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과 바이러스 간염

  • 등록 2020.02.11 17:09:06
크게보기

면역력이 약한 임산부 A형 간염에 특히 취약

고령임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임신과  출산에 따른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혼을  앞뒀거나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분들은  꼼꼼하게  산전검사를  받고  건강한  임신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


B형 간염  항원 및  항체검사는  산전 검사 시에  함께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신 중  간기능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약 10% 정도다.   임신 중에  간염에  걸리거나  이미  만성 간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태아에게  감염되는 것은  물론이고  유산,  조산,  기형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산모에게  간염이  있어도  자궁 속에  있는  태아에게는  거의  전염되지  않지만 분만 시에  B형간염  만성  보유자인  산모의  혈액 등  체액이  태아에게  묻어 감염되거나  신생아기에  모체와의  잦은 접촉으로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출생 전 후 감염된  아기 중에는  드물게  심한  간염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산모의 B 형간염이  태아에게  감염될  확률은  B형간염  바이러스  상태에  따라  다르다.   임산부가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가 전염력과  번식력이  왕성하면  태아에게  감염될  확률은  85~90% 정도,  만약 약하다면  10~15%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바이러스  농도가  높은  임산부는  임신 3분기에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여  자궁내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A형간염은  특히  임산부들의  관심이  높다.   2010년  질병관리본부  통계에  따르면  A형간염  환자의  80%가  20~30대의  가임기인 것으로 조사됐다.  면역력이  약한 임산부들은  특히  A형 간염에  취약하다.   대다수  산모들은  태아에게  영향을 줄 까봐  걱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다행히도  모체에  감염된  A형간염 바이러스는  태아에게  감염될  위험이  낮다.


조산이나  기형 등과의  연관도  없는 것으로  보고되기  때문에  태아의  건강은  안심해도  좋다.   또  임산부도  급성기에  발생할 수 있는  1% 이하의  전격성  간 괴사가  생기지 않는  한  완전히  회복 가능하다.


C형간염  바이러스를  보유한  산모의  경우는  분만 중태아  감염률은  5%  이하에  그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산모나  태아가  바이러스 간염의  위험으로 부터  벗어나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예방접종이다.   만약  A형간염과  B형간염 바이러스의  항원과  항체가  없다면  예방접종 을 통해  항원과 항체를  형성해야만  임신 중에  간염이  걸리더라도  안심할 수 있다.   예방접종  시에는 추가접종까지  완벽하게  맞아 두는 것이 좋다.


A형간염과  B형간염  예방백신은  임신을  한 후에  맞아도  태아에게  해롭지 않다고  알려졌지만  아직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임신 중에  가장 문제가 되는  간질환은  임신중독증과  동반된  간질환과  간염이다.   드물게  생기기는  하지만 이는  산모 사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특히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임산부는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체중을  조절해서  지방간을  예방해야 한다.


임신을  하면  체액이  20% 정도,  콜레스테롤이  25~50%  정도 증가하고  중성지방이  150%  정도  높아져 간에  축적되기  때문에  지방간 등 간 기능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지방간으로  인한 간기능  이상은  대개   임신  중기까지  나타나다가  말기쯤  회복된다.


임신  중독증은  분만을  하면 저절로  빠르게  좋아진다.    임신중독증을  심하게  앓고 있는  산모가  명치  끝이나  간 쪽에  통증이  심하다면  간 출혈이나   혈종,  간 파열의  가능성을  의심해야하고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서  빨리 진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



장재영교수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