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조쌍구 교수(줄기세포재생공학과) 연구팀이 스템엑소원㈜ 및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과 공동으로 줄기세포 기반의 새로운 말초신경 손상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신경과학 분야 상위 10%의 세계적인 학술지이자 Springer Nature의 자매지이기도 한 ‘Acta Neuropathologica Communications’(IF=6.2)에 지난 5월 27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팀은 환자 소변 세포로부터 만든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서 유래한 신경능세포(NCC)를 기반으로, 신경성장인자(NGF) 유전자를 담은 세포외소포체(EV)를 제작했다. 이 EV를 말초신경 손상 생쥐 모델에 ▲왼쪽부터 건국대 조쌍구 교수, 여한철 박사과정, 김유정 연구원, 석재권 박사 주입한 결과, 손상 부위의 신경세포 생존율이 높아지고, 염증 반응이 억제되며, 축삭 신장과 재수초화(remyelination)가 촉진되는 등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특히 기존의 줄기세포 치료법이 지닌 종양 형성 위험이나 면역 거부 반응 없이, 세포 이식 없이도 치료 효과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제작된 NGF-EV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과 NF-κB 경로를 억제하고 ERK/
경희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안과 김기영 교수팀(경희대 의과대학 김미지 교수·조현진 연구원·박연정 학부생)은 최근, 입체시(stereopsis) 저하가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입체시(立體視, stereopsis)는 두 눈에 맺힌 영상의 미세한 차이를 바탕으로 사물의 거리와 깊이를 인지하는 고차원적인 시각처리 기능이다. 이 기능이 저하되면, 거리감각, 공간이식, 위치 파악 등에 어려움을 ▲(좌측부터)원장원 · 김기영 교수, 김미지 교수, 느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조현진 연구원, 박연정 학부생 이번 연구는 한국노인노쇠코호트(KFACS) 데이터에 근거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 1,228명을 대상으로 입체시 평가도구인 티트무스 검사(Titmus Stereo Test)를 시행한 후, 결과에 따라 3단계 그룹(▲우수 : 40-60초각 ▲보통 : 80-200초각 ▲나쁨 : 200초각 초과)으로 구분했다. 이후, 그룹별로 언어기억력 평가(단어목록 기억·회상·인식하기), 집중력 평가(숫자 외우기), 처리속도(기호 잇기), 전두엽기능평가검사 등을 시행해 인지기능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입체시 기능이 낮을수록 다양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은 마취통증의학과 김영욱 교수 연구팀이 자기공명영상(MRI)을 활용해 아킬레스건병증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새로운 진단 지표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아킬레스건병증(Achilles tendinopathy)은 아킬레스건의 과도한 사용이나 반복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져 발생한다. 주로 통증, 부종 및 열감, 기능저하, 건 비후(힘줄의 두꺼워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최근에는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서도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아킬레스건병증의 진단에 있어 아킬레스건의 단면적(ATCSA)이 기존에 사용되던 두께(ATT)보다 더 민감하고 정확한 진단 지표임을 입증했다. ▲ 김 영욱 교수 이를 위해 연구팀은 아킬레스건병증 환자 31명과 정상인 36명을 대상으로 발목 MRI를 통해 아킬레스건의 두께와 단면적을 비교·분석했다. 특히 조직의 해부학적 구조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T1 강조 영상을 활용해 병변 부위의 두 지표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분석 결과 아킬레스건병증 환자의 평균 건 두께는 5.42mm, 건 단면적은 82.59mm²로 측정됐다. 이는 대조군인 정상인의 평균 건 두께(3.83mm)와 단면적(46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본과 4학년 김민준 학생이 국제학술지 Nutrients(Impact Factor 4.8)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이번 논문은 계명대 동산병원 대장항문외과 배성욱 교수의 지도를 받아 수행되었으며, 제목은 “Effect of Preoperative Inflammatory Diet on Clinical and Oncologic Outcomes in Colorectal Cancer Surgery”다. 대장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식단의 염증 유발 정도가 수술 결과와 암 치료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다. ▲(왼쪽부터) 김민준 학생 배성욱 교수 연구 결과, 수술 전 염증 유발 식단을 섭취한 환자군은 수술 후 감염과 회복 지연, 장기적으로는 암 재발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항염증 식이를 한 환자군은 합병증 발생률이 낮고 종양학적 예후도 우수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단순 참여를 넘어, 김민준 학생이 주제 설정부터 연구 설계, 임상 데이터 수집·분석, 논문 작성과 투고까지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배성욱 교수는 지도교수로서 연구 방향과 내용에 대해 조언과 피드백을 제공했다. 김민준 학생은
국내 최대 규모의 의료 네트워크를 운영 중인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에서 난치성 신경계 질환 치료의 주목받을 연구가 시작된다.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 김영광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연구팀이 ‘차세대 RNA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과제를 정부로부터 정식으로 선정되어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한 것이다. ▲김 영광 교수 ▲김 기표 교수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RNA(리보핵산)를 정밀하게 편집하고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새롭게 개발하여 난치성 신경계 질환 치료에 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영광 교수는 이번 과제의 책임 연구자로 선정되었으며, 김기표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교실), 채동우 교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송지환 대표(아이피에스바이오) 등 국내 유수 연구진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한다. 연구는 향후 5년 동안 진행되며, 총 28억 원의 정부 지원을 받고 이 중 18억 6천만 원이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을 통해 집행된다. 이번 연구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은 ‘RNA 유전자 가위’다. 쉽게 말하면, 유전자 가위는 우리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영상의학과 정동진 교수 연구팀(소화기내과 정대영 교수)이 위암의 정확한 병기 결정을 위한 새로운 CT 진단법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역동적 CT 벽관통 신호(CT transmural sign, CTTM sign)' 분석법은 기존 CT 검사로는 구분이 어려웠던 조기 위암의 세부 병기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진단 기술이다. 기존 CT 검사는 진행성 위암의 병기 결정에는 유용했지만, T2 병기 이하의 조기 위암에서는 병기 구분에 한계가 있어 치료 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있었다. ‘역동적 CT 벽관통 신호' 진단법은 역동적 CT 촬영을 통해 나타나는 벽관통 신호를 분석해 위암의 침윤 깊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116명의 위암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CTTM 기준을 기존 CT와 비교했다. 특히 조기 위암 병기인 T1b 단계에서 sm1(얕은 침윤)과 sm2/3(깊은 침윤)로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CTTM 분석은 CT 영상의 3단계 조영(동맥기, 문맥기, 지연기)에서 종양의 증강 양상을 점수화해 병기를 판별하는 방식이다. 특히 T1b 병기와 T2 병기에서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으며, 조
BRCA1/2 유전자 변이 유방암 환자에게서 유방보존치료(유방보존수술+방사선치료)가 유방전절제술과 비교해 치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대목동병원 유방외과 이장희 교수(제1저자)·삼성서울병원 유방외과 유재민 교수(제1저자)·서울아산병원 유방외과 이새별 교수(교신저자)·한양대병원 유방외과 차치환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BRCA 변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의 유방 보존 치료의 장기 종양학적 결과(Long-term oncologic outcome of breast-conserv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ith BRCA variants)’ 연구를 미국의학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2025년 5월호에 발표했다. BRCA1/2는 우리 몸의 DNA 손상을 복구하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 이들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BRCA1/2 유전자의 변이 여부는 유방암의 수술 및 치료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 기존에 유방보존치료(Breast-Conserving T
모바일 게임 기반 디지털 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태영 대구가톨릭대학교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일본정신신경학회 학술지(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IF=5.0) 최근호에 모바일 게임으로 만든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기존에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를 위해 병원 등 현장에서 약물치료, 심리치료, 사회기술훈련을 해왔다. 연구팀은 2023년 8월부터 11월 사이 삼성서울병원과 대구가톨릭대학교의료원, 서울성모병원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또는 사회적의사소통장애를 진단받은 10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38명을 모집했다. 참가자 모두 혼자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스마트폰에 설치된 훈련 프로그램을 따라할 수 있었고, 자폐스펙트럼 장애 중증도 기준 경증으로 분류됐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대상 모바일 게임 기반 훈련 프로그램 화면> 모바일 게임 기반 훈련 프로그램은 (주)뉴다이브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치과 이효정 교수팀이 골다공증 치료제의 투여 시점과 치아 발치 간의 간격이 길수록 약물 관련 턱뼈 괴사(MRONJ)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치료에 쓰이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중단 기간과 턱뼈 괴사 발생률 간에도 큰 차이가 있어, 외과적 치과 처치 전 약물 종류에 따른 중단 전략도 중요한 부분으로 확인됐다. 정상적인 뼈는 낡거나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는 ‘골 흡수’와 새로운 뼈를 만드는 ‘골 형성’이 균형을 이루며 건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골다공증 환자의 뼈는 골 흡수의 속도를 골 형성이 따라가지 못해 점차 가늘어지고 약해진다. ▲공 성혜 교수 ▲이 효정 교수 이러한 골다공증은 골 흡수를 억제해 골밀도를 유지하거나 높이는 방식으로 치료하는데, 대표적인 약물로는 주사형 비스포스포네이트로 환자 상태에 따라 ‘졸레드로네이트(연 1회 투여, 고위험군 대상)’나 ‘이반드로네이트(분기마다 투여, 저위험군 대상)’를 투여한다. 하지만 골 흡수가 지나치게 억제되면 낡은 뼈가 잘 제거되지 않고 손상이 누적돼 턱뼈 괴사나 비전형 대퇴골 골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턱뼈는 일상 자극이 많은 부위로, 골 흡수
국내 연구진이 초음파와 고주파 기기를 함께 사용할 경우, 복부 비만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대서울병원(병원장 주웅) 가정의학과 전혜진 교수(교신저자)와 손여주 교수(제1저자) 연구팀은 지난달 19일자 Nature 자매지 Scientific Reports에 ‘여성의 복부비만 감소를 위한 초음파 및 고주파 장비의 효능(Ultrasound and high frequency equipment efficacy for abdominal obesity reduction in women)’이라는 제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전 혜진 교수 ▲ 손 여주 교수 연구팀은 2023년 한 해 동안 이대서울병원 웰에이징센터를 찾은 만 18세 이상 한국인 여성 9명을 대상으로, 악센트 프라임(Accent Prime™)을 이용해 초음파 기반 바디 컨투어링(UltraSpeed™ 핸드피스)과 고주파 기반 스킨 타이트닝(UniBody™ 핸드피스, 구명칭: UniForm™)을 병행 치료 전후 허리둘레와 복부 지방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평균 허리둘레가 3.83cm(4.35%) 감소했으며, 피하지방 면적 또한 평균 18.90cm²(7.19%) 줄어드는 유의미한 감소 효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권석윤, 이하 생명연)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정주연 박사 연구팀은 '메소텔린(Mesothelin, MSLN)'이라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췌장암 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은 췌장암뿐 아니라 여러 고형암에 새로운 희망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사망률 상위권을 차지하는 무서운 암 중 하나인 췌장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5년 생존율이 10% 미만에 불과한 대표적인 난치성암이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항암제는 정상 세포까지 공격해 부작용이 크고, 효과도 제한적인데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만을 공격할 수 있는 '나노 항체' 기반의 정밀 항암제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 단체사진 (오른쪽) 정주연 박사 연구팀은 췌장암세포에서만 유독 많이 발견되는 '메소텔린'이라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은 정상세포에는 거의 없지만 췌장암 세포에는 매우 많으며, 암의 성장과 전이에 관여한다. 연구진은 낙타나 라마처럼 특수한 동물의 항체에서 유래한 '나노바디'라는 아주 작은 크기의 항체를 이용해 메소텔린만 골라 달라붙는 물질들을 개발하였고 이 중에서 'D3 나노바디'라는 물질이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D3 나노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병원장 이동진) 정형외과 박현진 교수가 최근 2025 대한척추외과학회 국제학술대회(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KSSS)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박현진 교수는 ‘양방향 내시경술 또는 미세현미경술을 이용한 후측방 요추체간 유합술에서 연골 종판 준비에 대한 인체 시신 기반 비교 연구 (In vitro comparison of endplate preparation in biportal endoscopic and microscopic tubular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procedures)’를 북미척추학회 공식 학술지 The Spine Journal 2025년 4월호에 게재하여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 박 현진 교수 The Spine Journal(인용지수 4.9)은 척추외과 및 정형외과 분야 상위 5.23%에 해당하는 세계적 권위 학술지로, 국내외 학계에서 높은 신뢰도를 자랑한다. 이번 연구는 박현진 교수와 미국 뉴욕 마운트 시나이 병원 사무엘 조(Samuel Cho) 교수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양방향 내시경을 활용한 척추 수술(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