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골고루 먹는 식습관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20% 이상 감소하고 복부비만은 40%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패턴과 대사증후군 발생과의 관련성을 추적 조사한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골고루 먹는 식사습관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위험이 높은 상태 . 이번 조사는 2001년부터 한국인 유전체역학연구 중 안산·안성코호트 참여자 가운데 건강검진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성인 6,640명을 대상으로 평소 식습관의 주요 패턴을 확인하여 2008년까지 추적조사�
최근 심한 근육통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유행성 독감증상환자가 늘고 있다. 세종병원 감염관리실 통계자료에 의하면 이 병원 전체 독감증상환자를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검사를 한 결과, 양성반응을 보인 비율이 5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월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인플루엔자 환자가 올해 들어 2주 사이에 20명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천지역 인근 병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 인 것으로 보인다. 인플루엔자 환자의 대부분은 주로 심한 근육통과 고열, 기침, 인후통 증세를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월 6일 인플루엔자 감염자가 지난해 11월말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국에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아울러 인천을 비롯해 서울, 경기, 강원지역이 인플루엔자 유행 최고 단계인 ‘광범위’로 조사돼 �
60세 이후 처음 발병하는 건선은 보통의 건선(20~50대에 처음 발병)에 비해 발병 빈도와 중증도, 가족력이 낮고 임상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되었다.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윤재일 교수팀(권혁훈, 권인호)이 60세 이상에서 처음 발병한 건선의 빈도와 특징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피부과의 유명 국제지(SCI): International J of Dermatology 2012년 1월호에 게재되었다.연구팀은 1983년 4월부터 2010년 1월까지 27년 간 서울대학교병원 건선클리닉에 내원한 40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건선이 처음 발생한 나이별로 30세 미만 발병의 조기 건선 (early onset), 30세 이상에서 60세 미만에 생긴 중년기 건선(middle onset), 60세 이상에 생긴 노령층 건선(elderly onset)으로 나누고 세 군의 가족력, 건선의 중증도, 형태 등을 비교하여 노령층 건선의 특징을 조사하였다.그 결과, 노령층 건선
음식을 골고루 먹는 식습관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20% 이상 감소하고 복부비만은 40%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패턴과 대사증후군 발생과의 관련성을 추적 조사한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골고루 먹는 식사습관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등 5가지 요소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로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위험이 높은 상태 이번 조사는 2001년부터 한국인 유전체역학연구 중 안산·안성코호트 참여자 가운데 건강검진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성인 6,640명을 대상으로 평소 식습관의 주요 패턴을 확인하여 2008년까지 추적조사�
렙토스피라증, 뎅기열 등' (곤충)매개감염병은 감소 2011년 법정감염병감시 잠정 결과, 국외 체류 중에 감염된 국외유입 사례는, 2010년 335명, 2011년에 337명으로 최근 감염병 국외유입 사례가 200명 내외로 보고되었던 2009년 대비 2.3배 증가세를 보였다2011년에 보고된 주요 국외유입 감염병은 '세균성이질, 뎅기열, 말라리아, 파라티푸스, 장티푸스 등‘이며, 유입 국가는 ’인도, 캄보디아, 필리핀 등'의 아시아 지역과, ‘가나, 카메룬 등’의 아프리카 지역이 많았다질병관리본부는 지난 한 해 동안 국가 감염병 감시 시스템(National Notifiable Disease Surveillance System, NNDSS)을 통해 신고된 법정감염병 발생현황을 분석․정리하여 ‘2011년도 법정감염병 감시 잠정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자료는「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법정감염병 전수감시대상 51종에 대한
여성 인구10만명당 ‘방광염’ 진료환자 추이 (단위:명)구 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연평균 증가율계4,693 4,978 5,255 5,318 5,509 4.1 9세이하1,132 1,112 1,137 1,117 1,097 -0.8 10대991 989 1,014 1,035 1,057 1.6 20대4,584 4,811 5,038 5,129 5,274 3.6 30대5,830 5,963 6,070 6,032 6,062 1.0 40대6,772 7,035 7,255 7,219 7,288 1.9 50대6,389 6,908 7,362 7,439 7,793 5.1 60대5,988 6,604 7,171 7,217 7,638 6.3 70대5,325 6,048 6,748 6,950 7,376 8.5 80대이상3,618 4,174 4,700 4,988 5,342 10.2 국민건강보험공단제공자료
여성 ‘방광염(N30)’ 건강보험 진료비 ․ 급여비 추이 (단위 : 백만원,%)구 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연평균증가율진료비계60,482 70,328 76,867 80,701 86,869 9.5 입원2,609 3,612 4,226 4,793 5,263 19.2 외래39,685 39,967 40,608 42,609 46,092 3.8 약국18,188 26,749 32,033 33,299 35,515 18.2 급여비계42,408 49,056 52,903 55,465 59,691 8.9 입원2,075 2,850 3,233 3,667 4,033 18.1 외래27,103 27,034 27,032 28,243 30,499 3.0 약국13,229 19,171 22,638 23,554 25,159 17.4 ※ 반올림 관계로 내용의 합과 총합이 다를 수 있음국민건강보험공단제공자료 var 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Int("580"); $("img[xtype='photo']").load(function(obj) { var title = $(this).attr('title'); $(this).attr('alt', title
연도별 ‘방광염(N30)’ 진료인원 추이 (단위:천명)구 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연평균증가율(%)계1,1961,2701,3471,3741,4284.5남성9491939292-0.5여성1,1021,1791,2541,2821,3365.0(전년대비)-7.06.42.24.24.9여성비율(%)92.192.893.193.393.6- 국민건강보험공단제공자료 var MYNEWS_PHOTO_LIMIT_WIDTH = parseInt("580"); $("img[xtype='photo']").load(function(obj) { var title = $(this).attr('title'); $(this).attr('alt', title); $(this).removeAttr('title'); var image_align_class = ""; var clazz = $(this).attr('class'); if (clazz != null && clazz.length > 0) { image_align_class = " "+clazz; } $(this).attr('class', 'img'); $(this).removeAttr('xtype'
방광염(N30)' 질환의 증상과 원인, 치료이석영 교수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방광염(N30)‘ 질환의 증상은?- 방광염이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해 생기는 방광점막 및 점막하 조직에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대개 빈뇨나 요절박 등의 방광자극증상과 치골상부동통이나 배뇨통 등을 호소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방광염 여성 환자 중 약 40% 정도에서는 혈뇨를 동반하기도 한다. ‘방광염(N30)‘ 의 발생원인?- 비뇨기계통에 구조적, 기능적 이상 없이 발생하는 단순 급성방광염 형태는 주로 병원성 대장균이 원인이고 이외에도 Klebsiella(클레브시엘라, 협막간균(莢膜桿菌)), Proteus균(프로테우스속(屬)의 장내 세균) 등에 의해서도 감염이 된다.- 여성에게서 방광염이 잘 생기는 원인은 해부학적으로 요도가 남성에 비해 짧고 회음부나 질 입구에 균집락의 형성이 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6~2010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및 기타 명시된 장 감염(A08)’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448,170명에서 2010년 613,778명으로 5년간 약 16만5천명이 증가(37.0%)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8.6%로 나타났다.총진료비는 2006년 200억원에서 2010년 258억원으로 5년간 약 58억원이 증가(29.1%)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7.0%로 나타났다.바이러스성 장염의 진료인원을 성별로 분석해 보면 남성이 매년 약 50.3%~50.9%, 여성이 약 49.1%~49.7%의 점유율을 보여 성별로 인한 질환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성 장염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10세미만의 소아․아동의 점유율이 62.6%를 차지하였고, 10대에서 14.0%를 보여, 바이러스성 장염은 대부분 소아․아동 및 청소년에서 발생(76.6%)하�
“멧돼지 날로 먹으면 오한, 근육통, 마비증세 올 수 있어”서울의대 감염내과 오명돈 교수팀, 선모충 원인의 기생충 집단감염사례 보고감염내과 오명돈 교수팀이 지난 2010년 말 경기도의 한 마을에서 야생멧돼지 고기를 먹은 뒤 오한과 근육통, 마미 등의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51세 여성과 같은 증상을 호소한 마을주민 10여명을 조사한 결과, 모두 선모충증에 걸렸음을 밝혀내고 국제학술지인 대한의과학회지 (JMM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보고했다. 선모충은 회충의 일종으로, 주로 돼지고기를 덜 익힌 상태로 먹을 때 감염되는데, 멧돼지 외에 오소리, 개, 쥐 등에도 기생한다. 조사결과 마을주민들은 지난해 말 사냥으로 잡은 멧돼지를 육회로 만들어 함께 나누어 먹은 뒤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선모충에 감염돼도 초기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감기
전립선 비대로 나타나는 빈뇨,절박뇨등 하부요로증상(LUTS)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6~2010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전립선의 증식증(=전립선비대증, N40)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458,955명에서 2010년 767,806명으로 5년간 약 308,851명이 증가하여 67.3%증가율을 보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3.7%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6년 555억원에서 2010년 930억원으로 5년간 약 375억원이 늘어나 67.4%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3.8%였다 전립선비대증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50대 23.3%, 60대 34.0%, 70세이상 33.2%로 50대이상의 고연령층에서 90.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분석결과 전립선비대증은 30대까지는 약 1.1%로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40대부터 점차 발생하기 시작하여(약 8.4%) 50대이상에서 주로 진료를 받는 것으로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