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 불임 진료인원은 2006년 14만8천명에서 2010년 18만4천명으로 5년간 약 3만6천명늘어 24.4%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5.8%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 이 기간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불임(N46, N96~N97)’에 대해 분석한 결과, 총진료비는 2006년 143억원에서 2010년 203억원으로 약42.0%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9.4%로 나타났다.
붙임 진료인원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34,811명, 여성이 149,765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4.3배로 나타났다. 반면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11.3%로 여성의 4.8%에 비해 2배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임을 연령별로 보면 2010년을 기준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30대가 가장 많아 남성 73%, 여성 66.7%로 나타났다.
여성의 가임연령은 20~40대로 불임은 거의 대부분이 이 연령구간에서 발생한다(남성 97.7%, 여성 99.6%). 2011년 9월 15일 기획재정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초혼연령이 2010년 기준으로 남성 31.8세, 여성 28.9세 지속적으로 높아져감에 따라 20대의 불임이 낮아지고, 30대의 불임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심사평가원 전운천 상근심사위원에 따르면 불임이란 1년간 별다른 피임을 하지 않은 부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불임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남성 또는 여성의 생식세포의 발생부터 정자와 난자의 수정, 수정된 배아의 발달, 배아의 자궁 내 착상까지 전 과정 중 한 단계에서라도 이상이 있으면 불임이 될 수 있다.
남성 불임의 요인으로는 역행성 사정, 내분비질환, 음낭 질환 등이 있다, 여성 불임의 원인으로는 크게 배란장애, 나팔관 이상, 자궁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원인 불명의 불임도 약 10% 정도 차지한다.
대부분의 불임 부부는 절대적 불임 상태가 아니며, 수태능력이 저하된 상태인 경우가 많다. 불임 상태인 부부는 가임력이 매우 떨어져 있으므로 자연 임신을 기다리기 보다는 적극적인 치료를 받도록 권장되고 있다.
불임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명확히 이야기하기 어렵다. 자궁강유착증 등은 이전에 앓았던 골반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고, 골반염은 유산 수술 후의 감염, 성매개성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전한 성생활로 이러한 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추후 불임의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여성의 난자는 연령 증가에 따라 급속하게 수와 질이 감소하여 임신 가능성이 감소하며 자연유산도 증가한다. 따라서 불임이 의심된다면 여성의 가임력 감소에 대비하여 적극적으로 임신을 도모하는 것이 올바른 접근 방법이다.
특히, 불임 부부는 성생활이라는 개인영역에 의료적 중재가 개입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해 질 수 있는데, 불임은 남성 혹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며 부부 모두에게 해당되는 것이므로 함께 불임치료를 받으면서 부부간의 격려와 배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