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015년 보건산업 수출액(외국인환자 진료수입 포함)은 88억 달러(10조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으며, 150개 상장기업의 매출액은 27조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15년 국제 유가 하락 및 세계적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보건산업의 성장세는 지속되어 신성장동력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2015년에는 의약품 기술 수출이 늘었으며 바이오의약품의 對 유럽 수출도 증가하였다.진단․검사․치과용 의료기기 수요가 확대되고 對 중화권 화장품 수출 급증하는 등의 이유로 우리 기업의 수출액과 매출액이 모두 증가하였다.
지난해 대통령의 중동․중남미․중국 등 순방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에서 총 81건(2015년~2016년4월)의 보건의료 분야 양해각서․협력협약․계약․인허가 절차 간소화가 이루어지는 등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의료시장에 우리 보건산업이 진출할 교두보가 마련되는 성과도 있었다.
수출면에서 보면 2015년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수출액 및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은 총 88억 달러(10조원)로, 최근 4년 간 연평균 19%씩 증가하여 2011년 44억 달러 대비 두 배로 확대되었다.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의 2015년 수출액은 82억 달러(9.2조원)로, 2014년 68억 달러 대비 18% 증가하였으며,수입은 89억 달러(10.1조원)로 2014년 91억 달러에서 3% 감소하여 적자폭은 2014년 23억 달러에서 2015년 6억 달러로 17억 달러(73%) 줄었다.
2011년에는 수입이 84억 달러(9.5조원), 수출이 42억 달러로 수입이 수출의 2배에 달하였으나, 이후 수입이 비슷한 규모를 유지한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는 수출이 수입의 93%까지 성장하였다.
의약품 수출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고 수입액은 48억 달러(5.4조원)로 전년 대비 5% 감소하였다.
의료기기 수출액은 27억 달러(3.1조원)로 전년 대비 5% 증가하고 수입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1% 감소하였다.
화장품 수출액은 26억 달러(2.9조원)로 전년 대비 44% 증가하여 수출 증가율이 보건산업 각 분야 중 가장 높았고, 수입액은 11억 달러(1.2조원)로 전년 대비 4% 증가하였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흑자(1억달러)로 전환되었고, 2015년 흑자 규모는 15억 달러(1.7조원) 규모에 이르렀다.
보건산업 부문 서비스거래로 발생한 수입에 해당하는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을 보면 6억 달러(6,694억원)로 전년 대비 12%*(원화 기준 20%), 2011년 대비 262%(원화 기준 270%) 증가하였다.
2016년에도 바이오의약품의 미국․유럽 허가 및 IT 기반 의료기기 수출 확대, 한류 문화콘텐츠와 k-뷰티 확산 등으로 전년에 이어 보건산업 수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화장품 등 고속 성장, 미래 주력 성장산업으로의 가능성
보건복지부는 2015년 보건산업 수출액(외국인환자 진료수입 포함)은 88억 달러(10조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으며, 150개 상장기업의 매출액은 27조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15년 국제 유가 하락 및 세계적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보건산업의 성장세는 지속되어 신성장동력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2015년에는 의약품 기술 수출이 늘었으며 바이오의약품의 對 유럽 수출도 증가하였다.진단․검사․치과용 의료기기 수요가 확대되고 對 중화권 화장품 수출 급증하는 등의 이유로 우리 기업의 수출액과 매출액이 모두 증가하였다.
지난해 대통령의 중동․중남미․중국 등 순방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에서 총 81건(2015년~2016년4월)의 보건의료 분야 양해각서․협력협약․계약․인허가 절차 간소화가 이루어지는 등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의료시장에 우리 보건산업이 진출할 교두보가 마련되는 성과도 있었다.
수출면에서 보면 2015년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수출액 및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은 총 88억 달러(10조원)로, 최근 4년 간 연평균 19%씩 증가하여 2011년 44억 달러 대비 두 배로 확대되었다.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의 2015년 수출액은 82억 달러(9.2조원)로, 2014년 68억 달러 대비 18% 증가하였으며,수입은 89억 달러(10.1조원)로 2014년 91억 달러에서 3% 감소하여 적자폭은 2014년 23억 달러에서 2015년 6억 달러로 17억 달러(73%) 줄었다.
2011년에는 수입이 84억 달러(9.5조원), 수출이 42억 달러로 수입이 수출의 2배에 달하였으나, 이후 수입이 비슷한 규모를 유지한 반면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는 수출이 수입의 93%까지 성장하였다.
의약품 수출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고 수입액은 48억 달러(5.4조원)로 전년 대비 5% 감소하였다.
의료기기 수출액은 27억 달러(3.1조원)로 전년 대비 5% 증가하고 수입액은 29억 달러(3.3조원)로 전년 대비 1% 감소하였다.
화장품 수출액은 26억 달러(2.9조원)로 전년 대비 44% 증가하여 수출 증가율이 보건산업 각 분야 중 가장 높았고, 수입액은 11억 달러(1.2조원)로 전년 대비 4% 증가하였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흑자(1억달러)로 전환되었고, 2015년 흑자 규모는 15억 달러(1.7조원) 규모에 이르렀다.
보건산업 부문 서비스거래로 발생한 수입에 해당하는 외국인환자 진료수입을 보면 6억 달러(6,694억원)로 전년 대비 12%*(원화 기준 20%), 2011년 대비 262%(원화 기준 270%) 증가하였다.
2016년에도 바이오의약품의 미국․유럽 허가 및 IT 기반 의료기기 수출 확대, 한류 문화콘텐츠와 k-뷰티 확산 등으로 전년에 이어 보건산업 수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