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2.0℃
  • 흐림강릉 9.5℃
  • 흐림서울 12.4℃
  • 대전 18.6℃
  • 흐림대구 21.6℃
  • 흐림울산 20.3℃
  • 광주 18.3℃
  • 흐림부산 18.3℃
  • 구름많음고창 17.8℃
  • 흐림제주 18.6℃
  • 맑음강화 10.4℃
  • 구름많음보은 18.4℃
  • 흐림금산 19.0℃
  • 구름많음강진군 18.9℃
  • 구름많음경주시 22.2℃
  • 흐림거제 17.9℃
기상청 제공

제약

우리나라 약제비 본인부담비율, OECD 평균 6% 높아

10년 간 병원의약품 소비는 7.9%, 소매의약품 소비 4.2% 증가

우리나라 약제비 본인 부담 비율은 OECD 평균보다 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1월 OECD가 발표한 ‘한 눈에 보는 건강(Health at a Glance)’ 에 수록된 보건의료 관련 주요 통계 중 의약품과 관련된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약제비 중 국가 부담 및 민간보험을 제외한 환자 본인 부담 비율이 45%로 OECD 평균인 39%보다 다른 회원국들에 비해 6%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랑스(13%)에 이어 독일(16%)이 가장 가계가 직접 부담하는 비율이 가장 낮고,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는 러시아(88%) 와 리투아니아(66%) 순이다.


개인이 소매의약품 구매를 위해 지출하는 비용은 5월 13일 기준OECD 평균 USD 564(한화 약 69만 원)이며, 우리나라는 USD 599(한화 약 73만원)로 이와 유사한 편이다. 미국은 평균의 두 배를 웃도는 반면, 멕시코와 코스타리카는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간 OECD 국가들의 소매약국과 병원에서 의약품 소비 증가율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처방의약품과 소매의약품 소비 모두 각 7.9%, 4.2%로 가장 눈에 띄게 증가한 국가 중 하나이다. 아이슬란드(5.4%), 덴마크와 체코(4.9%)가 처방의약품 소비 증가율에 있어서 뒤를 잇고 있다. 반면, 그리스의 경우에는 의약품 폐기율을 줄이기 위한 정책의 영향으로 일반의약품 지출이 최근 10년 간 5.0%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의약품과 일반의약품에 대한 국가별 수요 변화는 고령화와 만성질환 유병률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국가별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의 사용 추이, 의약품 가격과 조달 정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들은 의약품 소비에 지출하는 비용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약사와 약국 관련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2000년에서 2017년 사이에 활동한 OECD 평균 약사의 수는 인구 10만 명당 83명으로 33% 증가했다. 그 중 우리나라의 약사 수는 인구 10만 명당 72명으로 OECD 평균보다 낮은 중하위권에 속하지만, 약국 수는 인구 10만 명당 41개(2015년 기준)로 OECD 평균(29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약국이 해외의 대형체인약국에 다수의 약사가 고용되어 있는 시스템과는 달리, 1인 경영방식의 소규모 약국체계가 주를 이루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의약품정책연구소 박혜경 소장은 “이번 OECD 통계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의 약국 인력시스템으로는 주요 외국과 같이 조제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의 복약순응도 지원 및 건강증진 활동 등과 같은 지역사회 기반 약사 서비스 확대에 있어서 제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