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행정학회(회장 정형선, 부회장 박은철·권순만)는 민주주의와 복지국가 연구회(대표의원 강창일·인재근), 국회의원 김상희와 공동주최로 6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의 미래, 신약 개발이 답이다’를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정부가 4대 신산업 중 하나로 선정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에 대한 해답을 신약에서 찾고 신약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환경 조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는 국회의원 김상희, 국회의원 윤일규, 한국보건행정학회 박은철 부회장을 비롯해 학계, 유관부처, 업계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주제발제자로 나선 미국제약협회(The Pharmaceutical Research and Manufacturers of America, PhRMA) 보건정책 총괄 책임 케빈 헤닌저(Kevin Haninger) 부사장(보건정책학 박사)은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및 정책 현황’을 주제로 혁신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과 각국의 관련 정책을 소개했다. 그는 “2006년부터 2017년 까지 전세계적으로 1조 8천억 달러 이상이 신약 R&D에 투자된 바 있다. 그러나 바이오헬스 신약의 환자 접근성은 국가별로 크게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혁신 신약의 개발은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 세수 확보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파급효과를 내고 있다”며, “새로운 혁신 치료제를 연구ž개발하여 환자들에게 그 혜택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급 연구 인력, 지적재산권 확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규제 등 적절한 정책적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전문가 패널 토론에서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문옥륜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한국다발성골수종 환우회 백민환 대표, 한겨레신문 김양중 의료전문 기자,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김영호 과장,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의약품정책과 이남희 과장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좌장을 맡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문옥륜 명예교수는 “글로벌 수준의 신약 개발을 통한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공통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외 선진 국가의 정책 환경이나 신약 성공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는 등 학계 및 업계, 관계 부처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공통된 노력이 요구된다”며 화두를 던졌다.
한국다발성골수종 환우회 백민환 대표는 “최근 한국다발성골수종 환우회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암 환자들이 질병 재발에 대한 두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하며, “신약이 진정한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개발에 그칠 것이 아니라 환자의 접근성이 보장되는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겨레신문 김양중 의료전문 기자는 “신약이 인정받기 위해서는 경제성 및 효용성 측면에서 기존의 치료제보다 월등히 개선됐음을 의학적 근거를 통해 증명해야 한다”며, “바이오 신약으로 인한 혜택을 환자들이 누릴 수 있도록 적정한 약가 선정 또한 뒷받침 돼야 할 것이다“고 의견을 개진했다.
이어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김영호 과장은 “신약 개발을 위해서 대규모의 재정적 투자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총체적인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부에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하며, “산학협력을 비롯해 노하우가 축적된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업 추진 등 신약 개발의 에코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의약품정책과 이남희 과장은 신약 인허가에 대한 국내 정책 방향성을 설명하며 "글로벌 수준으로 국내 규제 환경을 끌어올리기 위해 인허가 과정을 투명하게 하고 심사의 전문성을 보다 강화할 것"이라며, "신속심사제도, 제출 자료 간소화 등을 추진하여 신약 개발을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