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인 ‘사시’(H50.0~H50.9, 사위 제외)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4년 기준으로 사시 진료인원 중 10대 이하(0세~19세)가 84.9%를 차지하였다.
남성은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3.9%(9세 이하 57.7%, 10대 26.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도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5.9%(9세 이하 58.7%, 10대 27.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 2014년 성․연령별 ‘사시’ 진료현황 >
(단위 : 명)
구분 |
전체 |
|
|
20대 |
30대 이상 | |
10대 이하 |
9세 이하 |
10대 | ||||
계 |
134,597 |
114,332 |
78,373 |
35,959 |
6,928 |
13,337 |
남성 |
63,840 |
53,556 |
36,852 |
16,704 |
3,546 |
6,738 |
여성 |
70,757 |
60,776 |
41,521 |
19,255 |
3,382 |
6,599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사시’가 주로 나타나는 시기, 치료목적, 치료방법과 치료시기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사시가 주로 나타나는 시기
- 사시는 소아에게 흔한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내 소아의 약 2%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시기가 다양하나 영아사시는 6개월 이전에, 조절내사시는 18개월경 나타나며, 간헐외사시는 3-4세 전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 조절내사시 : 안구가 원시를 극복하려고 조절을 하면서 발생하는 사시
※ 간헐외사시 : 한눈 또는 양눈이 교대로 가끔 바깥으로 돌아가는 것
❍ 사시의 조기치료 필요성
- 시력이 완성되기 전에 사시가 나타나는 경우, 시력발달 장애로 인해 약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약시의 치료는 반드시 8세 이전에 이루어져야한다. 시력에 영향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시를 방치하면 양안시 기능장애로 입체시의 저하가 나타나며, 특히 사춘기 청소년의 경우 외관상의 이유로 심리적 위축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 양안시 : 좌우 양쪽의 눈으로 상(像)을 보는 경우
※ 입체시 : 양쪽 눈으로 대상을 주시할 때 대상의 입체감이 느껴지는 기능
❍ 사시의 치료목적
- 정상적인 시력 발달, 양안시기능의 회복, 눈의 위치를 바르게 하여 외관을 보기 좋게 하는 등의 세 가지이다.
❍ ‘사시’의 치료 방법과 치료 최적 시기
- 사시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고, 필요에 따라 프리즘안경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약시가 동반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 수술적 치료의 경우 융합상태, 사시각의 크기, 환자의 나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사시수술은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의 위치를 옮거나 길이를 조절하여 눈의 위치를 바로잡아준다.
- 사시의 종류, 사시의 정도 (사시각의 크기) 에 따라 수술하는 근육의 개수와 수술 방법이 결정된다. 출생 직후 나타나는 영아사시는 생후 4-5개월경부터 수술이 가능하며 늦어도 2세 이전에는 수술을 해야 효과적이다.
- 굴절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조절내사시는 조절마비굴절검사후 안경착용이 치료원칙이다.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사시는 나타나는 빈도와 사시각을 고려하여 치료시기를 결정하나 수술이 필요한 경우 초등학교 입학 전에 교정해주는 것이 좋다.
❍ 집에서도 확인해 볼수 있는 ‘사시’의 증상
- 한 눈이 코나 귀 쪽으로 향해 있거나, 초점이 풀려 보일 수 있고 햇빛이나 밝은 빛을 보면 한 눈을 찡그리는 증상을 보이기도 하며, 눈의 피로나 두통을 호소하거나
- 사물을 볼 때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고 보거나, 턱을 치켜들거나 반대로 고개를 숙이는 증상, 또는 머리를 한쪽으로 갸우뚱하게 기울이는 등의 증상이 있다.
- 또한 일반적으로 소아 사시환자의 경우 환자 자신은 증상이 없이 보호자 혹은 주변 사람들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만일 위와 같은 증상이 보이면 사시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
❍ 성인 ‘사시’의 원인과 치료
- 성인에서 나타나는 사시의 대표적인 원인은 뇌신경 마비에 의한 마비성 사시, 갑상선질환이나 안와질환에 의한 외안근의 이상, 근무력증과 같은 전신질환 등이 있다.
- 복시 등의 증상유무와 사시각의 크기에 따라 프리즘 안경 착용이나 수술적 치료가 가능하며, 근무력증과 같은 질환은 전신적인 검사와 약물치료가 필요하므로 성인이 되어 새로 발생한 사시의 경우 원인에 대한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