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4℃
  • 구름많음강릉 21.3℃
  • 구름조금서울 17.2℃
  • 구름많음대전 21.1℃
  • 맑음대구 18.8℃
  • 맑음울산 17.7℃
  • 구름많음광주 20.9℃
  • 맑음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21.7℃
  • 흐림제주 24.5℃
  • 구름많음강화 16.6℃
  • 구름조금보은 18.7℃
  • 구름많음금산 22.6℃
  • 구름많음강진군 21.2℃
  • 맑음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18.6℃
기상청 제공

급성심근경색증환자 119 이용 겨우 22%

“119 이용 시 신속 진료, 환자 예후에 큰 도움”

국내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중 응급의료서비스인 119 구급차(이하 119)를 이용한 경우는 10명 중 2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19를 이용해 병원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7.6시간으로 119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25시간이 걸린 것 보다 무려 3배 이상 단축됐다.


이같은 결과는 전남대학교병원이 주관하고 있는 한국인 급성심근경색증 환자 등록연구(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KAMIR)의 연구팀이 지난 2011년11월부터 4년간 3차병원에 자가용을 제외한 교통수단으로 도착한 급성심근경색증 환자 8,863명 중 119를 이용한 EMS(Emergency Medical Service)군과 non-EMS군으로 나누어 실시한 연구조사에서 밝혀졌다.


이번 조사에서 EMS 환자의 수는 1,999명(22.6%)으로 10명 중 2명만이 119를 이용했으며, 이는 미국의 119 이용률(60~70%) 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EMS군에는 고지혈증·심부전증·심근경색증 등의 병력이 있는 환자가 많아, 이들이 증상의 심각성을 인지해 119를 많이 이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증상 발생부터 병원까지 도착 소요시간이 EMS군은 7.6시간이었으며, non-EMS군의 24.9시간 보다 무려 3배 이상 단축됐다.


이어 병원 도착 후 시술까지의 소요시간은 미국심장학회의 기준인 90분 이내 시행한 경우가 EMS군이 65%로 non-EMS군 보다 2배 정도 많았다.

이는 119를 이용한 경우, 이송 중 대부분 구급대원이 환자정보를 이송 병원으로 전달해 줌으로써 신속한 진료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EMS군 성별로는 남성이 72.4%로 여성보다 많았으며, 65세 이상 고령의 여성과 당뇨병 환자들의 이용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EMS군의 1년 내 사망률이 4.2%로 non-EMS군(5.9%) 보다 낮아, 119 이용 여부가 치료 예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조사를 통해 심근경색증 환자들의 119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과 대대적인 홍보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무엇보다 많은 환자들이 119를 이용함으로써 환자 예후에 큰 도움이 되고, 의료비 절감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연구결과는 대한내과학회지 영문잡지인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과 대한응급의학회지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정명호 교수는 “119는 심전도 감시와 심폐소생술도 가능하고 심장중재술이 가능한 심장전문병원으로 신속하게 환자를 이송시킬 수 있다” 면서 “앞으로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국가차원의 대국민 홍보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