신마취 없이  수면 진정  상태에서  1시간 정도에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어 시술 후 환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  풍선냉각도자절제술은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성공이  좌우되는 고난도  시술에  속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


몰라서 병 키우는 심방세동…예방이 최선
대한부정맥학회가  실시한 ‘부정맥 질환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9명 이상이  심방세동에 대해잘  모르거나  들어본 적이 없었다.  부정맥 환자들조차 4명 중 1명만 알고 있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환자가  계속 늘고 있는  만큼 심방세동  조기 진단과  관리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심방세동은  증상이  없거나 가슴  두근거림 정도의  경미한 증상만  겪는다.   이 때문에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65세  이상이거나,  고혈압,  당뇨,  심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가족력이  있다면  주기적인  심전도 검사를 권장한다.


특히  겨울철에 발생할 수 있는 부정맥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몸이 갑자기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이른 새벽  야외 운동은  피하고, 기온이  낮은 시간대에  나가야 한다면  체온 유지를  위한 보온
에 신경 써야한다.   너무 뜨거운 물로  목욕하는 것  또한  삼가는 것이 좋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해  규칙적으로 실행한다.   다만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노승영교수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