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4.3℃
  • 구름조금강릉 14.8℃
  • 흐림서울 14.4℃
  • 맑음대전 16.2℃
  • 맑음대구 15.3℃
  • 맑음울산 14.3℃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4.4℃
  • 구름조금고창 15.5℃
  • 맑음제주 14.9℃
  • 흐림강화 10.3℃
  • 맑음보은 14.7℃
  • 맑음금산 16.2℃
  • 맑음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4.9℃
  • 맑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악력 약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환자 심혈관 질환 위험 크다

적절한 영양 섭취와 꾸준한 운동 통해 근력 유지 및 향상 중요 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임태섭 교수, 내분비내과 김경민 교수

악력 약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환자 심혈관 질환 위험 크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환자의 악력이 약할수록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사실을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임태섭 교수, 내분비내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이 대규모 장기 추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입증했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은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의 대사이상이 있으면서 간 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불리던 질환이다. 전 세계 인구 3명 중 1명에게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유병률은 증가 추세이다. 심혈관 질환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에서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하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에서 근력 혹은 근육량의 감소가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결과가 발표된 바 있으나, 대부분은 어느 한 시점만 들여다본 단면연구였다. 이에 연구팀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에서 근력에 따라 실제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달라지는지 종단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에는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수검자 약 20만 명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근력 측정에는 전신 근력과 깊은 연관이 있는 악력을 활용했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은 간에 지방증이 있으면서 대사이상 요소 중 하나 이상을 갖고 있을 때로 정의했다. 심혈관 질환 발생은 국제질병분류 코드(ICD-10)의 진단명을 따랐다.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있는 수검자는 악력에 따라 낮은 악력, 중간 악력, 높은 악력으로 나눴고,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없는 수검자와 함께 심혈관 질환 발생의 차이를 분석했다. 평균 13.1년의 추적 관찰 결과,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없는 집단에서 가장 낮았다. 이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있는 집단 가운데 높은 악력, 중간 악력, 낮은 악력 순으로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컸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같았다. 다변량 분석을 통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 비율(Hazard ratio)을 확인한 결과, 대사이상 지방간이 없는 집단과 비교해 대사이상 지방간을 보유한 남성은 높은 악력(1.03), 중간 악력(1.14), 낮은 악력(1.38) 순서로, 대사이상 지방간을 보유한 여성은 높은 악력(1.07), 중간 악력(1.25), 낮은 악력(1.56) 순서로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커졌다. ▲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 환자의 악력에 따른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남성(a)과 여성(b)에서 모두 대사이상 지방간이 없는 집단(Non-MASLD)에서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낮았다. 그다음으로는 대사이상 지방간이 있는 집단 가운데 높은 악력(High HGS), 중간 악력(Middle HGS), 낮은 악력(Low HGS) 순으로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커졌다. 이번 연구는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에서 악력이 낮을수록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대규모 장기 추적 데이터를 통해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임태섭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근력 저하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의 주요 사망 원인인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이 환자군에서 근력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라며 “앞으로 실제 근력을 강화하는 중재를 통해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번 연구가 그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민 교수는 “그동안 다양한 연구들이 근감소증의 임상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지방간 환자도 근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시사한다”라며 “노화 과정에서 근력과 근육량은 어쩔 수 없이 감소하지만, 적절한 영양 섭취와 꾸준한 운동을 통해 이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건강노화에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IF 9.4)’에 최근 게재됐다.

‘고심박수 뇌경색’ 환자 베타차단제 장기 복용시 생존율 향상

장기 복용시 사망률 1년 시점 18% ... 30개월 시점 31% 까지 확대 1개월 내에 복용중단 환자 복용 않던 환자 비해 사망 위험 17% 더 높아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연구팀

‘고심박수 뇌경색’ 환자 베타차단제 장기 복용시 생존율 향상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연구팀(고대구로병원 신경과 이건주 교수)은 급성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발병 후 심박수가 높은 환자에게 베타차단제를 꾸준히 투여할 경우 장기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전국 20개 병원이 참여한 다기관 뇌졸중 코호트(CRCS-K-NIH)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연계해 시행됐으며,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등록된 5,000여 명의 환자를 최대 10년간 추적 관찰한 대규모 분석 연구다. 뇌경색은 뇌에 산소 및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이 갑자기 막혀 뇌세포가 죽는 질환으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 혈전용해제 혹은 스텐트 삽입술 등을 통해 혈관을 재개통하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시간이 지연될수록 반신마비, 언어장애, 삼킴장애 등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주의가 ▲ 배 희준 교수 필요하다. 이러한 급성 뇌경색은 발병 당시의 치료만큼이나 장기적인 예후 관리가 중요한데, 특히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측정되는 활력 징후 중 하나인 심박수는 예후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안정 시 심박수는 분당 60~100회지만, 일부 뇌경색 환자들은 발병 초기 분당 100회 이상으로 심장이 빠르게 뛰는 고(高)심박수 상태를 보인다. 심장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빠른 것은 뇌 손상으로 인한 자율신경계 불균형, 전신 염증 반응, 또는 숨겨진 심장질환(심방세동, 관상동맥질환 등)의 존재를 시사하며, 고심박수 뇌경색 환자는 심박수가 정상인 환자보다 사망률이 최대 두 배 가량 높다. 문제는 아직까지 고심박수 뇌경색 환자에 대한 명확한 치료전략이 없다는 점인데, 심박수를 낮추는 기전으로 고혈압, 심부전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베타차단제’의 활용 가능성이 제시됐으나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장기연구가 부족해 표준적으로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심박수가 높은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베타차단제를 장기 복용할 시 장기 생존율이 얼마나 개선되는지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뇌경색 발병 후 3~7일 사이에 최대 심박수가 분당 100회 이상이었던 환자 5,000여 명을 대상으로, 베타차단제 복용 여부에 따라 ‘지속 복용군’, ‘중단군’, ‘비복용군’으로 분류하고 최대 10년 장기 예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베타차단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한 고심박수 뇌경색 환자는 비복용군보다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병 후 1년 시점에서는 복용 그룹의 사망률이 약 18% 낮다가 30개월 시점에는 그 차이가 31% 까지 확대됐는데, 이러한 사망률 감소 효과는 ▲75세 미만 ▲심방세동 및 관상동맥질환 환자 ▲평균 심박수가 높은 환자에서 두드러졌다. 또한 베타차단제를 복용하다가 발병 1개월 내에 중단한 환자는 전혀 복용하지 않았던 환자보다 사망 위험이 17% 더 높았다. 이는 발병 이전부터 베타차단제를 복용하고 있었다면 뇌경색이 나타나더라도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현재 국내외 진료표준지침에서 뇌경색 환자에 대한 베타차단제 사용이 제한적인 가운데, 이번 연구는 심박수가 높은 고위험 환자에게는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며 새로운 표준 치료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신경과 배희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경색 환자 중에서도 고심박수라는 명확한 고위험군에 대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며 “향후 무작위대조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를 통해 뇌졸중 후 베타차단제의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PACEN)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미국심장협회학술지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망막 신경 재생을 통해 손상된 시력 회복 한다

망막 재생 억제 프록스원 단백질 차단하는 프록스원 중화항체 활용 KAIST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 시력 회복 치료법 개발

망막 신경 재생을 통해 손상된 시력 회복 한다

KAIST연구진이 시력 회복을 위한 신약 개발에 성공했다. 최근 망막질환 치료제들이 개발돼 병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이미 손상된 시력 회복까지 가능하게 하는 실효적 치료제의 개발은 부재한 상황이다. KAIST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이 망막 신경 재생을 통해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은 망막 재생을 억제하는 프록스원(PROX1) 단백질을 차단하는 물질을 질환 모델 생쥐 안구에 투여해 망막 조직의 신경 재생과 시력 회복을 유도하고, 그 효과를 6개월 이상 지속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포유류 망막에서 장기간 신경 재생을 유도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치료제가 전무했던 퇴행성 망막질환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한다. 전 세계적인 인구 노령화와 함께 망막질환자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손상된 환자의 망막과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환자 망막의 회복이 어려운 주요 원인은 손상된 망막의 재생이 되지 않는 것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망막 재생이 활발한 어류와 같은 변온동물에서 연구된 바에 따르면, 망막 손상 시 망막 내부에 존재하는 뮬러글리아(Müller glia)라는 세포가 신경전구세포로 역분화한 후 새로운 신경세포를 생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인간과 같은 포유류는 이 기능이 사라져 망막 재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손상이 영구적으로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그림 1. PROX1 이동 억제를 통한 망막재생 유도 기전 모식도. 손상된 망막의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PROX1 단백질이 뮬러글리아로 이동하여 신경전구세포로 역분화 및 신경재생을 억제함. PROX1에 대한 중화항체로 세포 외부 PROX1을 포집해 뮬러글리아로 PROX1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면, 뮬러글리아세포의 역분화 및 신경세포 재생 과정이 재개되어 망막의 기능이 회복됨. > 김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포유류 뮬러글리아 세포의 역분화를 억제하는 인자로 프록스원(PROX1) 단백질을 발견하였다. 프록스원은 망막과 해마, 척추 등의 신경 조직 내 신경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신경줄기세포의 분열을 억제하고 신경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프록스원 단백질이 손상된 생쥐 망막 내 뮬러글리아에는 축적이 되지만, 재생이 활발한 어류의 뮬러글리아에는 축적이 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뮬러글리아에 있는 프록스원은 내부에서 생성된 것이 아니라, 주변의 신경세포가 분해하지 못하고 분비한 것을 뮬러글리아가 받아들인 것이라는 것도 증명하였다. 이러한 프록스원 단백질의 이동 현상에 착안해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프록스원이 뮬러글리아로 도달하기 전에, 세포 외부에서 제거하여 뮬러글리아의 신경재생 능력을 복원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그림 2. AAV2-Anti-PROX1 유전자 치료제 투여를 통한 망막색소변성증 모델 생쥐 망막 재생과 시력 회복. PROX1 중화항체를 발현하는 아데노부속바이러스 (AAV2-Anti-PROX1)을 시력 손실이 일어난 RP1 망막색소변성증 모델 생쥐 안구에 투여 후 망막의 광수용세포층 회복(A)과 시력 회복(B)이 일어남을 증명함. > 이 방법은 프록스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활용하는 것으로, 김진우 교수가 연구실 벤처로 창업한 ㈜셀리아즈에서 발굴하였으며 기존 항체들보다 탁월한 결합력을 보였다. 이 프록스원 중화항체를 투여한 질환 모사 생쥐 망막에서는 신경 재생이 활발히 일어났고, 선천성망막퇴행성질환 생쥐 망막에 유전자 치료제 형태로 전달하면 지속적인 신경세포의 생성과 시력의 회복이 6개월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망막 재생 유도 치료제는 KAIST 교원 창업 기업인 (주)셀리아즈에서 현재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여러 퇴행성망막질환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하고 있으며, 2028년에는 임상시험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논문의 제1 저자인 이은정 박사는 "프록스원(PROX1) 중화항체(CLZ001)의 효능을 개선하는 작업이 마무리 되어 곧 여러 동물을 이용한 시력 회복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마친 후 망막질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ˮ 라며 "적절한 치료제가 없이 실명의 위험에 노출된 환자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연구를 진행하겠다ˮ 라고 말했다. (주)셀리아즈 이은정 박사와 KAIST 김무성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3월 26일자 온라인에 발표됐다. (논문명 : Restoration of retinal regenerative potential of Müller glia by disrupting intercellular Prox1 transfer. DOI: 10.1038/s41467-025-58290-8).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및 국가신약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스텐트 시술 관상동맥 재발방지 클로피도그렐이 효과적

아스피린 대비 허혈성 사건과 출혈 위험 증가시키지 않아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의 발생 위험 낮고 출혈 위험 증가 없어 클로피도그렐이 반복적인 허혈성 사건의 위험 높은 환자에서 아스피린에 우선되기 기대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한주용·송영빈·최기홍 교수, 삼성창원병원 순환기내과 박용환 교수 연구팀

스텐트 시술 관상동맥 재발방지 클로피도그렐이 효과적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평생 챙겨 먹는 약으로 아스피린 보다 클로피도그렐이 재발을 막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미국 치료 지침은 PCI 후 6개월에서 1년 동안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클로피도그렐 포함)를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DAPT)를 권장하고, 이후에는 평생 아스피린을 단독으로 복용하라고 안내한다. 둘다 혈소판의 응고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한주용·송영빈·최기홍 교수, 삼성창원병원 순환기내과 박용환 교수 연구팀은 의학계 저널 중 피인용지수(Impact Factor)가 가장 높은 ‘란셋 Lancet (IF 98.4)’ 최근호에 심혈관 사건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아스피린보다 클로피도그렐이 장기 항혈소판 치료제로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30일(현지 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심장학회(ACC) 연례 학술대회 현장에서 ‘가장 주목 받는 임상 연구(Late-Breaking Clinical Trial)’로 선정돼 한주용 교수는 전세계 심장 관련 전문가 앞에서 강연하고 박수를 받았다. 논문에 따르면 이번 연구(SMART-CHOICE 3)는 2020년 8월부터 2023년 7월 사이 국내 26개 의료기관에서 PCI 시술을 받은 환자 5,506명을 대상으로 했다. 모든 환자는 심근경색 병력, 당뇨병, 혹은 복잡한 관상동맥 병변을 가지고 있어 향후 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 사건의 발생 위험이 높았다. 연구팀은 이중 항혈소판 치료를 끝낸 이들 환자를 클로피도그렐사용군(2752명)과 아스피린 사용군(2754명)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2년 이상(중앙값)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클로피도그렐을 복용한 환자는 아스피린을 복용한 환자보다 연구의 주요 복합 평가항목(전체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발생 위험이 29%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세부항목으로 보면 클로피도그렐을 사용했을 때 발생위험이 사망에서 29%, 심근경색에서 46% 줄었다. 반면 출혈 발생률은 클로피도그렐과 아스피린 사용군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항혈소판제제 효과가 뛰어날수록 출혈 위험도 덩달아 증가한다는 통념과 배치되는 결과다. 연구팀은 “클로피도그렐이 아스피린 대비 허혈성 사건을 줄이면서도 출혈 위험은 증가시키지 않아 매우 이상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미국이 주도해 만든 치료 지침도 바꿀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교신저자로 연구를 이끈 한주용 교수는 “우리 연구에서 클로피도그렐은 표준 기간의 이중 항혈소판 치료(DAPT) 후 평생 유지 요법으로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가이드라인에서 클로피도그렐 단독 요법이 아스피린 단독 요법과 적어도 동등하게 다뤄지고, 반복적인 허혈성 사건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는 아스피린에 우선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주용 교수를 비롯한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연구진은 앞서 2018년에도 란셋에 이중항혈소판 치료 적정 기간을 밝힌 연구를 게재한 바 있다. 당시 연구에서 한 교수는 이중 항혈소판제 치료를 12개월 이상 시행하는 것이 6개월만 시행하는 것에 비해 심근경색의 재발 위험을 유의하게 낮춘다는 결과를 보고했다 2023년에는 관상동맥질환 스텐트 시술과 관련해 란셋과 함께 최고 권위 의학저널로 꼽히는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복잡한 관상동맥 병변을 가진 환자에게는 혈관 내 초음파(IVUS)나 광간섭단층영상(OCT)과 같은 혈관 내 영상장비를 사용한 스텐트 시술이 혈관조영술만 사용한 것 보다 환자 예후에 유리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힌 연구다.



병의원

더보기




건강강좌

더보기
급격 증가 추세보이는 소아청소년우울증, 우울증 신호 조기발견 중요
. 우리나라에서 소아청소년 우울증은 비교적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했으나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아동청소년 (7-18세) 중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수는 5만3070명으로 2018년(3만190명) 대비 75.8%가량 증가하였다고 한다. 2022년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실태조사에서도 소아청소년 우울장애 평생유병률이 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 재현 교수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효과를 우려하여 자신의 상태를 축소보고 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상당한 수의 아동 청소년들이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소아청소년기에 우울증이 발생하는 요인은 다양하다. 한 연구에서는 어린 시기에 우울증이 발생하는 데 미치는 유전의 영향을 약 40% 정도로 추산하기도 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어떤 사람들은 우울증이 발생하기 쉬운 기질적 취약성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환경에서 오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대표적인 스트레스 요인은 어린시절의 학대, 방임, 트라우마와 같이 정신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경험을 들 수 있다. 또한 과도한 학업, 부정적 친구관계,


인터뷰

더보기

단체

더보기

메디컬디바이스

더보기


정책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