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4.6℃
  • 서울 16.0℃
  • 맑음대전 17.5℃
  • 구름조금대구 17.3℃
  • 구름조금울산 19.5℃
  • 구름많음광주 18.4℃
  • 맑음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8.4℃
  • 제주 16.0℃
  • 구름많음강화 13.8℃
  • 맑음보은 15.7℃
  • 구름조금금산 15.0℃
  • 흐림강진군 17.7℃
  • 구름조금경주시 18.6℃
  • 맑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질병정보

2014년 우리 국민 4명중 1명 척추질환으로 진료받아

입원은 기타 추간판장애, 외래는 등통증이 가장 많았다.

   2014년 척추질환 진료비 38,760억원,2007년 대비 95% 증가

2014년척추질환 진료인원은 약 1,260만명으로 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은 척추관련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척추질환 진료비는 38,760억원으로 전체진료비 592,550억원의 6.5%를 차지하며, 2007년과 비교하여 95%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4 척추수술 건수는 약 155천건이며, 2007년 대비 26.7% 증가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척추질환 및 수술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척추질환 및 수술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척추질환 진료인원은 2007년 약 895만명에서 2014년 약 1,260만명으로 365만명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은 척추관련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질환 건수는 2007년 약 4,660만건에서 2014년 약 8,790만건으로 88.4%늘었다. 진료비는 2007년 약 19,860억원에서 2014년 약 38,760억원으로 약 95.2% 증가하였다.

  척추질환 환자수

 

 

(단위: 천명)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환자수

8,954

9,853

10,558

11,089

11,694

12,177

12,409

12,578

 

 척추질환 건수와 진료비

 

(단위: 천건, 억원)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7vs'14증감률

건수

46,641

66,242

71,514

74,211

78,754

86,110

87,759

87,885

88.4

진료비

19,855

23,336

27,011

30,036

33,157

35,501

37,679

38,755

95.2

 

2014년 척추질환은 남성이 약 520만명인 41.7% , 여성은 약 730만명인 58.3%)를 차지하여 여성 비중이 더 높았다.

한편, 2007년에서 2014년 사이 척추질환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5.7%, 여성이 4.5%로 남성 진료인원 증가가 더 높았다.

2014년 척추질환 진료인원은 50대가 약 270만명(21.6%)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약 210만명(17.0%), 60대 약 200만명(16.3%), 70대 약 170만명(13.8%), 30대 약160만명(12.5%) 순으로 높게 나타나, 50대 이상이 전체의 57%하였으며 특히, 90세 이상도 약 5만명(0.4%)이 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분포는 30대까지는 남성이 , 40대 부터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0대는 여성이 약 166만명(13.2%)으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보였다.

`척추질환으로 입원한 인구 천 명당 발생건수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4년 기준 광주 52.3전남 45.3전북 45.1부산 32.2경남 30.3건 순으로 높은 반면, 제주도가 12.7건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7년 대비 2014증가율 역시 광주가 249.7%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강원도는 66.8%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2014년 주요 질환별 진료인원은 입원의 경우 기타 추간판장애(275천명), 외래는 등통증(644만명)이 가장 많았으며, 1인당 진료일수 및 진료비는 입원의 경우 병적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25.8, 282만원, 외래는 척추증(M46-M49)’ 6.4, 175천원, 기타 추간판장애는 6.3, 174천원으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척추수술 건수는 2014년 약 155천건이며, 진료비는 약 4,642억원으로 2007년과 비교하여 각각 31.6%, 26.7% 증가하였다.

2012년까지는 수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13년부터는 감소 추세로 2014년은 전년 대비 수술 건수(10%), 진료비(9%)가 각각 감소하였다.

척추수술 건수와 진료비

 

 

(단위: 천건, 백만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7vs’14증감률

건수

117

132

151

165

168

176

173

155

31.6

진료비

366,355

412,445

468,040

510,800

493,531

506,597

507,596

464,167

26.7

2014년 척추수술을 시행한 곳은 1,097기관으로 20071,021기관에서 8년간 76기관(7.4%)이 늘었다.

의원을 제외한 병원, 종합병원의 기관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병원이 2014556기관으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여 2007년 대비 2014년 증가율도 35.6%로 가장 높았다.

 

 

요양기관 종별 척추수술 기관수

 

 

(단위: 기관,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4점유율

‘07vs'14증감률

전체

1,021

1,034

1,022

1,060

1,052

1,098

1,112

1,097

100

100

상급종합

43

44

44

44

44

44

43

43

3.9

-

종합병원

245

257

251

263

268

264

265

276

25.2

12.7

병원

410

451

461

491

492

541

562

556

50.7

35.6

의원

323

282

266

262

248

249

242

222

20.2

-31.3

2014척추수술 인구 천명당 발생건수는 광주가 5.2건으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 4.4대전 4.3전북 3.7부산 3.6인천 3.2건 순으로 높은 반면, 경북은 1.3건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척추수술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충북(140.5%)으로 대전(-11.6%) 지역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2014년 척추질환 입원과 수술 여부를 비교해 보면, 입원건수는 130만 건이고, 척추수술 건수는 155천건으로 입원한 환자의 약 12%가 척추수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대비 척추질환 입원건수는 124.9%가 증가한 반면, 척추건수는 31.6% 증가율을 보였다.

아울러 인구 천명당 척추질환 입원건수도 2007(12.9)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나, 척추수술 건수는 2012년 이후 감소세를 나타냈다.

 척추질환 입원건수 대비 척추수술 건수

 

 

(단위: 천건,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7vs'14

증감률

척추입원건수

578

721

862

991

1,126

1,222

1,291

1,300

124.9

척추수술 건수

117

132

151

165

168

176

173

155

31.6

수술건율

20.3

18.4

17.5

16.6

14.9

14.4

13.4

11.9

-41.4

. 수술건율= 척추수술 건수/척추질환 입원건수*100

 

2014년 성별 척추수술 건수 및 진료비 현황은 남성이 68천건(43.7%), 여성은 87천건(56.3%), 진료비는 전체 4,640억원 중 남성이 2,050억원(44.2%), 여성이 2,590억원(55.8%)으로 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척추수술 증가율은 2007년 대비 2014년 여성(31.6%)과 남성(31.4%)유사하게 증가하였으나 진료비는 남성(33.4%)이 여성(219%)보다 더 높았다.

  연령별 척추수술 현황은 2014년에 70대에서 높은 점유율 24.7%(38천건) 보였으며, 진료비도 26.6%(1,230억원)로 가장 높았다. 특히, 90대 이상에서는 수술 건수가 1435(0.9%)으로 2007년 이후 서서히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50대 이상에서 척추수술 건수와 진료비 점유율은 각각 77.1%, 79.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8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2013년과 비교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에 80대에서는 수술 건수 및 진료비가 0.2%, 0.5% 각각 증가하였으며, 90대에서는 9.8%, 16.2%로 각각 증가세를 보였다.

     2014년 척추수술은 주로 디스크탈출증에 실시하는 감압술이 약 66천건(42.5%)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디스크와 병행한 협착 등에 실시하는 감압술+고정술이 37천건(23.8%), 고령층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에 실시하는 경피적척추성형술이 32천건(20.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척추수술 진료비는 감압술+고정술이 1,760억원(38%)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 감압술 1,380억원(29.7%), 경피적척추성형술 530억원(11.4%) 순으로 높으며, 반면에 척추측만증 등에 시술하는 변형고정술은 각각 약 500(0.3%), 53억원(1.1%)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척추수술에서 흔히 시행하는 감압술, 감압술+고정술, 경피적척추성형술의 연령대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감압술 및 감압술+고정술은 50(24%), 60(19.4%)에서, 경피적척추성형술은 70(41.44%), 80(36.3%)에서 많이 시행되었다.

2007년 대비 2014년 증가율은 전체적으로 70대 이상에서 높았고, 경피적척추성형술의 경우에는 80대에서 352%, 90대 이상에서 598%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척추질환 분석 결과, 최근 들어 척추질환의 빈도는 노인 인구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인구고령화에 따른 척추질환은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척추 질환은 대부분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손상 또는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보다는 주로 통증을 동반한 고통 및 생활의 지장을 나타내게 된다.

퇴행성 변화에 따른 척추 질환이나 골다골증성 골절 등의 치료에 대해 보존적 요법의 중요성은 그 동안 직·간접적인 치료 경험이나 언론 등을 통해 꾸준히 강조되면서 최근에는 수술사례가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심사평가원 김동준 전문심사위원은 수술 전 보존적 요법의 중요성 등을 홍보하고, 수술 적정성 여부에 대한 영상자료 확인 등 심사를 통해 척추질환 치료(보존적 요법, 수술)의 적정성 및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향후에도 척추 질환의 변화 경향과 의학의 발전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들이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