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객 사망 원인 1위 심장질환, 안전한 등산하려면

  • 등록 2020.05.25 17:00:51
크게보기

흔히 등산 사고는 실족으로 인한 골절 등을 생각하기 쉽지만, 사망까지 이르는 사고는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고가 가장 많다. 특히 기온차가 큰 5~6월은 등산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 내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 124건 중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 사고는 60건으로 48%에 달했다. 이에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박창범 교수는 “외국에서 시행되었던 연구에 의하면 등산하다가 심장질환과 같은 이유로 급사하는 확률이 같은 나이의 사람들에 비해 약 4배 높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등산을 하다가 심장질환과 같은 이유로 급사할 확률은 나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며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15~20배가 높다고 한다. 이렇게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원인은 등산을 즐기는 사람들이 중년이상의 남성들이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를 보면, 2019년 허혈성심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50~60대 남성은 336,310명으로, 전체 환자 94만여 명 중 35.6%를 차지했다. 실제로 심장 질환 사고 등산객은 모두 남성이었다.

 
등산은 추운 환경에서 매우 강도 높은 활동 중의 하나로 특히 높은 고도에서 낮은 산소농도와 함께 많은 신체활동으로 인하여 탈수가 쉽게 발생한다. 이로 인해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맥박이 증가하고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신체변화로 인해 심장의 운동량이 증가한다. 심장의 운동량 증가는 허혈성심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흉통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심장병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도 산속의 낮은 온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운동으로 인한 과다호흡이 발생하면 심장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소판기능이 활성화되어 급성심근경색과 같은 급성 허혈성심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이런 사고들이 주로 늦은 아침에 많이 발생하고 음식이나 물을 섭취한 기간과 비례하여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한다. 늦은 아침에 잘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박창범 교수는 “등산은 주로 아침 일찍 시작하는데, 늦은 아침이 되면 등산으로 인한 갑작스런 운동량 증가와 함께 탈수, 저장된 탄수화물을 소비하여 허기를 느끼는 시기가 된다. 이러한 변화가 몸의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신체변화를 일으켜 급성 허혈성심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등산 중에 급성허혈성심질환이 발생하는 경우, 들것이나 헬리콥터로 이송해야 되므로 치료까지 시간이 많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전에 협심증이나 급성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심장질환을 가진 남성의 경우, 등산을 할 때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간간히 등산과 같은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것 보다는 평소에 규칙적으로 일주일에 3~4회 이상 유산소 운동으로 몸을 단련하고 적응한 상태에서 등산을 즐기는 것이 좋다. 또한, 남들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빨리 오르는 것 보다는 본인 스스로 강도와 속도를 조절하면서 충분한 휴식을 하면서 천천히 등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등산할 때 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고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심장병 환자 건강한 등산 수칙 5가지


1. 복용 중인 약 잘 챙기기
- 아스피린 등 복용중인 약을 잘 챙긴다. 니트로글리세린은 비상용으로 등산 시에 꼭 지참한다.


2. 충분한 휴식 취하기
- 등산 중간에 충분한 휴식을 통해 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유의한다. 약간 숨이 차는 정도가 넘어가면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3. 적절한 수분 섭취하기
- 탈수는 심장병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다. 야외활동이나 운동 중에는 10% 이상 수분 보충이 더 필요하므로, 등산 중간중간 적절히 수분을 섭취한다.


4. 구급 처치 방법 익히기
- 최근에는 등산로에 자동재세동기 등이 보급되는 등 심정지 상태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있다. 비상약은 물론 구급처치 방법을 습득하면 심장병 경고 증상에 즉각 대처할 수 있다.


5. 금연, 저염식 등 생활습관 바꾸기
- 심근경색증은 무엇보다도 생활 관리가 중요하다. 먼저 흡연은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인 만큼 금연하는 것이 좋다. 식사는 저염식과 덜 기름진 음식 위주로 바꾸는 것이 안전하며, 규칙적인 운동과 적당량의 섭취를 통해 복부 비만을 줄이는 것도 좋다.

김향숙 기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