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맑음동두천 16.1℃
  • 맑음강릉 21.6℃
  • 맑음서울 19.1℃
  • 맑음대전 18.4℃
  • 흐림대구 21.1℃
  • 구름많음울산 21.0℃
  • 구름조금광주 19.4℃
  • 구름많음부산 21.8℃
  • 구름많음고창 17.8℃
  • 흐림제주 22.3℃
  • 맑음강화 19.7℃
  • 맑음보은 15.5℃
  • 구름많음금산 16.3℃
  • 구름많음강진군 20.5℃
  • 구름많음경주시 20.7℃
  • 구름많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심리적 회복 탄력성의 인지기능 저하 예방 효과 확인

심리적 회복 탄력성 높이면, 인지기능 저하 속도 늦추거나 개선된다
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팀

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팀(김선우 전공의 등)은 심리적 회복 탄력성의 인지기능 저하 예방 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대한가정의학회 영문지 ‘KJFM’(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에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한국노인노쇠코호트 연구로 모집된 70~84세 지역사회 거주 노인 1,826명을 대상으로 간이 회복 탄력성 척도인 BRS(Brief Resilience Scale)를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 적응 능력을 확인하고, 2년 전후의 인지기능 정도를 평가했다.

 

 ▲ 원 장원 교수

 

평가 결과, BRS 점수와 인지기능 평가도구인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BRS 점수가 1점 높을수록, 2년 후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가 0.175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는 “간이정신상태검사(MMSE)는 2년 전후 비교 시 평균적으로 0.2~0.3점 나빠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번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BRS 점수가 높으면 인지기능 점수가 오히려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했다”며 “정신적 스트레스가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바, 마음의 근력인 ‘회복 탄력성’을 높인다면,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거나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논문 제목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심리적 회복탄력성이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 : 한국노인노쇠코호트 연구(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n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Korean Frailty and Aging Cohort Study)’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