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일)

  • 맑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4.7℃
  • 맑음서울 10.5℃
  • 맑음대전 11.6℃
  • 맑음대구 15.5℃
  • 맑음울산 11.8℃
  • 맑음광주 12.2℃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8.1℃
  • 맑음제주 11.9℃
  • 맑음강화 7.6℃
  • 맑음보은 11.0℃
  • 맑음금산 10.7℃
  • 맑음강진군 10.7℃
  • 맑음경주시 14.6℃
  • 맑음거제 12.3℃
기상청 제공

표적항암제(VEGFR-TKI) 사용 동맥류 및 동맥 박리 발생 가능성 높아

카페시타빈 사용군 대비 VEGFR-TKI 사용군, 동맥류 및 동맥박리 발생 위험 1.48배 높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오정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오정완, 이하 의약품안전원)은 혈관 내피 성장인자 수용체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Tyrosine Kinase Inhibitor, VEGFR-TKI) 사용이 카페시타빈 대비 동맥류 및 동맥 박리(AAD)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미국 의학협회(AMA)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IF=13.8)'에 지난 11월 29일(수) 게재됐다.

 

최근 미국 FDA는 의약품 이상사례보고시스템(FAERS) 자료 분석을 통해 소라페닙(sorafenib), 파조파닙(Pazopanib) 등의 VEGF 경로 억제제와 동맥류 및 동맥 박리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 이를 허가사항에 반영했다. 이어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안전성 정보 검토 결과에 따라 허가사항을 반영한 바 있다.

 

이에 의약품안전원은 VEGFR-TKI 사용에 따른 동맥류 및 동맥 박리 발생 위험성에 대하여 국내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역학연구들이 부족하다고 판단, 이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했다.

 

해당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청구자료(2007년~2020년)에서 VEGFR-TKI 또는 카페시타빈을 처방받은 40세 이상의 암환자 127,710명 정보를 수집하여 약제사용 후의 1년 동안을 추적 관찰했다.

 

VEGFR-TKI 사용에 따른 동맥류 및 동맥박리 발생률은 1,000인년(대상자 1,000명을 1년 동안 관찰한 것으로 환산한 단위) 당 6.0명, 카페시타빈은 1,000인년 당 4.1명이었으며, 동맥류 및 동맥박리 발생할 위험이 카페시타빈 사용군 대비 VEGFR-TKI 사용군에서 1.48배(95% CI: 1.08-2.02)로 위험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확인했다.

 

특히, 여성(2.08배), 65세 이상의 고령자(1.42배), 이상지질혈증 진단이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1.58배) 카페시타빈 사용군 대비 VEGFR-TKI 사용군에서 동맥류 및 동맥박리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

 

오정완 원장은 “국내 암환자의 VEGFR-TKI 사용에 따른 동맥류 및 동맥 박리·파열의 가능성에 대해 증명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며, “이는 치료 효과의 증대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고, 보다 안전한 약물 사용 환경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