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정신건강센터(센터장 곽영숙)는 전 국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건강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등을 목적으로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정신건강 관련, 총 4개 분야*에 대해 전국 15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3,000명을 대상(’22년 2,000명)으로 약 3개월간 진행되었다. *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정신건강 상태, ▲정신질환 사례별(Case Vignette) 인식 (’24년 신규추가),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
▲곽영숙 센터장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정신질환 이해도는 4.05점으로 ’22년 대비 0.1점 상승하였고, 부정적 인식(’22년 3.15점 → ’24년 3.12점)과 수용도(’22년 3.18 점 → ’24년 3.22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식이 개선된 항목은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22년 83.2% → ’24년 90.5%), ▲정신질환은 일종의 뇌기능 이상일 것이다(’22년 49.3% → ’24년 61.4%) 등이 있으며, ▲내가 정신질환에 걸리면 몇몇 친구들은 나에 게 등을 돌릴 것이다(’22년 39.4% → ’24년 50.7%),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 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위험한 편이다(’22년 64.0% → ’24년 64.6%) ▲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알고 있다(’22년 27.9% → ’24년 24.9%) 등은 상대적으로 인식이 악화됐다.
(정신건강 상태) ‘평소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응답자의 55.2%가‘좋다’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8.8%가 ‘평소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답하였다. 하지만, 지난 1년간 정신 건강 문제 경험률은 73.6%로 ’22년 결과(63.9%)에 비해, 9.7%p 증가하였다.
특히, ▲심각한 스트레스(’22년 36.0% → ’24년 46.3%), ▲수일간 지속되는 우울감 (’22년 30.0% → ’24년 40.2%), ▲기타중독(인터넷, 스마트폰 등)(’22년 6.4% → ’24년 18.4%) 등은 ’22년도 결과 대비 10%p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정신건강 문제 경 험 시, 도움을 요청했던 대상은 ‘가족 및 친지’가 49.4%로 가장 높았으며, 다 음으로 정신과 의사 또는 간호사(44.2%), 친구 또는 이웃(41.0%) 순이었다.
(정신질환 사례별 인식) 정신질환 사례별(Case Vignette) 인식은 주어진 사례를 보 고 해당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으로, 총 3가지 사례(▲주요 우울 장애, ▲정신 과적 증상이 불분명한 자살사고, ▲조현병)에 대해 1,000명씩 유의 할당하여 조사하였다.
앞서 정신건강에 대한 일반적 이해도가 높아진 것과는 달리, 제시된 정신질환 사례를 정확하게 인식한 비율은 주요 우울 장애 43.0%, 조현병 39.9%로 다소 낮 았다. 또한, 부정적 인식에서 ‘정신질환자는 위험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64.6%인 것과 달리, ‘사례와 같은 정신질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 게 위험하다.’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 ▲주요 우울 장애 11.9%, ▲자살사고 12.4%, ▲조현병 31.9%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국립정신건강센터’인지도는 66.8%로 ’22년 (65.6%) 대비 1.2%p 증가했으나, 그 외 기관 및 상담 전화 인지도*는 떨어졌다. * ▲정신건강복지센터(60.6% → 58.1%), ▲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33.1% → 23.3%) 등
국립정신건강센터 곽영숙 센터장은 “본 조사를 통해, ’22년 대비 정신건강 문 제 경험률이 높아진 것과 달리,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아는 비율은 오히 려 감소하였다”라며, “정신건강 문제는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조기에 발견하 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라고 말하였다.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의 상세 보고서와 과거 조사에 대한 결과보고서는 국립정신건강센터 공식 누리집(ncm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