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맑음동두천 17.5℃
  • 구름조금강릉 19.1℃
  • 맑음서울 15.9℃
  • 구름조금대전 18.9℃
  • 맑음대구 22.6℃
  • 맑음울산 23.1℃
  • 맑음광주 20.4℃
  • 맑음부산 20.2℃
  • 맑음고창 18.1℃
  • 맑음제주 22.6℃
  • 맑음강화 13.8℃
  • 맑음보은 17.7℃
  • 맑음금산 18.5℃
  • 맑음강진군 19.6℃
  • 맑음경주시 23.6℃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위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량따라 합병증 위험도 달라

대규모및 중간규모 병원, 소규모 병원 비해 합병증발생 위험 낮아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재규·박재용 교수팀

건강보험공단에서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년마다 시행하는 위내시경 검진으로 인해 위암의 조기 발견 및 성공적인 치료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조기 위암에 있어 위절제수술 대신에 내시경을 이용한 절제술이 기본 치료지침으로 정립되고 있다.

 

실제 국내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 또는 위암의 전 단계 병변인 위선종 절제에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이 최근 들어 보편적인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는데,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매우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출혈, 천공 등 관련 부작용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있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김 재규 교수          ▲ 박 재용 교수

 

이러한 가운데,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권정택) 소화기내과 김재규·박재용 교수팀은 ‘위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결과에 대한 시술량의 영향(Influence of procedural volume on the outcome of gastric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using administrative data)’을 분석한 연구 논문을 최근 미국소화기학회지(Gastroenterology) 온라인판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 및 인구집단 기반 코호트 연구 설계를 시행하여 2011년 11월부터 2017년 12월 사이에 위암 또는 위선종으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을 시행한 총 8만868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연구 기간 중 총 8만868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9만4246건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시술이 시행되었는데, 이 중 총 5886건(6.25%)의 시술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병증 중 출혈 4925건(5.23%), 천공 447건(0.47%), 폐렴 703건(0.75%), 30일 이내 사망은 52건(0.06%)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초기 시술 이후 7.46%가 180일 이내 추가 절제술을 시행했는데, 4.51%는 위절제 수술을 시행했으며, 3.02%는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했다.

 

한편, 병원별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시술량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눠 합병증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시술량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규모 병원(연간 ESD 시행 건수: 334~1175건/ 평균: 509.6건) 및 중간규모 병원(연간 ESD 시행 건수: 178~319건/ 평균: 235.7건)은 소규모 병원(연간 ESD 시행 건수: 1~169건/ 평균: 26.9건)에 비해 출혈, 천공 및 폐렴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소규모 병원 기준 대비 대규모 병원: 0.651배, 중규모 병원: 0.641배 합병증 발생 위험, 붙임표 참고)

 

대규모 병원과 중간규모 병원 사이에는 합병증 발생 위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로써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국내 최초로 조기 위암 또는 위선종의 ‘위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후 병원의 내시경 절제 시술량에 따라 출혈, 천공, 폐렴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재규·박재용 교수팀은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타나게 된 이유로 '위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높은 수준의 훈련이 필요한 까다로운 시술이며, 여러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다”며, “시술량 규모에 따라 시술자의 경험, 병원의 제반 시설 수준이 다르며, 다학제적 접근이나 응급상황에 대한 대응 등 치료 환경의 차이가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재규·박재용 교수팀은 “여러 의료 질 평가 지표 중 시술량은 비교적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 어려운 수술 또는 시술의 경우 특히 시술량-시술 결과 간에 연관이 깊은 것은 잘 알려져 있는 가운데, 본 연구를 통해 위 점막하 박리술에 있어도 시술량이 시술의 질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며, “다만, 위 점막하 박리술 이후의 출혈이나 천공 등 합병증은 대부분 보존적 치료 또는 내시경적 치료 등으로 잘 해결되며 사망률이 낮은 안전한 시술에 속하며, 비용-효과 분석, 암 관련 재발 및 사망 등에 대한 분석은 본 연구에 포함되지 않아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재규·박재용 교수팀의 이번 연구 논문은 소화기학 분야 세계 최상급 저널인 미국소화기학회(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학술지(Gastroenterology:IF 29.4) 최신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붙임 : 표. 병원별 시술량에 따른 합병증 발생 위험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