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1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임상연수

치매의 진단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여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를 처음 접했을 때 치매를 가지고 있는지, 정도가 심한지 그리고 원인 질환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치매 환자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아래와 같이 4가지 기본 항목에  근거하여 진단에 접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상기 네 가지 항목을  각각의 알파벳 첫 글자를 이용하여 ‘치매의 ABCD (혹은 순서상 CABD)’라고 부르기도 한다.


1.인지기능 평가 (Cognition)
치매는 정의상 인지기능 저하로 인하여  일상생활 능력의 저해가 발생한 상태를 의미하므로 무엇보다우선적으로 인지기능의  평가가 이루어 져야 한다.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인지 영역은 기억력,  언어 기능,시공간 능력,  전두엽 집행기능, 주의집중력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인지 영역은 각각 문진과 신경 심리검사를 통해 평가하게  된다.


A.문진 (History)
i.기억장애 (Memory dysfunction)
1. 발병 시점 (Onset): 기억력이  조금이라도 떨어진 시기를  최대한도로 잡으면 언제부터인지  확인한다. 보호자에게  확인할  경우 대체로  짧게 잡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한다.


2. 발생 양상 (Mode of onset): 서서히(퇴행성치매)발생했는지 갑자기(혈관치매, 뇌 외상에 의한 치매) 발생했는지 확인한다.


3. 경과 (Progression): 계속 진행하는지(퇴행성치매) 굴곡이 있으며 호전되기도 하는지(혈관치매) 또는 처음에 심하고 서서히 좋아지는지(뇌 외상에 의한 치매)를 확인한다.


4. 내용 (Contents): 구체적으로 기억장애가 언제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상세히 환자나 보호자에게 확인한다.


5. 기억 장애의 정도 (Severity)를 파악한다.
A.건망증 수준: 최근 몇 주 동안 있었던 사건중 중요한 것은 기억하지만 사소한 것은 잊는다. 힌트를 주면 기억한다.
B. 초기 치매 단계: 최근 몇 주 동안 있었던 중요한 사건(예를 들어, 여행을 갔거나집안 대소사에 참석한 경우)을 잊고 힌트를  주어도 기억하지 못한다.  물건을 찾으러  다니는 일이 많아 지고 주위 사람들도 환자의 기억 장애를 인지하기 시작한다.
C. 중기 치매 단계: 오전에 있었던  일을 오후에 기억하지 못할 정도이며 보호자들은 돌아서면  잊어버린다고 호소한다.  하지만 오래된 기억 (예: 본인의 고향, 배우자의 직업)은 비교적 기억한다.
D. 말기 치매 단계: 수분 전의 일을 잊어 버릴 뿐 아닐 오래된 기억도 거의 남아 있지 않는 단계이다.


6. 환자가 병식이 있는지 확인한다.
A. 치매 환자: 일반적으로 자신의  기억장애를 부정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B. 불안증 환자: 실제 기억장애보다 더 과장되게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ii. 언어장애 (Language dysfunction): 하고 싶은 표현이 금방 나오지 않고  머뭇 거린다거나 물건 이름을 금방 대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이를 확인한다. 말수가 점차 감소하거나 이해력이 저하되고 읽기 쓰기 장애도 있을 수 있다.


iii. 시공간능력 저하 (Visuospatial dysfunction):대표적인 예로 길을 찾아가는 능력을 들 수 있으며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곳에서 길을 잃을 수 있으나 심해지면 익숙한 동네에서 길을 잃거나 집안에서 화장실을 찾지 못할 수 있다.


iv. 전두엽 집행기능 저하 (Frontal executive dysfunction): 문진 상 확인할 수 있는 전두엽 손상과 관련된 증상으로는 성격변화를 들 수 있다.  예를들면,  의욕적이던  사람이 무기력해지거나,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가 쉽게 화를 내거나 고집이 세질 수 있다.  판단력이 떨어져 결정을  못하기 때문에 우유부단해지고  고집이 세질 수 있다.


B. 신경인지기능검사
1.선별검사도구
(예: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나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MoCA))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간단히 평가할 수 있다.


2. 종합검사
(예: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SNSB), Literacy Independent Cognitive Assessment (LICA),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 Disease(CERAD) )를 이용하여 자세한 영역별 인지 기능 저하를 확인할 수 있다.


2. 일상생활능력 평가(Activity of Daily Living, ADL)
인지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지장을 평가하기 위해 문진 및 척도 도구를 이용해 평가할 수 있다. 일상생활 능력 지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인지기능 저하에  의한 것에 한정한다는 것이다. 기타 질환에 의한 일상생활의  지장은 해당되지 않는다.


A. 문진  

환자나 보호자에게 하루 일과를 물어보거나 직장인의 경우 직장생활에 대해 물어 볼 수 있다. 크게 기본적 기능(예: 옷 입기,  식사,  보행,  화장실이용,  목욕)과 복잡한 기능(예: 장보기,  가사,  돈 관리,  음식준비, 대중교통이용 등)으로 나누어 확인한다.
B. 척도  

ADL을 정량화한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객관적 평가에 도움이 된다. 크게 기본적 기능을 평가하는 신체일상화능력(Physical ADL, 예: Barthel index)을 평가하는 도구와 도구일상화능력(InstrumentalADL, 예: Korean Instrumental ADL)을 평가하는 도구들이 있다. 치매 환자의 경우 초기에 복잡한 일상 생활능력의 이상을 보이게 되고 후기에는 기본적 일상 생활능력의  소실을 보이게 된다.


3. 이상행동 및 심리증상 유무 평가(Behavioral & Psychological Symptom of Dementia, BPSD)
치매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지각,  사고내용, 기분, 행동 상의  장애증상을 평가하는 과정은 중요하다. 드물지 않게  이러한 증상이  인지기능 장애보다먼저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접근도 문진과 척도를 이용하여 하게 된다.


A. 문진
보호자에게 물어보아야  할 이상행동 및 심리증상으로는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증,  불안,  다행감,  무감동,  탈억제,  화냄,  반복적인 행동,  수면,  식습관의 변화 등이 있다.
B. 척도
이상행동 및 심리증상을 평가하는 다양한 도구들이 소개되었고 Neuropsychiatric Inventory(NPI), BEHAVE-AD, Geriatric depression scale는  한국어로 번역되어  표준화 연구가 발표되었다.


4. 치매의 원인 질환 평가 (Differential diagnosis)
치매는 다양한 원인 질환들에 의해 유발되는데, 지금까지 원인은 약50~80여 종에 이른다. 이중 20-30%는 치료가 가능하므로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는 반드시 그 원인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A. 문진
첫 증상, 발병양상, 유병기간, 진행하는 양상을                
파악해야 한다.
B. 신경학적 검사 및 신체진찰
신경계 손상이 있을 때 나타나는 징후와 전신질
환에 대한 단서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국소
신경학적결손이 있으면 알츠하이머 병 외의 다른
치매를 의심해야 한다.
C. 일반 실험실 검사
갑상샘호르몬검사, 비타민B12, CBC, 전해질, 매                       
독혈청검사와 같은 기본 혈액검사 등을 포함한
일반 혈액/영상 검사를 통해 이차적 원인을 감
별한다.
D. 뇌촬영
이차적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뇌
종양, 뇌졸중, 수두증 등과 같은 구조적인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CT또는 MRI와 같은 구조 뇌영상
을 시행하게 된다.

cf. 인지기능의 평가와 관련하여 임상에서 사용
하고 있는 신경영상은 크게 분자영상(molecular
image), 기능영상(functional image) 및 구조영

상(structural image)으로 나눈다.
특히 분자영상을 통해 아밀로이드 판(amyloid
plaque), 신경원섬유매듭(neurofibrillary tangle)
과 같은 이전에는 부검으로만 확인이 가능하던
질병의 특이 병리 소견을 in vivo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