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4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Case review

극단적인 선택, 자살을 예방하려면

우리나라 자살률은 1980년대 이후로 꾸준히 상승하다가, 다행스럽게도 201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감소 추세로  접어들어  2015년에는  10만명당  26.5명까지  줄어 들었다.  그러나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고,  2번째로 자살률이 높은 일본과  비교했을  때도 훨씬 높은 수치이다.  연령별 자살률  추이를 보면,  점차  60대 이상의  노인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고, 특히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살률이 더  높아지고  있다.


외국과 우리나라의  자살 원인 중 정신과적 질환,  특히 기분장애 (우울증, 조울병),  알코올 및 물질  남용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점은  유사하다.    또한  정신과적 질환  이외에도 경제적 어려움,  대인관계 갈등과 같은 스트레스에  노출되는것이  자살을  유발한다는  많은 연구들이  있다.   WHO 보고(2006)에 의하면,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실업,  사회적 스트레스를  가진 사람에게 자살실행의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한다.


수십 년간 한국의  자살률이 급증한 이유 중 하나로  빠른 사회경제적  변화와 발전의 이면을 꼽을 수 있다. 즉 한국인들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른속도로 경제성장을 일구어왔고,  이를  위해 경쟁하고 달리느라 미처 자신의  정서와 정신건강을  돌보는  데는 소홀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최근  한국인의 노인 자살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특히  증가한  점은 한국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미성년자인  10대 자살은  여전히 커다란  사회적  이슈이지만,   한국의  10대 자살률은 OECD 국가들과 비교 시 평균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청소년들이 자해흔적을  SNS에 훈장처럼  노출하거나  자해를 놀이처럼 가볍게  취급하는  현상이 확산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예방 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과거에 비해직장을 구하지  못하고,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중된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20~30대 정신질환 및  자살률은 증가 추세를 보이는 면이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정신의학적  상담, 치료에  대한 편견이나 저항감이 적지 않아 자살사고가 악화되어도  쉽게 도움을  요청하지 못 하는 것  또한  자살률을  높이는  요소가 된다.


결국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심과 정부의 지원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고, 자살 충동을 느낀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증상이 경미하다고 생각되거나, 병원을 바로 방문하기가  부담스럽게  느껴진다면,   대학교에  설치된 상담소나  지역별  정신건강증진센터를 먼저 방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생활적인  측면에서  알코올 남용은  자살유발  인자이므로, 자살 사고가  발생시 술을  끊는 것  또한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면증이  생기면  술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고,   음주에  대한 경각심이  낮은편이므로  이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   규칙적 식사, 수면과 가벼운 운동은 자살 예방뿐  아니라 정신건강 전반에 도움이 된다.


또한  주변 가족이나  지인의  관심이 중요하다.   환자자신이  증상의  심각성이나  치료  필요성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주변에서  격려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경쟁적이고  사회적 스트레스가  많은  한국에서  쉽지 않지만,  서로에게 약간의 관심을 기울이고 이해를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공지능도  가지지  못한 인류의 따뜻한 자원이다.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