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병원장 고동현 신부)은 최근 마취통증의학과 김영욱 교수 가 경추 신경근협착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새로운 영상의학적 기준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경추 신경근협착증은 목 부위의 척추관 또는 신경공(신경이 지나는 통로)이 좁아져 신경근을 압박해 여러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로 노화로 인한 척추관 변형, 퇴행성 변화, 잘못된 자세 등으로 발생하며 ▲목 통증 ▲어깨·팔·손 저림 ▲근력 약화 ▲감각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김영욱 교수는 “경추 신경근협착증의 진단은 X-Ray, CT, MRI 등의 영상 검사로 진행하지만 지금까지 영상학적, 형태학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 김 영욱 교수 객관적인 진단 기준을 마련하는 데 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경추 신경근협착증 환자 154명과 정상인 150명을 대상으로 경추 MRI를 촬영해 경추 5-6번(C5/6)의 신경공 단면적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경추 신경근협착증 환자의 신경공 단면적은 평균 25.65±7.19㎟로 정상인의 43.00±8.38㎟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특히 진단 지표의 성능을 평가하는 ROC 곡선 분석에서 신경공 단면적을 33.02㎟로 설정할 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6.4%, 86.7%를 기록했다.
또한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도구의 진단 정확도를 나타내는 통계 기법인 AUC(ROC 곡선 아래 면적)는 0.94를 기록하며 높은 진단 정확도를 입증했다. 일반적으로 AUC는 1에 가까울수록 성능이 뛰어나고, 0.8이상인 경우 고성능 예측 모델로 평가한다.
김영욱 교수는 “기존 경추 신경근협착증 진단은 판독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 연구는 객관적 지표를 처음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정밀하고 표준화된 진단이 가능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영욱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C6 신경근 증상(목에서 팔로 뻗는 통증 또는 저림)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조기 진단과 함께 시술 또는 수술 결정에 유용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Determination of the Most Suitable Cut-Off Point of the Cervical Foraminal Cross-Sectional Area at the C5/6 Level to Predict Cervical Foraminal Bony Stenosis”라는 제목으로 SCIE 국제 학술지인 Tomography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