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2014년 심사실적을 기준으로 2014년 심사한 총 진료비가 61.9조원이라고 밝혔다.
보험자별 진료비 심사금액은 건강보험 54.5조원(7.5% 증가), 의료급여 5.6조원(6.3% 증가), 보훈 0.3조원(4.8% 감소), 자동차 진료비 1.4조원(268.0% 증가)로 나타났다.
수가유형별 구성비는 행위별수가 93.1%(58조원), 정액수가 6.9%(3조 904억원)였다. 행위별수가 58조원의 4대 분류 구성을 살펴보면 기본진료료 15.7조원(27.1%), 진료행위료 25.7조원(44.3%), 약품비 14.2조원(24.5%), 치료재료대 2.4조원(4.1%)이다.
요양기관 종별 및 진료행태별 진료비 실적, 다빈도 상병 등 건강보험 주요지표 등 「2014년도 진료비통계지표」는 상세자료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년도 건강보험 진료비는 54조 5,275억원으로 전년대비 7.5%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진료비는 108만원으로 전년대비 6.8% 늘어났다.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의료기관 이용일수는 20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진료비는 42조 270억원이며, 입원은 전년도 대비 7.5% 증가한 19조 576억원(45.3%)이고 외래는 8.6% 증가한 22조 9,694억원(54.7%)으로 외래진료비 증가율이 입원보다 1.1%p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의료기관 이용일수는 입원 2.6일 외래 17.1일로 전년도에 비해 입원일수는 0.1일, 외래는 0.3일 증가하였다.
약국 진료비는 12조 5,005억원으로 전년대비 5.3%증가하였고,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인당 약국 방문일수는 9.7일로 나타났다.의료기관 종별 진료비는 의원 11조 3,134억원, 병원 8조 9,410억원, 상급종합병원 8조 5,649억원 순이며, 전년대비 증가율은 치과의원 25.4%, 치과병원 20.9%, 요양병원 18.4%, 병원 9.0% 순위를 보였다.
의원 진료비는 전년도 대비 6.0% 증가하였고, 방문일수는 527,418천일로 전년도 대비 0.7%(입원 7.8% 감소, 외래 0.9% 증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국 진료비는 5.3% 증가하였고 방문일수는 전년대비 1.4% 증가하였다.
요양병원 진료비는 3조 7,480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18.4% 늘어났다.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기준, 입원 다발생 상병은 기타 추간판 장애 279천명,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266천명 순이며, 외래 다발생 상병은 급성 기관지염 15,084천명, 치은염 및 치주질환 12,896천명으로 나타났다.
다빈도 상병 10개 중 전년도 대비 총 진료비 증가율이 높은 입원 상병은 노년성 백내장으로 11.9%가 증가하였으며, 외래 상병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36.7%가 증가하였다.
진료비가 가장 높은 입원 상병은 뇌경색증(7,132억원)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가 5,909천원이며, 외래 상병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9,066억원)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가 70천원으로 나타났다.
2014년도 암상병으로 발생한 진료비는 4조 2,777억원으로 전년대비 5.2% 증가하였다.
입원 진료비는 총 2조 7,413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하였고, 진료비가 가장 높은 암상병은 폐암으로 3,174억원, 간암 3,069억원, 위암 2,68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외래 진료비는 총 1조 5,364억원으로 전년 대비 9.2% 증가하였고, 진료비가 가장 높은 암상병은 유방암으로 3,002억원, 갑상선암 1,458억원, 폐암 1,35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2014년도 암상병으로 발생한 진료비는 4조 2,777억원으로 전년대비 5.2% 증가하였다.
입원 진료비는 총 2조 7,413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하였고, 진료비가 가장 높은 암상병은 폐암으로 3,174억원, 간암 3,069억원, 위암 2,68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외래 진료비는 총 1조 5,364억원으로 전년 대비 9.2% 증가하였고, 진료비가 가장 높은 암상병은 유방암으로 3,002억원, 갑상선암 1,458억원, 폐암 1,35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