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병원장 윤승규)이 2025년 1월 1일부로 ‘심정지 예측 AI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 환자 안전 강화를 위한 디지털 혁신에 나섰다.
AI 기반 심정지 예측 시스템은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심정지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예측한다. 심박수, 혈압, 호흡수, 체온 등 주요 생체 신호와 혈액검사 결과 및 환자의 나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의료진이 위급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존 시스템 대비 높은 정확도를 자랑하는 이 기술은 의료진의 판단력을 보조하며 더욱 정밀한 치료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병원은 이러한 기술을 통해 환자 맞춤형 의료
▲강 원경 의무원장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마트 병원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강원경 의무원장은 “AI 심정지 예측 시스템 도입은 환자 생명을 보호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으로서 의미가 있다.”면서 “의료진 전문성과 AI 기술이 결합한 혁신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내첨) ※ 강원경 여의도성모병원 의무원장과의 1문 1답
AI 기반 심정지 예측 시스템에 대한 현재 의료진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다. 환자 모니터링이 강화되고 무엇보다 의료진이 보다 중요한 결정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번 도입으로 여의도성모병원의 스마트 병원 전환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이는데?
맞다. 최근 의료계는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저희 병원 역시 AI를 활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다방면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번 심정지 예측 시스템 도입은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로 가는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이다.
◈사진】여의도성모병원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