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 따르면, ‘고지혈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2006년 54만명에서 2010년 105만명으로 나타나 최근 4년간 연평균 18.1% 증가했다.
남성은 2006년 3만1천명에서 2010년 42만5천명으로 1.8배늘었고 여성은 2006년 30만9천명에서2010년 62만7천명으로 2.0배 증가하여 여성증가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을 기준으로 성별․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남성은 60대(4,457명) > 50대(3,732명) > 70대(3,569명) 순(順)이고, 여성은 60대(8,847명) > 50대(6,740명) > 70대(6,096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특히, 10~40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으나, 50~70대는 남성보다 여성이 1.7~2배 가량 많았다.
<2010년 1차 건강검진 결과 ‘이상지질혈증 질환의심’ 현황>
(단위 : 천명, %)
구 분 |
계 |
남성 |
여성 | ||||||
수검 인원(A) |
이상지질의심(B) |
B/A |
수검 인원(A) |
이상지질의심(B) |
B/A |
수검 인원(A) |
이상지질의심(B) |
B/A | |
계 |
10,851 |
2,611 |
24.1 |
6,017 |
1,703 |
28.3 |
4,834 |
908 |
18.8 |
30대이하 |
3,519 |
634 |
18.0 |
2,208 |
551 |
25.0 |
1,311 |
82 |
6.3 |
40대 |
2,550 |
631 |
24.7 |
1,423 |
470 |
33.1 |
1,128 |
161 |
14.3 |
50대 |
2,610 |
757 |
29.0 |
1,346 |
423 |
31.4 |
1,264 |
334 |
26.4 |
60대 |
1,295 |
361 |
27.8 |
648 |
171 |
26.4 |
647 |
190 |
29.3 |
70세이상 |
878 |
229 |
26.1 |
393 |
88 |
22.4 |
485 |
141 |
29.1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이상현 교수는 고지혈증 환자 증가원인으로 음식섭취의 서구화와 국가검진 등을 통해 증세가 없어도 건강검진을 받으며 몰랐던 고지혈증에 대해 인식하고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교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해서도 “중년이 되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체중관리를 하고, 콜레스테롤이 낮은 음식을 섭취하며 저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전했다. 또한 “고지혈증의 경우 발병원인을 해결한다고 하더라도 평생 관리하고 조절한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