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가장 큰 원인 흡연

  • 등록 2024.11.19 14:46:34
크게보기

70~80% 흡연과 연관,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COPD 발생 가능성 높고,15~20% 질환 앓아
폐 기능 검사 등 정기검진 통한 조기 진단은 환자의 증상 경감시키고 중증으로 진행 막는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최준영 교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증상 없이 서서히 폐 기능을 약화하기 때문에 조기 관리와 예방이 특히 중요하다.  COPD의 예방법에 대해 최준영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함께 알아보도록 한다.

 

COPD는 담배를 피우거나 직업적 유해가스 노출, 공기 오염, 폐 감염 등에 의해 기관지와 폐에 만성 염증이 발생해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COPD의 가장 큰 원인은 흡연이다. 70~80%가 흡연과 연관된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COPD 발생 가능성이 높고, 흡연자의 15~20%가 이 질환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준영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만성 염증으로 기관지가 좁아지고 폐 조직이 손상되면 폐기종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기도가 좁아져 숨을 쉴 때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해 호흡이 어려워진다”며 “COPD는 기류 제한이 점점

   ▲ 최 준영 교수       진행될 수 있고 결국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고 말했다.

 

  COPD의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과 지속적인 기침, 가래다.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해 일상에서 쉽게 지나치기 쉽지만, 병이 진행되면 호흡이 어렵고 흉부에 압박감이 동반되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특히 흡연자는 COPD 증상을 흡연에 의한 일반적인 기침이나 숨 가쁨으로 착각해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초기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준영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COPD는 질환의 빈도나 심각성에 비해 환자들이 자신의 상태를 모르고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며 “위험 요소가 있는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폐 검진을 받고,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COPD는 폐 기능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오랜 흡연력이나 위험 요소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폐 기능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또 흉부 X선 촬영, 전산화단층촬영(CT)을 통해 다른 호흡기 질환과 구별할 수 있다. 중증 환자의 경우 동맥혈 가스를 검사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포화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COPD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연이다. 나이에 상관없이 모든 COPD 환자는 금연을 통해 폐 기능 악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기관지 확장제, 흡입 스테로이드 등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고령의 환자에게는 폐렴구균이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이 감염에 의한 급성 악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도 필요하다. 일상적인 운동은 호흡곤란을 완화하고 우울함이나 불안 등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재활치료와 약물치료 또한 증상 개선과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준다. 특히 40세가 넘은 흡연자라면 주기적으로 흉부 X선을 찍어 폐 건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최준영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폐 기능 검사 등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진단은 환자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중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의학의 발달로 COPD 역시 꾸준히 관리하면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질환이 되는 만큼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클리닉저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