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구름조금동두천 9.6℃
  • 흐림강릉 7.8℃
  • 구름조금서울 11.5℃
  • 구름많음대전 10.8℃
  • 구름조금대구 12.3℃
  • 구름많음울산 11.9℃
  • 맑음광주 10.8℃
  • 맑음부산 15.7℃
  • 맑음고창 11.2℃
  • 흐림제주 12.1℃
  • 맑음강화 10.3℃
  • 구름조금보은 10.7℃
  • 구름조금금산 10.3℃
  • 맑음강진군 12.4℃
  • 흐림경주시 10.5℃
  • 구름조금거제 13.0℃
기상청 제공

건강/연수강좌

추운날씨 혈관 수축, 근육 긴장도로 인해 통증 심한 `턱관절장애'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 받는다면 80% 완치 가능
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정진우 교수

턱관절장애는 추운 날씨에 발생 빈도가 높아지기도 하는데, 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정진우 교수는 “추운 날씨에 혈관 수축, 근육 긴장도 증가 등으로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라며, “생활 속 습관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턱관절장애란 턱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뼈, 근육 또는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대표적인 종류로는 관절원판(디스크)장애, 관절염, 근육장애 등이 있다.

 

턱관절장애의 발병률은 매우 높은 편인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턱관절장애 환자는 2015년에서 2019년 사이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전체 인구 3명 중 한

 ▲ 정 진우 교수

 

명 정도가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턱을 전후좌우로 움직일 때, 또는 음식을 씹을 때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두경부 통증을 포함해 입을 크게 벌릴 수가 없거나 다물 수 없는 경우 등과 같이 턱관절장애로 치료받아야 할 사람은 전체 인구의 5~7% 정도다.

 

턱관절장애는 다른 근골격계질환과 다르게 특이한 유병률을 보이고 있는데, 전체 연령층 가운데 20~3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며,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은 감소하고,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발병한다. 턱관절 질환이 여성에게 더 많이 발병하는 이유는 턱관절 내 염증 유발물질의 차이로 추측하고 있다. 젊은 연령층에서 빈발하는 이유는 이 연령층에서 저작근의 근력이 가장 높아 관절에 하중을 많이 받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 뼈 대사도 활발해서, 관절에 지속적 하중을 받을 때 뼈의 흡수도 활발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턱관절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적인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장애는 이 악물기 또는 이갈이 같은 나쁜 습관이나 잘못된 자세나 장시간의 업무로 인한 근육의 긴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또, 안면부 외상이나 한쪽 치아가 안 좋아서 반대쪽으로만 음식물을 씹는 경우 아래턱 전체가 일시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쳐져 디스크나 관절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턱관절장애의 증상은 종류별로 매우 다양하다. 관절원판(디스크)장애는 가장 흔한 턱관절장애인데, 턱관절의 관절원판(디스크)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빠져나온 상태다. 초기에는 입을 벌릴 때 소리가 나기 시작하며, 진행되면 입을 벌리거나 음식을 씹을 때 통증이 발생한다. 더 많이 진행될 경우 입을 조금밖에 벌리지 못하게 되는 개구제한증상이 발생한다.

 

골관절염은 턱관절의 뼈가 마모되거나 손상된 상태로, 턱관절 뼈 표면의 염증으로 관절뼈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마모로 인해 턱관절 뼈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심한 경우 부정교합(개방교합)이나 얼굴 모양의 비대칭이 발생할 수 있다.

 

근육장애는 턱관절장애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근육통으로 근막통증을 들 수 있는데, 입을 벌릴 때 턱 전체로 뻐근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만성으로 지속되면 두통도 함께 발생한다. 근막통증이 저작근육에서 발생할 경우 입을 조금밖에 벌릴 수 없는 개구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증상이 있다면, 턱관절장애의 초기 증상을 의심할 필요가 있지만, 소리가 난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아니므로 전문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입을 벌릴 때마다 통증이 존재하거나 입이 벌어지는 양이 다른 사람보다 적다면 치료받을 필요가 있다. 특히 안면비대칭이 갑자기 나타나거나 치아 교합이 달라지는 증상, 특히 앞니 간 거리가 벌어지는 개방교합이 나타난다면 턱관절의 골관절염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 진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턱관절장애의 치료는 크게 구강 내 장치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외과적 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강 내 장치치료는 턱관절의 근육과 하중을 줄여주고 턱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최적의 교합을 만들 수 있어 많이 사용하는 치료방법이다. 구강 내 장치 치료를 할 경우, 치료기간에 주기적으로 치과에 방문해 장치를 잘 조정해야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통해 관절 염증을 빠르게 완화시키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톡스나 관절주사와 같은 주사요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 드물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턱관절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사를 하거나 말을 하는 등의 정상적인 턱의 사용 이외에 불필요하게 턱을 비틀거나 힘을 가하는 어떠한 것도 피하는 것이 좋다. 바른 자세에서 얼굴에 힘을 빼보면 입술이 다물어진 입안에서 윗니, 아랫니가 서로 미세하게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정상적인 근육과 관절 상태에서의 턱은 이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이완돼있는 것이 정상이다. 습관이나, 스트레스, 긴장 등의 다양한 이유로 무의식중에 윗니, 아랫니가 맞물려 있다면 반복해서 얼굴에 힘을 빼주면서 턱관절과 근육이 편안하게 있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턱을 옆으로 틀면서 씹게 하는 질기고 딱딱한 음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턱을 자주 괴거나 엎드려 자는 것, 한쪽으로만 씹거나 누워 자는 것은 턱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끝으로, 정진우 교수는 “턱관절장애의 치료는 미리 예방하거나 초기에 더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턱관절장애는 난치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를 받는다면 환자의 약 80%는 완쾌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정 교수는, “턱관절장애 치료가 올바르게 이뤄진다면 두통을 포함한 목, 어깨의 동통 등 기타 증상도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라며, “턱관절장애의 여러 가지 원인들에 대해 잘 인지하고 이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예방법임을 강조하고 싶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는 매년 11월 9일을 ‘턱관절의 날’로 지정해 턱관절의 중요성과 생활습관 관리 및 치료의 필요성을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진료중인 정 진우 교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