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흑색종 증상과 치료강동경희대학교병원 피부과 유박린 교수피부암 중 가장 위험하다는 ‘악성 흑색종’ 환자가 지난 4년간 33.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특히 피부암 가운데 가장 치명적인 악성흑색종 환자는 2009년 2819명에서 2013년 3761명으로 33.4%나 늘었다. 2013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3명이 악성흑색종에, 12명은 기저세포암 등 다른 피부암에 걸린 것으로 집계됐다. 악성 흑색종은 피부나 점막에 있는 멜라닌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피부암 중 가장 악성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악성 흑색종의 20~50%는 검은 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검은 점이 갑자기 새로 생긴다든지 검은 점의 모양이나 크기, 색깔이 변하거나 따가움, 통증이 생기면 의심해 봐야 한다. 백인에서는 드물지 않고 비교적 흔한 피부암이나 동양, 아시아인에서는 과거 매우 드문 피부암이었다. 서양에는 최근 흑색종의 발생빈도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국립암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서양에서보다 발생률은 낮지만 점차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빈도가 높아져서 19세 이하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20대부터 조
갑상선기능저하증이란 갑상선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해 말초조직의 대사가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전신의 대사과정이 저하됨으로 인해 피로, 동작 및 말 느려짐, 추위에 민감, 변비, 체중증가, 서맥,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갑상선기능저하증 진료인원은 2010년 31만 8,349명에서 2014년 41만 3,797명으로 연평균 6.8%씩 증가하였다. 2014년 기준으로 남성은 6만 878명(14.7%), 여성은 35만 2,919명(85.3%)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5.8배 진료인원수가 많았다. 2010~2014년 연도별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E03)’ 진료인원 현황 (단위: 명(%))구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연평균 증가율진료인원전체318,349362,163388,492401,693413,7976.8%(100.0)(100.0)(100.0)(100.0)(100.0)남성44,32451,65656,23958,50660,8788.3% (13.9)(14.3)(14.5)(14.6)(14.7)여성274,025310,5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하 심사평가원)이 ‘눈물계통의 장애'에 대해 최근 5년간(2010 ~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2014년 기준 진료인원 약 252만명에 총진료비는 약 997억원으로 2010년에 비해 각각 10만여명(3.9%), 129억여원(14.9%)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분석결과에따르면 주로 1월부터 3월(전년 분기 대비 10.8% 증가)까지 진료인원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또한 전체 연령 중 50대가 전체인원 중 19.6%로 제일 많았다.분석을 통해 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눈물계통의 장애’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2010년 약 242만명에서 2014년 약 252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0만명(3.9%)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1.0%이었다..총진료비는 2010년 약 868억원에서 2014년 약 997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29억원(14.9%)이 증가하여 연평균 3.5%증가율을 보였다.눈물계통의 장애’ 진료인원은 50대가 가장 많았으며, 남성보다 여성 진료인원이 많았다.2014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 중 차지하는 비중은 50대
2년 연속 연령표준화발생률 감소, 2013년 암등록통계 발표 2013년 새로 발생한 암환자 수는 남자 113,744명 여자 111,599명으로 225,343명이었다.이는 2012년 암환자 수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나, 2003년 암환자 수 대비 79.3% 증가한 것이다.2013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이어서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5년간(2009-2013년) 발생한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69.4%로, 2001-2005년 생존율 53.8% 대비 15.6%p 향상되었다.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이강현)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에 따른 우리나라 국민의 2013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및 암유병률 현황을 발표하였다.2013년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10만 명당 311.6명(남 328.1명, 여 313.4명)으로, 전년 대비 10.7명 감소하였다.감소의 원인으로 암검진을 통한 전암단계에서의 발견, 남성 흡연율 감소, 예방접종 시행, 진료권고안 개정, 생활습관 개선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2009년-2013년 암종별 생존율은 200
구내염(口內炎, stomatitis)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으로 인해 입 안 점막(혀, 잇몸, 입술과 볼 안쪽 등)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이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구내염』의 건강보험 진료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구내염’ 진료인원은 2008년 116만 6,273명에서 연평균 4.5%씩 증가하여 2014년 151만 5,05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2014년 ’구내염’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9세 이하 진료인원이 전체 진료인원의 약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 연령층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영유아(0세~6세) 진료인원이 9세 이하 진료인원의 88.6%를 차지하였다. ‘구내염’은 2014년 10대 이상 연령층에서 인구 10만 명당 2,011명(100명당 2명) 발생하였고, 9세 이하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13,102명(100명당 13명)이 발생하여 9세 이하에서 10세 이상 연령층에 비해 6.5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세 이하 중 1~6세에서 100명당 18명이 발생하여 타 연령층에 비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
통풍은 바람이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느껴진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진 통풍은 통증이 아주 심한 질환으로, 몸 안에 요산이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2014년 ‘통풍’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남성이 28만 2,998명. 여성2만 6,358명이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10.7배 많았다. 특히, 30대 남성은 여성보다 약 22.2배 많은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통풍’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이같이 조사되었다.인구 10만명당의 경우도 남성이 1,133명, 여성은 10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0.6배 많았고, 30대 남성이 여성보다 21.1배 많은 진료를 받았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진료인원/적용인구*100,000)은 각 인구 그룹별 인구수의 차이를 보정한 것임. 즉, 사건 발생 인구가 같더라도 전체 인구수가 다르다면 같은 발생정도로 보기 어려우므로 전체 인수를 보정하여 발생률 또는 유병률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함)연령대별 ‘통풍' 진료인원 및 성비(2014년)(단위 : 명, 배) 구분전체10대 이하20대30대40대50대60대70세이상진료인원전체309,3561,14113,
2014년 척추질환 진료비 3조8,760억원,2007년 대비 95% 증가 2014년척추질환 진료인원은 약 1,260만명으로 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은 척추관련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척추질환 진료비는 3조8,760억원으로 전체진료비 59조2,550억원의 6.5%를 차지하며, 2007년과 비교하여 95%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4년 척추수술 건수는 약 15만5천건이며, 2007년 대비 26.7% 증가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척추질환 및 수술’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척추질환 및 수술’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척추질환 진료인원은 2007년 약 895만명에서 2014년 약 1,260만명으로 365만명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국민 4명중 1명은 척추관련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질환 건수는 2007년 약 4,660만건에서 2014년 약 8,790만건으로 약 88.4%늘었다. 진료비는 2007년 약 1조9,860억원에서 2014년 약 3조8,760억원으로 약 95.2% 증가하였다. 척추질환 환자수 (단위: 천명)구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섬유근통(M79.7)'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9년 4만 1천명에서 2014년 7만 3천명으로 연평균 1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몸의 여러 곳에 통증이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수면장애, 피로감, 만성 두통, 불안, 우울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섬유근통(M79.7)’ 진료환자는 2014년 기준으로 남성 2만3천명, 여성 5만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2배 이상 많았다건강보험에서 ‘섬유근통(M79.7)’ 진료에 지급된 총 진료비는 2009년 51억원에서 2014년 143억원으로 증가하여 연평균 23.0% 증가하였다. 【 2009~2014년 연도별 ‘섬유근통(M79.7)’ 진료현황 】(단위: 명, 천원, %)구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연평균 증가율(%)진료인원(명)41,00851,14064,09666,90670,23472,756100%12.2남성13,10915,72320,65521,34222,01523,22331.9%12.1여성27,89935,41743,44145,56448,21949,53368.1%12.2총진료비(천원)5,067,4807,078,
‘당뇨병’ 중 ‘제2형 당뇨병(인슐린-비의존형)’이 크게 증가(20.1%제1형 당뇨병(인슐린-의존형)’과 ‘영양실조-관련 당뇨병’은 감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이 ‘당뇨병(E10~E14)'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2014년 진료인원은 약 258만명, 진료비용은 약 7,354억원으로매년 각각 4.4%, 6.1%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령그룹별 진료인원은 증가인원 411,610명 중 40대 이상이 99.96%로, 이 중 70대 이상은 약 22만명이 증가하여 전체 증가인원의 절반(50.8%)을 차지하였다.‘당뇨병’ 중 ‘제2형 당뇨병(인슐린-비의존형)’이 크게 증가(20.1%)하고 있으며, ‘제1형 당뇨병(인슐린-의존형)’과 ‘영양실조-관련 당뇨병’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당뇨병‘의 진료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2010년 약 217만명에서 2014년 약 258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41만명(19.0%)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4.4%의 증가율을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며, 안정떨림, 경직, 운동완만(운동느림)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인 파킨슨병 2014년진료인원은 8만 4,771명으로 성별로는 남자 39.2%, 여자 60.8%로 여자가 약 20% 이상 많았다.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90% 이상을 차지하였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파킨슨병』의 건강보험 진료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확인된 수치이다.진료인원을 진료형태에 따라 구분하면, 최근 5년간 입원은 13.8%, 외래는 6.8%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의 입원‧외래 진료인원 증가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 입원: 2010년 12,973명 → 2014년 21,772명, 연평균 증가율 13.8% - 외래: 2010년 58,046명 → 2014년 75,400명, 연평균 증가율 6.8% 연령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에서 연평균 증가율이 높았고 최근 5년간 입원의 경우 23.5%, 외래의 경우 15.0%의 증가율을 보였다. 진료인원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연평균 증가율입원12,97314,9
오십견과 증상의 구분 힘들어 석회성 힘줄염’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약 115억원에서 2014년 196억원으로 증가하였다.진료비의 최근 5년간 연평균증가율은 약 14.3%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2014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어깨 석회성 힘줄염(M75.3)’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0년 약 7만 명에서 2014년 10만 명으로 증가하여, 최근 5년 동안 연평균증가율은 10.3%였다.남성과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10.1%, 10.3%로 비슷하였으나, 진료인원(2014년도 기준)은 여성이 70,593명으로 남성 33,345명보다 2.1배 많았다.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김성훈 교수는 “어깨의 석회성 힘줄염은 매우 극심한 통증이 갑자기 발현되는 것이 특징적인 증상인데,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아직 연구된 바는 없으나 스포츠 인구의 증가로 인한 어깨 관절의 과도한 사용이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또한 초음파와 같은 진단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과거 단순 방사선 검사상 진단하지 못하였던 작은 크기의 석회까지 발견이 가능해졌다는 점도 증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노년성 백내장’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9년 77만5,004명에서 2014년 90만 5,975명으로 매년 3.2%씩 증가하였다. 이 기간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09년 3,556억원에서 2014년 3,899억원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1.9%로 나타났고,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09년 1,594명에서 2014년 1,801명으로 매년 2.5% 증가세를 보였다. 【 2009~2014년 ‘노년성 백내장(H25)’ 건강보험 진료현황 】 (단위 : 명, 억원, %)구 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연평균 증가율진료인원775,004823,691862,964846,808871,239905,9753.2%총진료비3,5563,8864,0613,6503,5813,8991.9%10만명당 진료인원1,5941,6841,7501,7051,7431,8012.5%‘노년성 백내장’ 진료인원을 성별로 나누어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 2009~2014년 ‘노년성 백내장(H25)’ 진료인원의 성별 분포 】(단위 : 명, %)구 분2009년2010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