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16 (목)

  • 구름조금동두천 2.7℃
  • 구름많음강릉 16.2℃
  • 황사서울 4.4℃
  • 구름많음대전 8.6℃
  • 구름많음대구 16.0℃
  • 구름조금울산 14.7℃
  • 흐림광주 9.5℃
  • 구름많음부산 14.7℃
  • 흐림고창 6.3℃
  • 구름많음제주 13.1℃
  • 구름조금강화 3.2℃
  • 맑음보은 7.9℃
  • 구름조금금산 8.7℃
  • 흐림강진군 11.5℃
  • 구름많음경주시 13.6℃
  • 구름많음거제 14.8℃
기상청 제공

미세먼지가 암 전이 위험 높인다

대식세포 통해 암 전이 증가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진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질환연구센터 박영준 박사 연구팀

몸 속으로 침투한 미세먼지가 암세포 이동과 확산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질환연구센터 박영준 박사는  "미세먼지가 암의 전이에도 관여할 수 있으며, 대식세포를 통해 암 전이가 증가하기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이를 통해 미세먼지의 유해성을 다시 한번 경고하고 미세먼지 대응의 심각성을 인식시켜 미세먼지 발생 억제와 대응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박영준 박사(왼쪽)와 박승호 박사

 

미국 시카고대학 에너지정책연구소(EPIC)에 따르면, 인간의 수명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으로 인해 평균적으로 2.2년가량 단축된다. 대기오염이 흡연(1.9년)이나 음주 및 마약(9개월), 에이즈(4개월)와 전쟁(7개월)보다 수명에 더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규정하는 등 사실상 미세먼지는 사회 재난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미세먼지의 위해성은 잘 알려져 있지만, 암 전이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미비했다.

 

연구진은 실제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고 폐 대식세포가 미세먼지에 노출됐을 때 실험쥐의 변화를 분석했다. 그결과, 폐암에 걸린 실험쥐를 미세먼제 환경에 노출하자 암의 전이가 증가하고, HBEGF 억제제를 투입하자 전이가 억제됐다.

 

즉, 대식세포가 미세먼지에 자극받으면 이로 인해 분비되는 단백질이 암세포의 전이 위험성을 증가시켰다. 또 미세먼지에 노출됐을 때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은 폐의 면역세포, 그중에서도 선천성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였다. 이를 감안해 미세먼지에 노출된 폐 대식세포 배양액을 암세포와 반응시켰다. 암세포의 표피 생장 인자 수용체(EGFR)가 활성화되며 이동성이 증가하고, EGFR과 결합해 암 증식에 관여하는 화합물 'HBEGF'도 증가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생화학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실험 및 분자 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최신호에 발표했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