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구름많음동두천 11.3℃
  • 흐림강릉 9.2℃
  • 흐림서울 12.6℃
  • 대전 16.1℃
  • 구름많음대구 19.9℃
  • 구름많음울산 19.9℃
  • 광주 17.7℃
  • 흐림부산 17.7℃
  • 구름많음고창 15.1℃
  • 흐림제주 18.2℃
  • 맑음강화 8.6℃
  • 흐림보은 16.6℃
  • 구름많음금산 17.4℃
  • 흐림강진군 17.5℃
  • 흐림경주시 20.5℃
  • 흐림거제 17.4℃
기상청 제공

질병정보

메니에르병 회전감 있는 현기증, 이명, 귀 충만감 동시 발현

‘메니에르병’ 진료인원 연평균 9.5% 증가,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메니에르병(B02)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 200653천명에서 2010 76천명으로 4년간 약 23천명이 증가(43.7%)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9.5%로 나타났다.

 

총 진료비 2006 35억원에서 2010 55억원으로 4년간 약 20억원이 늘어54.2%증가하여 연평균 11.5%증가율을 보였다.

 

1. <메니에르병>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2006~2010)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

진료인원

()

53,058

59,638

66,549

71,978

76,259

15,346

16,812

18,618

20,175

21,763

37,712

42,826

47,931

51,803

54,496

총진료비

(천원)

3,589,970

4,110,324

4,491,132

4,871,113

5,535,319

1,096,741

1,210,534

1,320,013

1,457,138

1,599,522

2,493,229

2,899,790

3,171,119

3,413,975

3,935,797

 

메니에르병의 성별 분석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21,763, 여성이54,496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2.5배 많았다.

2006년 대비 2010년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28.9%에서 28.5%로 감소했으며 여성은 71.1% 에서 71.5%로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진료인원이 9.1%, 여성 진료인원 9.7%로 나타났다.

 

2. <메니에르병> 성별 진료인원 점유율 및 증감률(2006~2010)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

-

성비(여성대비남성)

2.5

2.5

2.6

2.6

2.5

-

점유율

28.9%

28.2%

28.0%

28.0%

28.5%

-

71.1%

71.8%

72.0%

72.0%

71.5%

-

 

2006

2007

2008

2009

2010

연평균

전년대비

증감률

-

12.4%

11.6%

8.2%

5.9%

9.5%

-

9.6%

10.7%

8.4%

7.9%

9.1%

-

13.6%

11.9%

8.1%

5.2%

9.7%

 

 

메니에르병의 연령별 분석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50 20.4% 가장 많았으며 70대 이상은 19.8%, 60대는 19.4%의 순이었다.

 

3. <메니에르병> 연도별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2006~2010)

구 분

진 료 인 원 ()

연령별 점유율

2006

2007

2008

2009

2010

2006

2007

2008

2009

2010

0~

9

127

139

118

166

140

0.2%

0.2%

0.2%

0.2%

0.2%

57

68

49

84

71

70

71

69

82

69

10~

19

1,497

1,676

2,037

2,573

2,484

2.8%

2.8%

3.1%

3.6%

3.3%

580

613

793

949

976

917

1,063

1,244

1,624

1,508

20~29

3,764

4,114

4,547

4,941

4,908

7.1%

6.9%

6.8%

6.9%

6.4%

977

1,057

1,129

1,182

1,222

2,787

3,057

3,418

3,759

3,686

30~39

7,788

8,552

9,008

9,480

9,608

14.7%

14.3%

13.5%

13.2%

12.6%

2,150

2,323

2,343

2,426

2,580

5,638

6,229

6,665

7,054

7,028

40~49

10,379

11,427

12,344

13,075

13,635

19.6%

19.2%

18.5%

18.2%

17.9%

2,957

3,166

3,386

3,458

3,608

7,422

8,261

8,958

9,617

10,027

50~59

10,510

11,807

13,243

14,354

15,574

19.8%

19.8%

19.9%

19.9%

20.4%

3,053

3,374

3,665

3,970

4,385

7,457

8,433

9,578

10,384

11,189

60~69

10,712

11,929

13,151

13,863

14,783

20.2%

20.0%

19.8%

19.3%

19.4%

3,198

3,456

3,847

4,215

4,467

7,514

8,473

9,304

9,648

10,316

70세이상

8,281

9,994

12,101

13,526

15,127

15.6%

16.8%

18.2%

18.8%

19.8%

2,374

2,755

3,406

3,891

4,454

5,907

7,239

8,695

9,635

10,673

 

 

-10세 미만의 연령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50대 이상의 고연령층이 차지하는 점유율이59.6%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이상의 진료인원은 2006 8,281명에서 2010 15,127명으로 82.7%가 증가하여 전 연령구간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심사평가원 노영수 상근심사위원에 따르면

 

메니에르병(또는 메니에르증후군)이란 회전감 있는 현기증, 청력의 저하, 이명(귀울림), 귀 충만감(귀가 꽉 찬 느낌) 등의 증상이 동시에 발현되는 질병이다.

 

1861년 프랑스 의사 메니에르(Meniere)에 의해 처음 기술되어 메니에르병으로 불린다. 

 

메니에르병에 대한 정확한 발병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내림프액의 흡수장애로 인한 내림프수종, 알레르기, 과로 및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내림프수종은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높아지기 때문에 고연령층에서 메니에르병이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현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메니에르병으로 인한 현기증은 대부분 발작성으로 나타나며 오심, 구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난청은 초기에 한쪽 귀에서 시작되나 병이 진행되면 양측 모두에서 나타난다.

 

메니에르병을 진단할때는 회전감 있는 현기증의 지속시간이 중요한데 대개 20분 이상 지속되고, 24시간을 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로는 월경 전후 및 폐경이후 호르몬 변화에 따라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메니에르병은 안정을 위하고 저염식을 중심으로 한 식이요법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약물 요법으로는 이뇨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있고,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하기도 한다.

 

메니에르병은 유발 원인을 회피하는 것이 좋은 예방법이 될 수 있다. 

 

음주, 흡연, 과도한 커피 섭취를 피하고 충분한 수면을 통해 피로를 누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혈중 염분농도가 높아지면 내림프액의 압력이 높아져 급성 발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염분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