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전국 7,383개 요양기관(의원이 6,691기관으로 90.6%)의 ‘13년 1월~6월 심사분(약 300만건) 대상으로 2013년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적정성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공개하였다.
유소아 급성중이염 항생제 처방률은 86.1%로 전년대비 2.9%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급성비화농성중이염과 급성화농성중이염 구분 없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요양기관 규모별로는 상급종합병원 50.2%, 병원 85.8%, 의원 86.5%로 종별규모가 작을수록 항생제 처방률이 높게 나타났다.
항생제 처방률이 가장 높은 연령구간은 6개월~2세미만으로 86.7%이고 가장 크게 감소한 연령구간은 7~15세미만으로 전년대비 4.0%감소한 84.2%였다.
의원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급성화농성중이염 항생제처방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충남지역이 90.2%로 가장 높았고, 제주지역은 화농성과 비화농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표시과목(의원)별로는 소아청소년과가 88.8%로 의원 전체 평균보다 높았고 전년대비 감소율은 내과(5.9%), 일반의(4.2%), 이비인후과(4.0%), 가정의학과(3.6%), 소아청소년과(2.3%)순으로 나타났다.
성분계열별 항생제 처방비율 평가결과, 2차 선택 약제로 권고되는 아목시실린과 클라불라네이트(Amoxicillin/Clavulanate) 복합제를 가장 많이(52.2%) 처방하고, 세팔로스포린계열(Cephalosprin, 35.6%), 아목시실린(Amoxicillin, 21.3%)순으로 처방하였다.
2010년 진료지침에는 아목시실린(Amoxicillin)을 1차 선택 항생제로 권고하고 있으나, 병원과 의원은 아목시실린과 클라불라네이트(Amoxicillin/Clavulanate)복합제, 종합병원급 이상은 세팔로스포린계열(Cephalosporin) 약제 처방비율이 높았다.
급성중이염에 원칙적으로 권고되지 않는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처방률은 8.5%로 전년 (8.0%)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스테로이드제 적정사용을 위한 노력 및 관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기관 규모별 부신피질호르몬제 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 1.6%, 종합병원 6.6%, 병원 8.8%, 의원 8.6%로 병․의원의 처방률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