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이상 노화현상따른 척추 퇴행성 변화로 환자늘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허리디스크(기타 추간판 장애)’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은 약 208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20.4%가 증가하였다.주로 진료받은 연령층은 50대로 전체 진료인원의 2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허리디스크‘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172만명에서 2014년 약 208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5만명(20.4%)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4.7%이며, 총진료비는 2010년 약 4,996억원에서 2014년 약 5,973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977억원(19.5%)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4.6%를 보였다. 표1. 허리디스크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구 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진료인원(명)계1,724,467 1,816,511 1,939,512 1,962,311 2,075,586 남701
여자,하체 압박하는 의상 피하고, 체중조절, 골반근육운동 병행남자,전립성비대증 치료와 카페인, 알콜, 흡연 등 조절 필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요실금(尿失禁)’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2009년~2014년)를 분석한 결과 요실금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2009년 12만7,013명에서 2014년 12만4,107명으로 연평균 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연평균 감소추세는 2009년부터 2011년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2012년 이후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 진료비는 2009년 602억9,136만원에서 2014년 516억6,800만원으로 감소하였다(연평균 3.0% 감소).진료비 추이를 성별로 구분하여 보면, 여성은 연평균 3.3% 감소하였지만, 남성에서는 8.5% 증가했으며, 1인당 진료비 역시 여성에서는 연평균 2.5% 감소한 반면 남성에서는 3.7% 증가했다. 그러나 여성의 1인당 진료비가 남성에 비해 2.4~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요실금’ 진료인원, 진료비 및 급여비 현황 ](단위 : 명, 백만원)구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연평균증가율진료인원전체127,013
운동, 식사, 독서즐기고 절주, 금연, 뇌손상예방하며 건강검진, 치매조기검진, 소통하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2014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경도인지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0년 2만 4천명에서 2014년 10만 5천명으로 약 4.3배 증가하였다.총진료비는 2010년 66억 원에서 2014년 351억 원으로 연평균 52.0% 증가하였다.2010년부터 전국 시군구 보건소 중심으로 치매선별검사 등 조기검진사업이 집중적으로 수행되었고, 치매의 예방과 조기발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면서 치매로 가기 전 단계라 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수가 최근 5년 평균 43.9% 증가한 것으로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보고 있다.2014년 기준으로 경도인지장애 진료를 받은 실제 환자수는 여성이 71,880명, 남성이 33,718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2배 많았다.이와 같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성별 특성은 치매 질환에서도 나타나며, 2014년 여성 치매환자 수는 316,903명인데 비해 남성 치매환자수는 125,952명으로 여성의 40% 수준이었다.연령별 적용인구를 적용하여 ‘경도인지장애’ 진료환자의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화상(T20-T26,T31)'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9년 45만 4,068명에서 2014년 50만 5,278명으로 연평균 2.2% 증가하였고, 총 진료비는 2009년 914억 원에서 2014년 1,265억 원으로 연평균 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2014년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율을 보면 9세 이하가 16.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건강보험적용인구 10만 명당으로 보정하면, 9세 이하가 1,881명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약 2배 정도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정상원 교수는 ‘화상’ 환자 중 9세 이하 어린이가 많은 이유에 대해 “어린이의 경우 피부의 두께가 성인보다 얇은 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성이 있다. 또한 호기심이 왕성한데 비해, 신체조절 기능이 성인에 비해 미숙하고, 판단력 및 사고 발생 시 대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성인에 비해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특히 보호자의 한순간의 부주의에도 쉽게 화상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전통적인 식생활 문화로 인
30~40대 진료인원 가장 많아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에 따르면, ‘조현병(F2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는 9만 4천명(2010년)에서 10만 4천명(2014년)으로 나타나 2010년-2014년 동안 연평균 2.6% 증가하였다.남성은 4만 6천명(2010년)에서 4만 9천명(2014년)으로 3천명, 여성은 4만 8천명(2010년)에서 5만 5천명(2014년)으로 7천명 늘었다.2014년을 기준으로 성별․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현황을 살펴보면 남성은 40대(343명) 30대(288명) 50대(217명) 순(順)이고, 여성은 40대(336명) 50대(316명) 30대(275명) 순(順)으로 나타났다.진료인원을 입원과 외래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2014년 기준 입원환자는 2만 4천명, 외래환자는 9만 4천명에 달했다. 입원환자와 외래환자 모두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의료기관 종별·진료형태별 진료인원 추이는, 상급종합병원과 의원급의 경우 입원이 감소하고 있으며, 나머지 의료기관에서는 입원과 외래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병원급에서는 입원의 증가율이 다른 의료기관보다 높았다. 조현병(F20)
알레르기성 비염이란?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원인으로 인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생기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감기 증상과 비슷하나 감기와 달리 발열증상이 없고 지속기간이 길다.알레르기성 비염’은 주로 환절기에 진료인원이 많이 발생하며, 크게 통연성 비염(집먼지 진드기 등)과 계절성 비염(봄․가을 꽃가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알레르기성 비염 진료인원은 최근 5년간(2010~2014년) 9월 평균 진료인원이 114만6천명으로 전월보다 2배 이상, 3월에 비해 30% 이상 증가를 보였다.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은 약 635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13.2%가 증가하였으며,특히 10세 미만 유․소아가 전체 진료인원의 24.3%(4명 중 1명)를 차지하여,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염은 9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데, 이는 봄․가을철에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인자들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인 ‘사시’(H50.0~H50.9, 사위 제외)에 대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4년 기준으로 사시 진료인원 중 10대 이하(0세~19세)가 84.9%를 차지하였다.남성은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3.9%(9세 이하 57.7%, 10대 26.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여성의 경우도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5.9%(9세 이하 58.7%, 10대 27.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14년 성․연령별 ‘사시’ 진료현황 (단위 : 명)구분전체 20대30대 이상10대 이하9세 이하10대계134,597 114,332 78,373 35,959 6,928 13,337 남성63,840 53,556 36,852 16,704 3,546 6,738 여성70,757 60,776 41,521 19,255 3,382 6,599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사시’가 주로 나타나는 시기, 치료목적, 치료방법과 치료시기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사시가 주로 나타나는 시기- 사시는 소아에게 흔한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
강직성 척추염은 하부 요통과 천장관절염, 진행하는 척추 강직이 주 증상인 척추관절병증에 속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강직성 척추염(M45)으로 인한 산정특례자의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진료인원은 2010년 1만 5,613명에서 2014년 2만 4,137명으로 연평균 1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남성은 2010년 1만 2,686명에서 2014년 1만 9,053명으로 연평균 10.7% 증가하였고, 여성은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4.8% 증가하였다.2014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48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75명, 여성이 20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3.71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인구 10만 명당 94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40대(69명), 20대(61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30대에서 인구 10만 명당 각각 147명, 38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찬희 교수는 매년 강직성 척추염 진료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발병 자체가 증가할 수도 있으나, 그보다는 생소했던 질환이 홍보, 교육을
각막염은 안구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하는 검은 동자에 해당하는 부위인 각막(cornea)에 감염, 알레르기, 독성물질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염증이 생긴 상태를 의미한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각막염(H16)’으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진료인원과 총진료비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 2배 높았으며, 연평균 증가율도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진료인원은 2010년 132만 1천명에서 2014년 174만 3천명으로 422천명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7.2%이며 남성이 6.3%, 여성이 7.7%로 나타났다.총진료비는 2010년 681억원에서 2014년 1,051억원으로 370억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1.4%이며 남성이 9.9%, 여성이 12.2%로 나타났다. ‘각막염'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변화(2010~2014년)(단위: 명, 백만원)구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연평균증가율진료인원계1,321,4311,360,0571,478,3771,674,1391,743,7557.2%남성468,281463,611506,901574,445597,6276.3%여성853,150896
6일 서울 기온은 34.4도, 경북 안동과 영천 지역은 39.3도로 올 최고 기온을 경신했다. 기온이 31.2도를 넘으면 1도 오를 때마다 온열 환자 수가 70%씩 급증하는 만큼 폭염이 위험 수준을 넘어섰다. 오늘도 한낮에 전국이 35도 안팎을 오르내리며 폭염이 절정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순천향대 응급의학과 최재형 교수를 만나 온열질환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온열질환이란?인체는 외부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체온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열에 대한 순응을 시작한다. 온열질환은 이러한 열순응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열순응의 작동 원리를 보면 기온이 35도 미만인 경우 열복사(피부 표면에서 열에너지가 전자파로 방출되는 현상)가 60%, 땀의 증발이 30%의 역할을 하며, 35도 이상의 기온에서는 땀의 증발이 대부분의 역할을 한다. 열복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피부의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량이 증가해야 하고, 땀이 증발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땀이 나야 한다. 이러한 열순응은 결국 혈류량의 증가로 작동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우리의 심장은 중심체온(직장체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분당 3리터의 피를 더 뿜어야 한다. 하지만 심장에 문제가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 소아 및 유아 특히 주의해야 무덥고 습기 찬 여름철에 어린이에게 잘 생기는 전염력이 높은 화농성 피부 감염증인 농가진은 주로 황색 포도알균이 주된 원인이나 화농성 사슬알균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에 대비하여 ‘농가진(L01)’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1년 중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달은 8월로 평균 약 6만3천명이 진료를 받아 가장 적은 2월에 비해 약 3배 많은것으로 조사되었다.진료인원의 절반 이상(2014년 기준 58.6%)이 10세 미만으로 소아 및 유아는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5년간 8월 평균 진료인원은 6만3천명으로 평월에 비해 훨씬 많은 진료인원이 진료받았다.기온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5월까지 진료인원이 2만명 정도로 유지되고 급격히 증가한 후, 10월이 지난 다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진 월별 진료인원 현황 (2010~2014년 평균)(단위: 명)연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2010년21,357 19,885 21,455 19,669 22,091 28,47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은 뇌로 가는 혈액이 일시적으로 부족해서 생기는 뇌졸중 증상이 발생한 지 24시간 이내에 완전히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및 관련 증후군』의 건강보험 진료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2014년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및 관련 증후군(이하,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진료인원은 11만 2,358명으로 성별로는 남자 44.0%, 여자 56.0%로 여자가 약 10% 이상 많았다.연령대별로는 70대가 28.0%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6.6%, 50대가 21.1%, 80세 이상이 11.8% 순이었고, 70대 이상의 고령층이 39.8%를 차지하였다.2014년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23.3명으로 2010년 231.1명 이후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0.9%로 감소하였다.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이 2010년 196.2명에서 2014년 195.6명으로 –0.1% 감소하였고, 여자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이 2010년 266.5명에서 2014년 251.3명으로 연평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