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0 (일)

  • 맑음동두천 -2.1℃
  • 맑음강릉 -1.7℃
  • 맑음서울 1.0℃
  • 맑음대전 -1.1℃
  • 맑음대구 0.1℃
  • 맑음울산 0.8℃
  • 맑음광주 0.3℃
  • 맑음부산 3.1℃
  • 맑음고창 -3.1℃
  • 맑음제주 4.6℃
  • 맑음강화 -2.5℃
  • 맑음보은 -2.8℃
  • 맑음금산 -2.8℃
  • 맑음강진군 0.7℃
  • 맑음경주시 -2.6℃
  • 맑음거제 1.0℃
기상청 제공

학회

“골밀도 T점수 -2.5 환자가 -2.4 되면 안전한가요?”

골다공증 급여 기준 개정, 만성질환 우선순위 재설정 논의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골감소증 환자의 약물 치료를 선별급여로 적용하고, 골다공증 치료 후 기준을 치료 시작점과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우리나라 골다공증 치료제 보험인정 기준은 골밀도 측정 시 T-score가 -2.5 이하일 때 급여 투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골다공증 약제를 급여 투여하고 있던 환자가 치료 이후 T값이 -2.4로 개선될 경우, 골절위험이 여전히 존재함에도 급여치료를 받을 수 없다.


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골다공증은 낮은 진단율과 저조한 치료율로 골절까지 이어지기 쉽고 이는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이에 골다공증의 치료에 관한 제도적 보완 필요하다는 지적이 대한골대사학회 중심으로 나왔다.


대한골대사학회는 30일 춘계학술대회를 열고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을 위해 ▲약물치료 범위개선 ▲골절위험도 평가 도구(FRAX) 이용 ▲만성질환으로 골다공증 관리 ▲골절환자의 재골절 예방 시스템 FLS 도입 등으로 정책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학회가 공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한골대사학회 회원들은 ‘골다공증에 정부 지원이 크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고혈압과 당뇨와 같은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골다공증 약물 치료 보험급여 기준이 지나치게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설문에 참여한 의료진들은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적 지원으로 ‘골다공증 약물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 범위 개선’을 꼽았다.


치료제 투여 후 추적검사에서 DEXA를 이용한 T-score가 -2.5 이상으로 개선 시 급여가 중단되고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현행 기준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김태영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골절력이 있고, 고령인 ‘고위험성 골감소증 환자’에게 약제급여가 확대되고,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환자 상태에 따라 골밀도 검사 간격을 1~2년으로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DEXA,덱사) 기기로 스캔할 경우 방사선이 1~4 uSv가 발생한다. 흉부촬영 시 발생하는 60 uSv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BMD 추적검사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에서는 1~2년에 한 번씩 검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미국 내분비학회 치료진단 가이드라인에서는 골밀도 검사는 1~2년에 한 번씩 검사하는 것을 권장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NOF 가이드라인 역시 1~2년을 권고한다. 국제 골밀도학회(ISCD)는 추적 간격을 각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하고, 좀 더 장기적인 기간을 두고 검사하라고 제안한다. 한편, 미국 가정의학회는 덱사 스캔을 2년 이전에는 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2년 사이에 골밀도에 큰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도 국제 가이드라인에 따라 1~2년의 간격을 두고 검사한다면,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검사비용을 감소하면, 의료비와 환자가 부담하는 의료비가 감소되고 이는 치료지속성을 늘려 골절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이날 골다공증을 ‘만성질환 관리 대상 질환’으로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골다공증 환자의 심각한 문제는 약물 치료율이 매우 낮고, 치료 중단율이 높다는 점이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당뇨 약물 치료율은 67.2%, 고혈압 약물 치료율은 65%였지만, 골다공증은 34%에 그쳤다. 또한 치료 약물을 처음 시작한 후 1년 안에 100명 중 66명이 치료를 중단했다.


‘국내 만성질환정책의 개괄 및 골다공증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조호찬 계명의대 내분비내과 교수는 “국내 만성질환 대책 현황은 고혈압·당뇨 위주이며, 심지어 정부의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2011-2020)에 골다공증과 골다공증성 골절 감소를 위한 목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라고 말했다.


이는 골다공증 유병률이 9%로 우리나라보다 낮은 수준인 미국이 ‘Healthy people 2020’에서 골다공증 유병률과 골다공증성 골절 감소를 위한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대비되는  정책이라고 조 교수는 지적했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