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5.3℃
  • 흐림강릉 13.5℃
  • 서울 15.8℃
  • 구름조금대전 17.4℃
  • 맑음대구 16.5℃
  • 구름조금울산 19.2℃
  • 구름조금광주 17.5℃
  • 박무부산 14.7℃
  • 구름조금고창 17.5℃
  • 제주 16.1℃
  • 구름많음강화 13.6℃
  • 맑음보은 15.4℃
  • 맑음금산 14.6℃
  • 맑음강진군 17.5℃
  • 구름조금경주시 16.8℃
  • 흐림거제 16.5℃
기상청 제공

질병정보

구내염’ 진료인원 연평균 4.5%씩 증가 2014년 151만 5,056명

2014년 ’구내염’ 전체진료인원중 약 40%가 9세 이하

    구내염(口內炎, stomatitis)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으로 인해 입 안 점막(, 잇몸, 입술과 볼 안쪽 등)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2008년부터 2014년까지 구내염 건강보험 진료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구내염진료인원은 20081166,273명에서 연평균 4.5%씩 증가하여 20141515,05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구내염진료인원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9세 이하 진료인원이 전체 진료인원의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 연령층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영유아(0~6) 진료인원이 9세 이하 진료인원의 88.6%를 차지하였다.

구내염201410대 이상 연령층에서 인구 10만 명당 2,011(100명당 2) 발생하였고, 9세 이하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13,102(100명당 13)이 발생하여 9세 이하에서 10세 이상 연령층에 비해 6.5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세 이하 중 1~6세에서 100명당 18명이 발생하여 타 연령층에 비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수는 9세 이하에서 구내염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를 “9세 이하의 소아의 경우 구내염이 수족구병과 같은 유행성 질환에 동반되어 유행하는 경우가 많아 그 비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분석에따르면 구내염 진료를 위해 20146992천만원의 진료비가 지출되었다. 입원 1131천만원, 외래 393억원, 약국 1931천만원이 각각 지출되었다.

2008~2014구내염진료비 지급현황

(단위 : 억원, %)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연평균

증가율

408.3

451.6

514.1

603.2

563.7

622.2

699.2

9.4%

입원

44.1

(10.8)

53.4

(11.8)

66.9

(13.0)

78.0

(12.9)

80.9

(14.3)

98.5

(15.8)

113.1

(16.2)

17.0%

외래

241.5

(59.2)

266.8

(59.1)

297.1

(57.8)

346.7

(57.5)

322.9

(57.3)

351.1

(56.4)

393.0

(56.2)

8.4%

약국

122.6

(30.0)

131.4

(29.1)

150.1

(29.2)

178.5

(29.6)

159.9

(28.4)

172.6

(27.7)

193.1

(27.6)

7.9%

1) 괄호 안은 전체 진료비에서 각 진료형태별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

2)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수구내염정의, 증상, 치료방법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구내염의 정의

- 구내염은 구강(입안)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뜻하며, 한 가지 단일 질환이 아니라, 증상, 발생부위, 원인, 육안적 소견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헤르페스성 구내염, 수두, 수족구병 등에서 구내염이 동반될 수 있다.

구내염의 증상

- 주 증상은 구강에 통증을 동반하는 궤양이 나타난다.

구내염의 원인

- 헤르페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 세균감염, 영양 불균형, 면역장애, 스트레스, 외상, 유전적 요인, 호르몬장애, 음식물에 대한 알레르기, 기타 전신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구내염의 진단

- 대부분 육안적 소견과 병력 소견으로 진단한다. 단순 구내염이 아닌 다른 질환이 의심될 경우 조직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구내염의 치료

- 주로 증상 경감을 위한 대증적 요법을 시행하며, 구강을 청결히 하며 소독약을 이용한 가글을 하며 필요시 스테로이드 연고 혹은 복용이 필요할 수 있다. 궤양으로 인한 통증이 심한 경우 화학 또는 전기 소작법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구내염의 예방 및 관리요령

- 많은 경우 감염성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평소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규칙적인 생활과 올바른 영양 섭취가 필요하며 깨진 치아나 상한 치아가 있을 경우 치료가 필요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