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이사장 배희준, 서울의대 신경과)는 4월 19일 개최한 기자간담회를 통해 국내 필수 중증환자 이송등 응급의료체계 문제가 25년째 반복되고 있음에도 치료받을 곳 찾지 못해 사망하는 사례는 여전하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뇌졸중 전문의 기반 이송체계 구축과 진료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담당한 대한뇌졸중학회 김태정 홍보이사(서울의대 신경과)는 뇌졸중은 적기에 치료를 받으면 환자가 건강한 삶을 회복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적기의 치료마저 받지 못하는 사례가 25년째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119에서 치료를 하는 전문 진료과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체계와 치료 전체 과정을 관리하는 관제 센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강원의대 신경과)은 병실과 의료진 부족 문제로 24시간 치료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 힘든 상황에서, 경증 환자로 넘치는 응급의료센터 응급실에서 중증 환자의 진료가 사실상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내놓는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대한뇌졸중학회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의대 신경과)은 가까운 미래에 전문인력 부족으로 현재의 뇌졸중 진료 체계를 운영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지금의 추세라면 5-10년뒤 연간 10만 명의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뇌졸중 전문의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의대 신경과)는 뇌졸중 집중치료실이 낮은 수가로 뇌졸중 센터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제도적인 문제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뇌졸중에 대한 수가 개선과 신설이 필요하고, 뇌졸중 집중치료실 수가도 간호간병통합 병실료보다 최소 1.5배 이상 상향 조정되어 필수 중증 분야가 젊은 의사들이 지원하고 싶은 분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자리에서 배희준 이사장은 “현재 시술이나 수술을 하지 않는 뇌졸중의 경우 일반진료질병군으로 분류돼 전문진료질병군 환자를 30% 이상 유지해야 하는 상급종합병원에서는 뇌졸중 환자 진료를 거부하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다”며 “성인 장애 주요 원인인 뇌졸중은 전문진료질병군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