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수)

  • 흐림동두천 15.7℃
  • 흐림강릉 14.3℃
  • 흐림서울 16.3℃
  • 구름많음대전 18.1℃
  • 흐림대구 18.0℃
  • 구름많음울산 17.1℃
  • 구름많음광주 20.1℃
  • 구름많음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19.6℃
  • 구름많음제주 19.1℃
  • 구름많음강화 14.7℃
  • 흐림보은 16.7℃
  • 흐림금산 19.1℃
  • 구름조금강진군 18.9℃
  • 구름많음경주시 19.8℃
  • 구름조금거제 17.9℃
기상청 제공

질병정보

골고루 먹는 식습관이 대사증후군 발생 낮춰

식약청, 2001년부터2008년까지 성인 6,640명 조사 결과

          

       음식을 골고루 먹는 식습관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20% 이상 감소하고 복부비만은 40%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패턴과 대사증후군 발생과의 관련성을 추적 조사한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골고루 먹는 식사습관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위험이 높은 상태 .

       이번 조사는 2001년부터 한국인 유전체역학연구 중 안산·안성코호트 참여자 가운데 건강검진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성인 6,640명을 대상으로 평소 식습관의 주요 패턴을 확인하여 2008년까지 추적조사한 결과로서 식사패턴과 대사증후군의 발생과의 관련성을 상호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코호트 연구는 특정 인구집단(코호트라고 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관심있는 폭로요인을 조사하고 질병 상태를 추적 조사함으로써 폭로요인과 질병 발병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방법이다.

    이번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골고루 먹는 식습관 정도를 5개 등급즉가장 골고루 먹는 군(5분위군), 약간 골고루 먹는 군(4분위군), 보통(3분위군), 약간 치우치게 먹는 군(2분위군), 아주 치우치게 먹는 군(1분위군)으로 나누어 식습관과 대사증후군 발생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장 골고루 먹는 집단이 흰쌀과 김치 위주의 치우친 식사를 하는 집단에 비하여 대사증후군이 23%가 감소되었다.

      5분위군 누적 대상자 2,548명 중 대사증후군 발생은 331건이었으며, 1분위군 누적 대상자 2,490명 중 대사증후군 발생은 397건으로서 이 결과를 음주·흡연·운동여부 등의 다변량 모델 보정을 통해 상대적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비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제5분위군의 경우 제1분위군에 비해 복부비만 위험이 42% 감소하고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위험도 16% 감소하였다.

      제5분위군 누적 대상자 2,548명 중 복부비만과 저HDL콜레스테롤 발생은 각각 534건과 1,095건이었으며, 1분위군 누적 위험 대상자 2,490명 중 복부비만과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발생은 각각 679건과 1,122건으로서 이를 다변량 모델 보정을 통해 상대적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비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가장 골고루 섭취하는 군(5분위)의 식사패턴은 잡곡밥(123), 김치 외 채소(16회 이상), 생선 및 해산물(12), 해조류(11), (11), 육류 및 달걀(11), 과일(11), 유제품(112) 등을 다양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골고루 섭취하지 않는 경향이 높아질수록(5분위군 2분위군) 잡곡밥이나 채소의 섭취가 줄어들고 생선 및 육류 등 단백질식품의 섭취도 줄어들었다.

     특히 아주 치우치게 먹는 군(1분위군)의 경우는 흰쌀밥과 김치를 위주로 식사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대사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패턴이 중요한 만큼 어릴 때부터 편식을 피하고 다양한 식품을 접하는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