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 치료환경 개선을 위해 질환의 명확한 정의, 의료진 교육 강화, 환자단체와의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씨에스엘 베링이 후원하고,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분석한 '아태지역 희귀질환 인식 및 관리수준 평가 보고서' 발표가 16일 웨비나로 열렸다. 이날 웨비나에 패널로 참여한 아태희귀질환기구 연합회 회장 Dr. Ritu Jain, 아태경제협력체 희귀질환 네트워크장 Matthew Bellgard, EIU편집국장 Jess Quigley Jones, CSL behring 아태 의학및 마켓엑세스부 전무이사 Peter Chow는 희귀질환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질환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희귀질환은 환자가 많지 않아 임상데이터를 모으기도 쉽지 않으며, 역학자료, 최신 데이터도 부족하다. 이는 희귀질환의 일관된 정의 부재로 이어지며,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를 제공하기 어려운 요인이 된다. 또한 전문가들은 희귀질환 치료환경 개선을 위해 의료진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태희귀질환기구 연합회 회장 Dr. Ritu Jain은 "대부분의 국가 교육으로는 의료진이 희귀질환 지식을 얻기 어렵다. 수련 중에도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서울특별시(시장 박원순)는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을 ‘미 공병단 부지’로 신축·이전하기로 하는 업무 협약을 지난 1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체결하였다. 이번에 체결된 업무 협약은 지난 4월 28일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의 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최단기간 안에 중앙감염병 병원의 건립이 추진될 수 있도록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라면서, 정부에 국립중앙의료원을 서초구 원지동이 아닌 서울 중구 방산동 ‘미 공병단 부지’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해보자는 제안을 계기로 성사되었다. 그간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는 서초구 원지동으로 국립중앙의료원을 신축·이전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당초 이전 예정 지역이었던 원지동 부지가 인근 경부고속도로의 소음 발생 및 주변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부지 활용에 제약이 크다는 점, 환자들이 찾아가기에는 교통 등이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이전 논의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계기로 국립중앙의료원을 ‘미 공병단 부지’로 신축·이전하는데 있어, 보건복지부는 정부 내 관련 부처와 협의하여 국립중앙의료원을 ‘미 공병단 부지’로 신축·이전하기로 하고, 서울시는 도시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팀(김윤기 교수, 숭실대학교 통계학과 한경도 교수)이 유전이나 가족력이 없는 20대도 만성질환이 있으면 심방세동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것을 규명했다. 젊은 나이고 유전성이 없을 지라도 만성질환에 의해 심장세동의 위험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심방세동은 나이가 많고 당뇨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주로 발병한다는 일반적 사고에 경종을 울린 것. 최종일 교수팀은 전국의 성인 남녀 9,797,409명의 기록을 약 8년간 추적한 빅데이터를 통해 연구했다. 그 결과 심방세동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인 당뇨, 고혈압, 비만, 허리둘레, 흡연 등은 나이에 상관없이 심방세동 발병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나이에서는 만성질환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여겨졌던 기존의 추측을 뒤엎는 결과다. 혈압, 허리둘레, 신장질환, 당뇨 등 여러 만성질환이 젊은 층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당뇨는 젊은 층에서 큰 영향이 있고 고혈압은 전 연령대에 걸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가 있는 20대는 남성의 경우 2.46배, 여성의 경우는 2.06배 위험도가 높았고, 고혈압이 있는 20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윤영욱)이 세계 9개 의과대학과 설립한 의학연구 협의체 ‘Global Alliance of Medical Excellence(이하 GAME)’ 의대생 온라인 하계 캠프를 의료 인공지능을 주제로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과 공동 개최한다. 고대의대는 GAME 협의체에서 의학교육 연구와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TEI(Transnational Education Initiatives) 주관 대학으로 지난해 ‘재난 상황에서의 의사 전문직업성’을 주제로 일본 나고야 의과대학에서 제1회 의대생 하계 캠프를 성공리에 개최했다. 제2회 캠프는 오는 7월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에서 개최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전면 온라인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캠프는 한국 시간 기준으로 6월 8일부터 7월 17일까지 6주의 사전 프로그램, 7월 18일 온라인 개회식, 7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의 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연, 워크숍, 팀 프로젝트, 발표 등 모든 활동을 화상회의로 진행된다. 사전 프로그램은 회원 대학 교수들의 특강과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 의료에서 인공지능 적용, 인공지능을 이용한 의학교육, 관련 윤리 문제까지 다루게 되며, 본 프로
흔히 등산 사고는 실족으로 인한 골절 등을 생각하기 쉽지만, 사망까지 이르는 사고는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고가 가장 많다. 특히 기온차가 큰 5~6월은 등산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 내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 124건 중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 사고는 60건으로 48%에 달했다. 이에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박창범 교수는 “외국에서 시행되었던 연구에 의하면 등산하다가 심장질환과 같은 이유로 급사하는 확률이 같은 나이의 사람들에 비해 약 4배 높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등산을 하다가 심장질환과 같은 이유로 급사할 확률은 나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며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15~20배가 높다고 한다. 이렇게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원인은 등산을 즐기는 사람들이 중년이상의 남성들이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를 보면, 2019년 허혈성심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50~60대 남성은 336,310명으로, 전체 환자 94만여 명 중 35.6%를 차지했다. 실제로 심장 질환 사고 등산객은 모두 남성이었다. 등산은 추운 환경에서 매우 강도 높은 활동 중의 하나로 특히 높은 고도에서 낮은
고혈압·당뇨병 적정성 평가결과 양호기관은 고혈압 6,320개소, 당뇨병 3,920개소로 시도별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고 양호기관 및 양호기관 이용 환자수 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3년 연속 평가결과가 양호한 의원은 고혈압 3,880개소, 당뇨병 2,390개소에 달해 질 좋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동네의원들이 적극 노력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5월 20일 고혈압(14차)·당뇨병(8차) 적정성 평가결과가 양호한 동네의원을 심사평가원 누리집 및 이동통신 앱(건강정보)을 통해 공개했다. 심사평가원은 고혈압·당뇨병 환자에 대한 꾸준한 의료 질 관리를 위해 적정성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고혈압은 ▲처방 지속성 영역 2개 지표, ▲처방 영역 3개 지표를 평가했다. 처방 지속성 영역은 고혈압약을 지속적으로 처방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로, 이 중 ‘처방일수율’ 지표는 91.0%(332.2일)로 높게 나타나 연속성 있게 진료와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뇨병은 ▲치료 지속성 영역 2개 지표, ▲처방 영역 2개 지표, ▲검사 영역 3개 지표를 평가했다. 당뇨병약에 대한 ‘처방일수율’ 지표는 91.0%로 높게 나타났다. 검사 영역
세브란스병원 재난의료교육센터, 서대문 보건소가 협력해 서부교육지원청 관할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는 보건교사 30여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 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했다. 교육은 20일부터 재개되는 등교 수업을 앞두고 지난 15일과 18일 이틀간 세브란스병원에서 총 세 차례로 나뉘어 진행됐다. 이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처음 대면 교육이 시행되면서 감염 관리를 위해 철저히 대비하고자 하는 교사들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교육은 방역 원칙을 준수하면서 진행됐다. 교육은 학교에서 코로나19 발병이 의심되거나 확진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실질적인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 ‘유행성 감염 재난 개요’ 설명에 이어 정현수 재난의료교육센터 소장, 염준섭·안진영 감염내과 교수, 강지만 소아청소년과 교수, 박은숙 감염관리팀장 등 의료진들이 보건교사들의 질문에 답했다. 질의는 잘 알려진 증상 이외에도 코로나19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어떤 것이 있을지, 상황별로 어떤 보호구를 착용해야 하고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등 감염 관리 지침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때 판단이 어려운 부분에 중점을 맞춰 이뤄졌다. 가운과 마스크 등 기본 보호구와 확진자 접촉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전문위원회 위원장)가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안’을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KMS) 5월호에 게재했다. 염호기 교수는 학술지에서 “올 가을·겨울에 코로나19 재유행이 반드시 온다는 전제하에 정부 정책을 준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땜질식 정책이 아닌 지속가능한 감염병 예방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전염병 관리 목표와 감염 관리 및 격리 지침 등을 재설정하고 전염병 전담부처와 자문 위원을 전문 의료진과 전염병 전문가들로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호기 교수는 또 코로나19 재유행을 대비해 정부에서 시행하거나, 강화해야 할 6가지 방안도 제시했다. 먼저 감염병 컨트롤 타워를 설정하고, 권한을 모두 위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 교수는 “현재는 중앙방역대책본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질병관리본부 등 서로 역할이 겹치거나 조정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라며 “질병관리본부장이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아 전염병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ICT(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ies)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와 단체 헌혈 취소로 인해, 혈액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의 혈액보유현황에 따르면, 15일 기준 혈액수급 위기단계는 '주의'로, 혈액수급이 부분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혈액 공급 단체를 중심으로 환자혈액관리(PBM) 도입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환자혈액관리는 환자 자신의 혈액을 보존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및 수술 결과를 최적화시키고, 동시에 수혈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감소시키는 접근 방식이다. 국제환자혈액관리재단(IFPBM)은 환자혈액관리 신속 도입을 통해 환자 안전 및 치료 결과를 개선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환자혈액관리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해졌다는 지적이다. 환자혈액관리(PBM) 분야의 전문가 미국 뉴저지 잉글우드 헬스병원 아례 샌더 (Aryeh Shander) 교수는 “현재로서는 언제 우리의 삶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갈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의 시기에 공급이 제한적이고 보존기간이 42일 가량으로 짧은 혈액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코로나19는 보건의료전문가들이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환자
피부가 붉어지거나 하얀 각질이 일어나는 ‘건선’ 피부질환에 자외선(UV) LED 광선 치료가 효과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대학교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와 권태린 연구교수는 ‘310 nm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LED) 광선을 이용한 건선 치료 기전을 규명한 연구 논문(310nm UV-LED Attenuates Imiquimod-Induced Psoriasis-like Skin Lesions in C57BL/6 Mice and Inhibits IL-22-Induced STAT3 Expression in HaCaT Cells)’을 최근 발표했다. 김범준 교수와 권태린 연구교수는 UV-LED 광선치료를 각질형성세포와 쥐 동물 실험에 시행한 결과, 310nm UV-LED 광선 치료 실험군에서 ‘STAT3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건선의 발병을 약화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각질형성세포에서 가려움 유발인자(Imiquimod), 염증물질(IL-17A, IL-22), 표피 두께 및 염증성 T세포가 각각 감소해 건선 피부염을 개선시킨 것을 확인함으로써, 310nm UV-LED 광선치료가 항염증 및 면역 조절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는
올해 보건산업 수출 실적이 2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성장이 두드러진 품목은 진단용시약과 소독제로 수출 성장세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2020년 4월 월간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2020년 4월 보건산업 수출액은 총 17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0.2% 증가하였고, 산업별로는 의약품 6.4억 달러(+23.4%), 화장품 5.7억 달러(+0.1%), 의료기기 4.9억 달러(+50.8%) 순으로 수출액이 많았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및 진단키트 등 K-방역품목이 보건산업 수출 성장을 견인하였으며, 특히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에 따른 해외 수요 급증으로 진단용시약 및 소독제의 수출 성장세가 높게 나타난 특징을 보였다. 국가별로는 의료기기의 수출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브라질(14→7위)과 인도(13→9위)가 수출 상위 10위권 안으로 신규 진입하였으며, 바이오의약품의 선전으로 미국(2위), 일본(3위), 독일(4위) 등으로의 수출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 품목별로는 바이오의약품이 의약품 총 수출의 절반에 가까운 48.7% 비중을 차지 했으며, 진단용시약(4→146백만 달러) 및 소독제(1→44백만 달러) 등 K-방
제일약품과 한국다케다제약은 지난 2020년 3월, 만성변비치료제 ‘아미티자 연질캡슐(성분명: 루비프로스톤)’의 국내 독점 프로모션 계약을 체결했으며, 제일약품은 이번 계약에 따라 국내 ‘아미티자’의 유통, 마케팅, 판매권을 갖는다고 밝혔다. 한국다케다제약의 ‘아미티자’는 ▲성인에서 만성 특발성 변비의 치료 ▲만성 비암성 통증 성인 환자에서 마약성 진통제(opioid) 유발성 변비 치료에 적응증을 갖고 있다. 소장 내벽세포 내 2형 염소이온 채널 국소촉진제인 ‘아미티자’는 장 내부의 수분을 증가시켜 장 운동을 유도, 복부 팽만감 등의 변비 증상을 완화시키는 전문의약품이다. 일본을 포함한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판매 중인 만성변비치료제 ‘아미티자’는 미국 수캠포(Sucampo) 파마슈티컬스로부터 다케다제약이 일본과 미국을 제외한 판권을 획득한 제품으로 2006년 미국 FDA의 시판 허가를 받았으며, 국내에서는 한국다케다제약이 2019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아미티자’는 2018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6,8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바 있다. 성석제 제일약품 대표는 “그 동안 제일약품이 쌓아 올린 소화기 분야에서의 영업 및 마케팅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