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1.8℃
  • 흐림강릉 9.3℃
  • 흐림서울 12.6℃
  • 대전 16.8℃
  • 흐림대구 21.2℃
  • 흐림울산 20.2℃
  • 광주 17.9℃
  • 흐림부산 17.9℃
  • 흐림고창 15.5℃
  • 흐림제주 17.8℃
  • 맑음강화 8.7℃
  • 구름많음보은 17.2℃
  • 구름많음금산 18.1℃
  • 흐림강진군 17.7℃
  • 흐림경주시 20.5℃
  • 흐림거제 17.6℃
기상청 제공

보건정책

2015년 보건산업 수출 10조원,전년 대비 21% 증가

제약․화장품 등 고속 성장, 미래 주력 성장산업으로의 가능성

    

보건복지부는 2015년 보건산업 수출액(외국인환자 진료수입 포함)88억 달러(10조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으며, 150개 상장기업의 매출액은 27조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15년 국제 유가 하락 및 세계적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보건산업의 성장세는 지속되어 신성장동력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2015년에는 의약품 기술 수출이 늘었으며 바이오의약품의 유럽 수출도 증가하였다.진단검사치과용 의료기기 수요가 확대되고 중화권 화장품 수출 급증하는 등의 이유로 우리 기업의 수출액과 매출액이 모두 증가하였다.

지난해 대통령의 중동중남미중국 등 순방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에서 총 81(201520164)의 보건의료 분야 양해각서협력협약계약인허가 절차 간소화가 이루어지는 등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의료시장에 우리 보건산업이 진출할 교두보가 마련되는 성과도 있었다.

수출면에서 보면 2015년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수출액 및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은 총 88억 달러(10조원), 최근 4년 간 연평균 19%씩 증가하여 201144억 달러 대비 두 배로 확대되었다.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의 2015년 수출액은 82억 달러(9.2조원), 201468억 달러 대비 18% 증가하였으며,수입은 89억 달러(10.1조원)201491억 달러에서 3% 감소하여 적자폭은 201423억 달러에서 20156억 달러로 17억 달러(73%) 줄었다.

2011년에는 수입이 84억 달러(9.5조원), 수출이 42억 달러로 수입이 수출의 2배에 달하였으나, 이후 수입이 비슷한 규모를 유지한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는 수출이 수입의 93%까지 성장하였다.

의약품 수출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고 수입액은 48억 달러(5.4조원)로 전년 대비 5% 감소하였다.

의료기기 수출액은 27억 달러(3.1조원)로 전년 대비 5% 증가하고 수입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1% 감소하였다.

화장품 수출액은 26억 달러(2.9조원)로 전년 대비 44% 증가하여 수출 증가율이 보건산업 각 분야 중 가장 높았고, 수입액은 11억 달러(1.2조원)로 전년 대비 4% 증가하였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흑자(1억달러)로 전환되었고, 2015년 흑자 규모는 15억 달러(1.7조원) 규모에 이르렀다.

보건산업 부문 서비스거래로 발생한 수입에 해당하는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을 보면 6억 달러(6,694억원)로 전년 대비 12%*(원화 기준 20%), 2011년 대비 262%(원화 기준 270%) 증가하였다.

2016년에도 바이오의약품의 미국유럽 허가 및 IT 기반 의료기기 수출 확대, 한류 문화콘텐츠와 k-뷰티 확산 등으로 전년에 이어 보건산업 수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화장품 등 고속 성장, 미래 주력 성장산업으로의 가능성

 

보건복지부는 2015년 보건산업 수출액(외국인환자 진료수입 포함)88억 달러(10조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으며, 150개 상장기업의 매출액은 27조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15년 국제 유가 하락 및 세계적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보건산업의 성장세는 지속되어 신성장동력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2015년에는 의약품 기술 수출이 늘었으며 바이오의약품의 유럽 수출도 증가하였다.진단검사치과용 의료기기 수요가 확대되고 중화권 화장품 수출 급증하는 등의 이유로 우리 기업의 수출액과 매출액이 모두 증가하였다.

지난해 대통령의 중동중남미중국 등 순방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에서 총 81(201520164)의 보건의료 분야 양해각서협력협약계약인허가 절차 간소화가 이루어지는 등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의료시장에 우리 보건산업이 진출할 교두보가 마련되는 성과도 있었다.

수출면에서 보면 2015년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수출액 및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은 총 88억 달러(10조원), 최근 4년 간 연평균 19%씩 증가하여 201144억 달러 대비 두 배로 확대되었다.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의 2015년 수출액은 82억 달러(9.2조원), 201468억 달러 대비 18% 증가하였으며,수입은 89억 달러(10.1조원)201491억 달러에서 3% 감소하여 적자폭은 201423억 달러에서 20156억 달러로 17억 달러(73%) 줄었다.

2011년에는 수입이 84억 달러(9.5조원), 수출이 42억 달러로 수입이 수출의 2배에 달하였으나, 이후 수입이 비슷한 규모를 유지한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는 수출이 수입의 93%까지 성장하였다.

의약품 수출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고 수입액은 48억 달러(5.4조원)로 전년 대비 5% 감소하였다.

의료기기 수출액은 27억 달러(3.1조원)로 전년 대비 5% 증가하고 수입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1% 감소하였다.

화장품 수출액은 26억 달러(2.9조원)로 전년 대비 44% 증가하여 수출 증가율이 보건산업 각 분야 중 가장 높았고, 수입액은 11억 달러(1.2조원)로 전년 대비 4% 증가하였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흑자(1억달러)로 전환되었고, 2015년 흑자 규모는 15억 달러(1.7조원) 규모에 이르렀다.

보건산업 부문 서비스거래로 발생한 수입에 해당하는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을 보면 6억 달러(6,694억원)로 전년 대비 12%*(원화 기준 20%), 2011년 대비 262%(원화 기준 270%) 증가하였다.

2016년에도 바이오의약품의 미국유럽 허가 및 IT 기반 의료기기 수출 확대, 한류 문화콘텐츠와 k-뷰티 확산 등으로 전년에 이어 보건산업 수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