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식증으로 인한 진료비 5년간 26% 증가
2011년 폭식증진료환자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18배 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 www.nhic.or.kr)은 최근 5년간(2007~2011년) ‘폭식증(F502~F504)’
진료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확인되었다.
이에따르면 진료환자 인원은 2007년 2천102명에서 2011년 2천246명으로 5년새 6.85% 증가하였다.
구분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전체 |
2,102 |
1,802 |
2,032 |
2,262 |
2,246 |
남성 |
100(4.8) |
91(5.0) |
93(4.6) |
112(4.9) |
119(5.3) |
여성 |
2,002(95.2) |
1,711(95.0) |
1,939(95.4) |
2,150(95.1) |
2,127(94.7) |
2011년 ‘폭식증’ 진료환자의 성별․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대부분의 진료환자들이
젊은 연령대에서 발생하였다.
여성의 경우 20~40대 환자수가 전체 여성 환자의 대부분인 83%를 차지하였다. 특히 20대 여성은
전체 여성 환자수의 43.7%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환자수가 많지 않지만, 20대가 전체 남성 환자수의 46.2%로 절반 가량을 차지하였고,
20대 미만과 30대가 각각 17.6%, 20.2%를 차지하였다.
이를 다시 2007년과 2011년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여성은 50대에서 34.5% 증가하였고, 60대 이상에는
32.6% 감소하였다. 남성의 경우 20대 미만 환자와 30대 환자가 각각 75%, 50% 증가한 반면
40대 환자는 2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식증’ 진료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07년 4억 5천2백만원에서 2011년 5억 7천2백만원으로
26%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는 남성의 경우 4천 9백8십만원, 여성의 경우 5억2천3백만원으로 여성의
진료비가 훨씬 더 많았다.
2011년 성별․연령별 폭식증으로 인한 총진료비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 진료환자수와 마찬가지로
20대가 가장 많았으나, 세번째로 진료환자수가 많았던 40대보다 20대 미만의 폭식증 환자의 진료비가 더 많았다
‘폭식증’으로 인한 1인당 진료비는 남성의 경우 2007년 9만4천원에서 2011년 41만9천원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2009년부터는 1인당 진료비가 여성보다 더 많았다.
총진료비의 분포와 달리 2011년 폭식증으로 인한 1인당 진료비는 여성이 24만 6천원인 반면,
남성은 41만 9천원으로 남성이 1인당 사용하는 진료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20대 미만 진료환자는 전체 진료환자의 9.1%에 불과하였으나, 1인당 진료비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20대 미만이 75만 3천원, 51만 4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남성은 30대, 여성은 20대가 다음으로 많았다.
1인당 진료비의 경우 남성이 진료환자수는 적으나 더 많은 진료를 받아 전반적으로 남성이 많았으나,
50대 이상은 여성이 더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