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0.1℃
  • 구름많음강릉 11.3℃
  • 흐림서울 9.5℃
  • 흐림대전 12.5℃
  • 흐림대구 15.8℃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11.1℃
  • 맑음부산 12.6℃
  • 흐림고창 9.3℃
  • 맑음제주 15.4℃
  • 구름많음강화 8.8℃
  • 흐림보은 11.7℃
  • 흐림금산 11.6℃
  • 흐림강진군 11.5℃
  • 맑음경주시 13.8℃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안전성

우리나라 결핵환자 13년 연속 감소

2024년 결핵환자 17,944명(35.2명/10만명) 전년대비 8.2% 감소
질병관리청, 결핵 조기발견 및 치료 성공률 제고를 위한 다각적 대응 정책 실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가. 2024년 결핵환자 발생 동향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3월 24일(월), 「2024년 결핵환자 신고현황」을 「제15회 결핵예방의 날*」을 맞아 발표하며, 2024년 국내 결핵환자는 17,944**명이 발생하여 전년 대비 8.2%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결핵 예방관리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결핵예방법」에 따라 매년 3월 24일을 “결핵예방의 날”로 지정하고, 2011년부터 법정기념일 행사 개최

 ** `24년 결핵환자(17,944명) : 신규환자(14,412명) + 재발·재치료 등(3,532명)

 

  이는 2000년 국가 결핵 감시체계를 구축한 뒤 최고치를 기록한 2011년(50,491명, 100.8명/10만명) 이후, 연평균 7.6%씩 감소하여, 지난 13년간 64.5%(50,491명 → 17,944명) 감소한 수치이다. 

 

 

아울러, 2024년 국내 결핵환자 중 65세 이상 고령자층이 58.7%(10,534명)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결핵환자 비중은 6.0%(1,077명)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외국인 비율: (`20)5.2% → (`21)5.4% → (`22)5.3% → (`23)5.7% → (`24)6.0%

 

나. 2024년 결핵환자 특성 분석

2024년 결핵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5세 이상 결핵환자는 10,534명으로 전년(11,309명) 대비 6.9% 감소하였으나, 전체 환자(17,944명)의 58.7%를 차지하며 매년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 65세 이상 비중: (`20) 48.5% (`21) 51.0% (`22) 55.4% (`23) 57.9% (`24) 58.7%

 

  인구 10만 명당 결핵환자는 65세 이상이 105.8명으로 65세 미만(18.0명/10만명)보다 약 6배 높은 수치이다. 

 

< 연도별 연령대(65세 이상/미만) 결핵환자 추이 >

  외국인 결핵환자는 결핵 고위험국가 출신 장기체류자를 대상으로 결핵검진 의무화를 추진한 2016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2024년에는 1,077명으로 전년(1,107명)대비 2.7% 감소하였다. 다만, 전체 환자 중 외국인 비중은 6%로 전년대비 0.3%p 증가하였다.

 * 외국인 비율: (`20) 5.2% (`21) 5.4% (`22) 5.3% (`23) 5.7% (`24) 6.0%  

 

  한편 결핵환자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체 환자 중 폐결핵 14,095명(78.5%), 폐 이외 장기에서 발생한 폐외결핵 3,849명(21.5%)이었다. 결핵 치료약제에 내성이 있어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리팜핀내성 결핵환자는 461명으로 전년(551명)대비 16.3% 감소하였다.

 

다. 주요 결핵관리 대응 정책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3년「제3차 결핵관리 종합계획(`23~`27)」수립하여 결핵 全주기(예방·진단·치료)에 걸쳐 결핵 관리 정책을 추진 중이다. 고령층· 외국인 환자 비중 증가 등 최근 결핵 발생 특성을 고려, 결핵 환자를 조기 발견·치료하기 위한 결핵검진 및 역학조사, 환자 관리를 꼼꼼히 시행하고 있으며, 결핵 퇴치를 위한 연구도 강화하였다. 

 

  특히, 신체적·사회경제적 사유로 의료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인, 노숙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결핵검진사업*”을 통해 ’24년 약 18.7만건의 검진을 시행, 총 133명의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추가 전파를 차단하였다. 

 * 환자발견율(10만건당): (’20) 79.2명 (’21) 81.5명 (’22) 80.2명 (’23) 76.1명 (’24) 70.9명

 

  결핵 환자의 조기 발견, 전파방지 및 신속한 후속 조치를 위하여 2013년 구성된 결핵 역학조사반은 결핵환자의 가족과 직장 등 집단시설 접촉자 대상으로 역학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작년(200명)대비 25.0% 증가한 250명을 조기 발견하였다.

 * ‘24년 가족접촉자 조사 16,220가구, 집단시설 역학조사 3,470건

 

 또한, 민간공공협력(PPM, Private-Public Mix) 결핵관리 사업으로 보건소 및 의료기관에 배치된 결핵 관리 전담 인력은 철저한 환자 관리를 수행 중이고, ’24년부터는 결핵의 치료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빈틈없는 관리를 위하여 환자의 상황에 따라 진단-복약관리-사회복지서비스 연계-전문치료지원을 하는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를 시행하였다.

 * ‘24년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 참여 현황: (의료기관) 174개, 294명 (보건소) 259개, 595명

 

  아울러, 결핵 환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대상 검진 효율화를 위해 관계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체류 외국인 대상 “결핵 치료·관리 안내문(10개국어)”을 개발하여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부터는 결핵 퇴치를 위한 선진화된 실용 기술 개발 연구 투자를 강화한다. 다제내성결핵의 조기 발견을 위한 신속·동시 진단 기술과 결핵 고위험군의 발병 예측 기술을 고도화하고, 장기 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단기 치료법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또한, 완치 후 환자들의 건강한 삶 유지를 위해 결핵 후유증과 건강 위험 요인 분석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 국내 결핵환자 발생 주요 현황 >

                                                           (단위: 명 / %)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