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0 (일)

  • 맑음동두천 3.7℃
  • 맑음강릉 9.1℃
  • 맑음서울 4.8℃
  • 맑음대전 5.4℃
  • 맑음대구 6.3℃
  • 맑음울산 7.3℃
  • 맑음광주 6.1℃
  • 맑음부산 8.3℃
  • 구름조금고창 1.4℃
  • 맑음제주 7.4℃
  • 구름조금강화 0.7℃
  • 맑음보은 3.5℃
  • 맑음금산 3.6℃
  • 맑음강진군 4.9℃
  • 맑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8.1℃
기상청 제공

제약

“G단백질수용체 초기 구조 규명‥신약개발에 기여”

국제학술지 셀(Cell)에 ‘의약품 수용체’ 신호전달 과정 밝혀

‘의약품 수용체’로 불리는 G단백질 수용체 결합의 초기 구조가 규명돼 향후 신약 개발에 새로운 전략을 제시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성균관대 정가영 교수 연구팀이 G단백질수용체가 외부 신호와 결합해 세포 내 반응을 유도하기까지의 순차적인 구조 변화를 규명했으며, 나아가 약물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G단백질수용체의 구조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G단백질수용체는 세포막의 문지기의 기능을 하며 호르몬, 의약품 등을 세포 내로 전달해 적절한 반응을 유도한다. 현재 사용 중인 의약품의 약 40%가 G단백질수용체를 통해 작용한다.


정가영 교수는 “지난 2012년 G단백질수용체 연구가 노벨화학상을 받은 이후로 이 수용체와 G단백질과 결합의 구조를 이용해 약물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많았지만 실질적인 결실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연구팀은 G단백질수용체가 G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연구한 끝에 결합 초기 G단백질수용체 구조가 세포 내 반응을 유도하는 효과적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그간 연구되어 온 G단백질수용체의 구조는 G단백질이 활성화된 이후의 형태(step4)로, G단백질 결합과정을 규명하기에 적절한 모델이 아니었다. 연구팀은 G단백질이 결합한 초기(step 2,3) 구조가 신약개발 추진에 더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2012년 노벨화학상 이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G단백질수용체에 의한 G단백질 활성 원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이론을 제시했다”라며, “향후 G단백질수용체에 작용하는 의약품 개발의 새로운 전략이 될 것이다”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