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폐암 환자는 2006년 4만3천명에서 2010년 5만5천명으로 약 1만2천명 증가하여 연평균 6.4%증가율을 보였다.2010년도 폐암환자는 총 5만5천명으로 이중 남성이 69.4%차지하여 여성30.6% 보다 2.3배 많았다, 60세이상은 4만명으로 74.1%를 차지하고 있다.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흡연이 주요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폐암”(Lung Cancer),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폐쇄성 혈전 혈관염”(Buerger's Disease, 이하 버거씨병)”에 대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근 5년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전체 암의 약 30%가 흡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폐암의 경우, 약 90%가 흡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Peto 등, 1994)매년 평균 4만8천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이들이 5년간 받은 진료비 총액은 약 1조5천억원에 달하고 있다. 구 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진료인원(명)계42,970
1. 폐암에 대하여 ○ 폐암이란? - 폐암이란 폐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크게 원발성과 전이성으로 나뉜다. 원발성 폐암이란 기관지, 세(細)기관지, 페포 등 폐를 구성하는 조직에서 발생한 것으로 흔히 말하는 폐암은 이를 가리킨다. ○ 폐암의 위험인자- 폐암은 대부분 후천적 유전자 이상 때문에 발생하며 선천적 유전적 이상에 의한 경우는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폐암의 강력한 위험 요인은 흡연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 외에는 석면과 같은 직업성 발암물질, 라돈과 같은 환경방사능, 폐섬유화증 같은 기존 폐질환 등이 원인이 된다. ○ 폐암의 발병기전- 흡연을 통해 폐 속으로 들어온 발암물질은 이에 노출된 세포에 유전자 이상을 초래한다. 세포의 복구 능력에 따라 정상으로 돌아가기도 하지만 그러지 못할 경우엔 잘못된 유전정보 탓에 결국 암이 발생하게 된�
폭식증의 원인과 치료법이선구 교수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폭식증’이란(1) 지나치게 많은 음식을 단시간(약 2시간) 내에 빠른 속도로 먹는 폭식삽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고(2) 체중증가를 막기 위한 부적절한 보상행동(구토, 설사유도제인 하제사용, 지나친 운동)이 동반되며(3) 과식과 보상행동이 적어도 일주일에 두번 이상, 3주 이상 연속적으로 일어나고(4) 체증증가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이 있고 바디 이미지와 체중에 의해 자신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때 진단될 수 있다. ❍ ‘폭식증’의 원인생물학적 요인,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생물학적 요인으로 포만감과 관련된 세로토닌과 다행감을 느끼게 해 주는 엔돌핀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날씬함에 대한 사회의 기대
폭식증으로 인한 진료비 5년간 26% 증가2011년 폭식증진료환자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18배 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 www.nhic.or.kr)은 최근 5년간(2007~2011년) ‘폭식증(F502~F504)’ 진료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확인되었다.이에따르면 진료환자 인원은 2007년 2천102명에서 2011년 2천246명으로 5년새 6.85% 증가하였다. 구분20072008200920102011전체2,1021,8022,0322,2622,246남성100(4.8)91(5.0)93(4.6)112(4.9)119(5.3)여성2,002(95.2)1,711(95.0)1,939(95.4)2,150(95.1)2,127(94.7) 2011년 ‘폭식증’ 진료환자의 성별․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대부분의 진료환자들이 젊은 연령대에서 발생하였다.여성의 경우 20~40대 환자수가 전체 여성 환자의 대부분인 83%를 차지하였다. 특히 20대 여성은 전체 여성 환자수의 43.7%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남성은 여
2006년 서 2011까지 5년간 , 연평균 10.7% 증가40대 16,811명 50대 13,689명 30대 12,065명 60대 6,143명 순(順)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불안이 극도로 심해져 숨이 막히고 심장이 두근 거려 죽을 것만 같은 극심한 공포 증상을 보이는 질환인 공황장애 진료환자가 2006년 3만5천명에서 2011년 5만9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5년간 연평균 10.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공황장애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이에따르면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2006년 74명에서 2011년 119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연평균 9.9%)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공황장애질환 진료인원 추이구 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연평균 증가율(%)진료인원(명)계35,19542,04945,07348,12350,90958,55110.7 남성18,77121,92823,44324,92326,17829,2259.3 여성16,42420,12121,630
국민 6명 중 1명이 걸리는 축농증(만성 부비동염), 그 중 콧속에 물혹이 생긴 축농증은 숨을 쉬기 힘들 정도로 일상생활이 불편한데 이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 길이 열렸다. 서울의대 약리학교실 박종완 교수와 신현우 박사는 기초-임상 협동연구를 통해 축농증 환자에게 흔히 생기는 콧속 물혹의 생성 원인을 처음으로 밝혀냈다.물혹은 수술로 제거할 수 있으나 재발이 잦아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스테로이드 스프레이가 일시적으로 물혹의 증상을 완화시키지만, 부작용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물혹의 생성과정이 밝혀지지 않아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었다. 박종완 교수와 신현우 박사는 물혹이 있는 축농증 환자 33명과 물혹이 없는 축농증 환자17명의 콧속 점막 조직을 떼어 내어 물혹의 발생 원인을 조사하였다. 연구팀은 부비동염이 콧속(비강
60세까지 건선이 없으면 60세 이후 건선발병율 현저히 낮아져서울대병원 피부과 윤재일 교수팀,노령층 건선 임상 특징 연구노령층 건선 일반 건선 비해 발병 빈도, 가족력 낮게 나타나..60세 이후 처음 발병하는 건선은 보통의 건선(20~50대에 처음 발병)에 비해 발병 빈도와 중증도, 가족력이 낮고 임상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되었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윤재일 교수팀(권혁훈, 권인호)이 60세 이상에서 처음 발병한 건선의 빈도와 특징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피부과의 유명 국제지(SCI): International J of Dermatology 2012년 1월호에 게재되었다.연구팀은 1983년 4월부터 2010년 1월까지 27년 간 서울대학교병원 건선클리닉에 내원한 40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건선이 처음 발생한 나이별로 30세 미만 발병의 조기 건선 (early onset), 30세 이상에서 60세 미만에 생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6~2010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내향성손발톱(L60.0)’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155,171명에서 2010년 184,693명으로 5년간 약 3만명이 증가하여 19.0%증가세를 보이며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총진료비는 2006년 99억6천만원에서 2010년 125억1천만원으로 5년간 25.6%증가하여 약 25억원 늘었고, 연평균 6.0%라는 증가율을 보였다 내향성손발톱을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을 시 본인부담률은 약 30%였으며, 2010년 기준 환자 1인당 평균 본인부담금은 약 21,000원으로 나타났다.내향성손발톱은 남성이 매년 약 47.5~48.5%, 여성이 약 51.5~52.5%의 점유율을 보여 여성이 다소 많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향성손발톱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10대가26.9%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이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보건교사회(회장 한미란)와 ’12. 2. 17(금)공동주최하는『2012년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체계 활성화 방안 마련 워크샵』을 통헤 “초·중·고등학교에서 많이 발생하는 학교 감염병은 감기, 수두, 결막염 등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하였다.2011년도 학교감염병 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분석한 결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흔한 감염병은 감기로 학생 1,000명당 53.13명이 발생하였고, 다음으로는 수두(9.07명), 결막염(5.76명), 폐렴(2.11명), 유행성이하선염(2.01명) 순으로 발생하였다.감기·수두는 초등학교·특수학교에서, 뇌막염은 초등학교에서, 결막염은 중학교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유행성이하선염·폐렴은 특수학교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계절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감기·수두는 11월, 유행성이하선염·뇌막염은 6월, 결막염은
위염질환으로 진료환자가 2006년 447만명에서 2010년 541만명으로 최근 5년동안 연평균 4.9% 증가하였다.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2006년 9,428명에서 2010년 11,058명으로 연평균 4.1%늘었다 위염은 위의 안쪽 벽을 덮어 위산이나 음식물로부터 위를 보호하는 위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병.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 위염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에따르면 2010년 기준 연령별․성별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남성 8,493명, 여성 13,66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1.6배 많았다. 남성은 70대가 18,416명으로 가장 많았고, 80대 이상 16,459명 , 60대 15,073명 , 50대 11,116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여성도 70대가 21,615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20,983명 , 50대 18,034명 ,80대 이상 15,704명 순(順)으이었다.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여
위염이란? 위염은 일반적으로 위 점막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말하며, 크게 급성 위염과 만성 위염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위염의 경우 내시경에서 발적, 미란, 홍반등의 소견이 보이며 조직 검사에서 급성 점막 염증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위 점막 손상의 원인으로는 술, 아스피린, 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등의 복용과 스트레스, 외상, 수술 등을 들을 수 있다. 만성 위염은 내시경적으로는 다양한 소견을 보이며 무증상의 경우가 많고 자각증상이 다양하여 임상 증상과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위염의 증가 원인 스트레스의 증가와 과도한 음주 등이 증가원인이 되며, 고령화에 따른 심혈관계질환의 증가로 아스피린 복용의 증가, 골격계질환의 증가로 인한 소염진통제 복용 등이 증가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염의 증상 내시경상 위염의 진단일 경우는 대부분 �
발톱 둥글게 깎기등 잘못된 생활습관 주된 발생원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6~2010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내향성손발톱(L60.0)’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155,171명에서 2010년 184,693명으로 5년간 약 3만명이 증가하여 19.0%증가세를 보이며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6년 99억6천만원에서 2010년 125억1천만원으로 5년간 25.6%증가하여 약 25억원 늘었고, 연평균 6.0%라는 증가율을 보였다내향성손발톱을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을 시 본인부담률은 약 30%였으며, 2010년 기준 환자 1인당 평균 본인부담금은 약 21,000원으로 나타났다. 내향성손발톱은 남성이 매년 약 47.5~48.5%, 여성이 약 51.5~52.5%의 점유율을 보여 여성이 다소 많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향성손발톱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