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소아 환자 2015년 5,338명으로, 10년간 31.0% 증가
여자환자 증가율 59.5% 남자환자 증가율 50.8%
2015년 당뇨병으로 약물치료 중인 18세 이하 소아 환자는 5,338명으로2006년 4,076명에서 31.0% 증가하였다.
여자 환자가 남자 환자보다 많았으며(2015년 기준 1.17배),9년간 증가율도 여아 환자 36.6%로 남자 환자의 증가율24.9%보다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해당 기간 소아 인구감소율을 감안한 인구 10만 명 당 전체 환자 수는 지난 9년간 55.3% 증가하였다.
여자 환자 증가율은 59.5%로 남자 환자 증가율 50.8%보다 높게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남자 및 여자 모두에서 16~18세 아동이 절반 정도
차지하였으며, 10세 미만 아동 환자도 전체 환자의 10% 정도였다.
연령별 인구 10만 명 당 당뇨병 치료환자 수는 3세 이후부터 전 연령에 걸쳐 9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보험료 분위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소아 의료급여수급권자 인구 10만 명 당 약물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는 178.4명으로 건강보험 가입자 인구 10만 명 당 약물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 51.8명에 비해 약 3.4배 높았다.
건강보험 가입자 인구 중에서도 저소득층 소아의 인구 10만 명 당 약물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장애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소아 비장애인구 10만 명 당 약물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는 52.8명인 반면, 장애인구 10만 명 당 약물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 396.4명으로 비장애집단보다 약 7.5배 정도 높았다. 경증 장애(3~6급)에서 10만 명 당 환자 수는 692.3명으로 중증 장애(1~2급)의 경우인 213.2명보다 3.2배 높았다.
2008년 제6차 영유아건강검진 수검아동의 당뇨병 치료여부를 살펴보면, 영유아 건강검진(54~60개월)을 받은 128,766명을 2015년 12월까지 당뇨병으로 약물치료 받았는지 추적 관찰한 결과, 체질량지수가 가장 큰 10분위에서 인구 10만 명 당 211.2명이 당뇨병 치료를 받아서 전체 평균인 76.0명에 비해 2.8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