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7 (목)

  • 구름많음동두천 4.0℃
  • 흐림강릉 4.2℃
  • 구름많음서울 5.4℃
  • 구름조금대전 5.9℃
  • 구름많음대구 6.3℃
  • 울산 4.8℃
  • 구름많음광주 6.2℃
  • 구름많음부산 10.5℃
  • 흐림고창 5.6℃
  • 맑음제주 9.8℃
  • 흐림강화 4.5℃
  • 흐림보은 3.7℃
  • 구름많음금산 6.2℃
  • 구름조금강진군 9.0℃
  • 흐림경주시 5.4℃
  • 구름많음거제 9.4℃
기상청 제공

제약

국내 당뇨 환자, 인슐린 치료 전환 15~17년 소요

당뇨병 진단 시 당화혈색소가 9.0%를 초과하면서 대사적 이상이 동반될 때 인슐린 치료를 권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당뇨환자에게 인슐린 치료 전환은 쉽지 않다. 인슐린 치료를 시작하면 환자들이 실패감, 자괴감을 겪기 때문이다.


여의도성모병원 권혁상 교수는 27일 사노피 미디어클래스에서 경구혈당강하제 최대용량으로도 당화혈색소 조절이 실패하는 등의 환자에서 인슐린 치료는 권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경구약제로 혈당조절이 잘 된다면 상관이 없지만, 혈당조절이 어려운데도 무작정 인슐린 치료를 거부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설명이다.


권 교수는 인슐린은 혈당강하효과가 가장 강력한 약제이지만, 특히 국내 환자에서는 인슐린 처방 지연이 흔한 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국내 인슐린 처방률은 2009년 이후 지속 감소하여 2016년에는 9.1%로 보고됐다.


대개 당뇨 초기에는 경구 한 알로 치료를 시작한다. 이후 1.6~2.9년이 지나면 2제 복합으로 넘어간다.

6.9~7.2년 정도 2제를 유지하다가 3제 복합을 경구투여하고, 이후에도 혈당조절이 안되는 경우에 평균 6~7.1년이 더 지나 인슐린 치료를 시작한다. 인슐린 투여까지 15~17년이 걸리는 것이다.
 
권 교수는 인슐린 약제를 쓰기까지 처방 지연이 되는 장애요소로는 ▲환자의 자괴감, ▲저혈당 공포, ▲제형이 복잡하다는 점, ▲체중증가 공포, ▲주사 공포증 등을 꼽았다.
 
권혁상 교수는 "임상현장에서 인슐린 치료율은 계속 줄고 있다. 4제를 사용해 치료하더라도 인슐린 투여는 꺼린다. 문제는 처음 진단 시 당화혈색소 9.0%가 넘은 환자와 같이 꼭 필요한 상황에서도 기피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권 교수는 이런 상황에서는 단기간이라도 인슐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며,  환자의 췌장 베타세포 보호를 위해서도 인슐린 치료법은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