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기립성 혈압 변동이 노년 건강 위협한다

  • 등록 2024.07.22 15:53:40
크게보기

고혈압 노인이 기립성 고혈압 있으면 노쇠 상승, 인지기능과 삶의 질 저하 확인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 최정연 교수, 강원대병원 류동열 교수 연구팀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최정연 교수, 강원대병원 류동열 교수 연구팀은 노인 고혈압 환자의 기립성 고혈압이 노쇠(Frailty), 인지기능, 삶의 질과 연관이 깊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대한고혈압학회에서 발간한 ‘2023년 고혈압 팩트시트(Factsheet)’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혈압 유병률은 60대에서 50%, 70대 이상에서는 60%를 넘어선다. 세계 주요국 중 고령인구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국내 노인 고혈압 환자 수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 김 광일 교수     최 정연 교수        류 동열 교수

 

이러한 노인 고혈압은 노화로 인한 여러 장기의 이상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젊은 연령의 고혈압과는 다르게 전반적인 평가와 포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노인 고혈압에 대한 최적 관리모델을 찾는 국내 다기관 연구 ‘HOWOLD-BP’ 주도하며 기립성 혈압 변동과 노년 건강을 위협하는 노쇠, 인지기능 저하, 삶의 질 저하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기립성 혈압 변동은 누운 자세에서 서있는 자세로 변경할 때 혈압이 변하는 증상으로, 혈압이 지나치게 낮아져서(기립성 저혈압) 어지럼증, 낙상을 유발하거나, 반대로 혈압이 높아지는 현상(기립성 고혈압)이 나타난다. 자율신경계 조절의 이상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 미국 등에서는 노인 고혈압 환자에게 검사를 시행하도록 권장되고 있는 항목이다.

 

연구팀은 HOWOLD-BP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12개 국립대병원에서 모집한 2,065명의 노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기립성 혈압 변동 검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했다.

 

[그림1. 기립성 혈압 변동 검사]

*그림 설명 : 누워있을 때 혈압보다 기립 후 3분 뒤 수축기 혈압이

20 mmHg 이상 증가할 경우 기립성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먼저 노인 고혈압 환자의 4.6%는 기립성 고혈압을, 4.1%의 기립성 저혈압 소견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합산 시 기립성 혈압 변동 소견을 보이는 비율은 전체의 9% 수준으로, 5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국내 노인 고혈압 인구수를 고려하면 수십만 명이 그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연구팀은 이들 중 기립성 고혈압 소견을 보이는 고혈압 환자에서 노쇠 비율이 높다는 점을 확인하기도 했다. 기립성 혈압 변동이 정상인 노인 고혈압 환자에서 노쇠 전 단계는 23%, 노쇠는 4% 수준의 비율을 보인 반면, 기립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는 노쇠 전 단계 38%, 노쇠는 8% 수준으로 대조군보다 크게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표1. 기립성 혈압 변동이 정상인 고혈압 환자와 기립성 고혈압 환자의 노쇠 및 노쇠 전 단계 비율

 

이외에도 기립성 고혈압 소견을 보인 환자는 인지기능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하여 기립성 고혈압이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와도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삶의 질 평가 설문조사에서도 ▶일상활동 유지 ▶운동능력 ▶통증 ▶불편 등 항목들에서 대조군에 비해 점수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김광일 교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국내 현실을 고려할 때 향후 노인 고혈압 환자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구를 통해 노인 고혈압 환자 중에서도 기립성 혈압 변화와 노쇠, 인지기능 저하 간의 연관성이 깊다는 사실을 밝힌 만큼,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혈압 관리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미국심장학회 공식 학술지인 ‘Hypertension’(IF 8.3)에 게재됐다. 또한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3일까지 베를린에서 개최된 세계적 권위 학술대회인 ‘2024 유럽고혈압학회’에서도 구연 발표되며 학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클리닉저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