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3 (월)

  • 맑음동두천 -9.4℃
  • 맑음강릉 -4.0℃
  • 맑음서울 -7.8℃
  • 구름조금대전 -4.7℃
  • 맑음대구 -2.9℃
  • 맑음울산 -2.8℃
  • 광주 -2.9℃
  • 맑음부산 -1.6℃
  • 흐림고창 -4.5℃
  • 제주 2.8℃
  • 맑음강화 -7.9℃
  • 구름많음보은 -5.7℃
  • 구름많음금산 -4.6℃
  • 구름많음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3.2℃
  • 맑음거제 -1.1℃
기상청 제공

청소년기 경험한 우울 증상이 성인기 인지 건강에 큰 영향 미쳐

청소년기 우울 증상과 성인기 기억력 저하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 시기 경험한 우울 증세가 성인기의 기억력에 독립적으로 영향 미치는 점 확인
청소년기 우울 수준 높았던 학생일수록 교육 성취 낮을 가능성이 성인기의 기억력 저하 경향있다
고려대학교 보건정책관리학부 및 4단계 BK21 정밀보건과학융합 교육연구단 김진호 교수팀

청소년기 경험한 우울 증상이 성인기 인지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학교 (총장 김동원) 보건정책관리학부 및 4단계 BK21 정밀보건과학융합 교육연구단 소속 김진호 교수가 캐나다 토론토 대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우울 증상이 성인기 기억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 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사회과학과 의학(Social Science & Medicine)에 작년 11월 게재됐다.

*논문명: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nd memory performance in young adulthood: Testing critical period, accumulation, and pathway models using a sibling comparison design

*DOI: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24.117328

▲ 김 진호 교수    ▲ 장 하윤 (제1저자)

   

전 세계적으로 청소년기 우울 증상의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 중이다. 이는 개인의 건강과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발달 단계로, 이 시기의 정신건강 저하가 성인기 삶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다루는 생애과정 관점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동 연구진은 미국 내 청소년 집단을 성인기까지 추적 조사한 대규모 종단 연구 데이터를 활용해, 형제 비교 설계를 적용, 가족 수준의 교란 요인을 통제하는 엄밀한 분석 방법론을 적용했다. 성인기의 기억력은 전 세계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는 레이 청각 언어 학습 검사(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RAVLT)를 통해 측정했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에 심한 우울 증상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성인기에 낮은 수준의 기억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의 우울 증상은 이러한 연관성을 설명하거나 강화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청소년 시기에 경험한 우울 증세가 성인기의 기억력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됐다.

 

 또한 여러 가능한 메커니즘 중 유일하게 교육 수준만이 일부 효과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기의 우울 수준이 높았던 학생일수록 교육 성취가 낮을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성인기의 기억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교신저자이자 제1 저자인 김진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전 생애과정 중 특히 청소년기의 정신적 웰빙이 가지는 의미를 강조한다고 밝히며, “청소년의 정신건강 저하가 두드러지는 현대사회에서, 그들이 경험하는 우울을 단순한 일시적 어려움이 아니라, 성인기로의 전환과 이후의 삶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인식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청소년기 우울을 조기에 발견 및 관리하는 것이 성인기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 이번 연구 결과는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적극적 개입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한다”라고 덧붙였다.

 

본 연구는 4단계 BK21 정밀보건과학융합 교육연구단과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RS-2023-00219289)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