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 진료인원이 2009년 약 71만 6천명에서 2013년 약 65만 9천명으로 5년간 약 5만 7천명(-7.9%)이 감소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2.0%로 나타났다.만성폐쇄성폐질환 총진료비는 2009년 약 1,365억원에서 2013년 약 1,520억원으로 5년간 약 155억원(11.3%)이 증가하였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 자료를 이용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J42~J44)’에 대해 분석한 결과,확인되었다표1. 만성폐쇄성폐질환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구 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진료인원(명)계715,604 670,946 687,378 735,936 658,791 남361,613 348,742 359,264 386,126 353,586 여353,991 322,204 328,114 349,810 305,205 총진료비(천원)계136,547,089 137,002,790 142,952,268 155,197,762 152,041,872 남88,462,595 91,444,108 95,756,746 103,642,132 10
피부 건조증도움말 : 고려대 구로병원 피부과 건선클리닉 송해준 교수 피부 자극 피하고 꾸준한 수분공급 등 피부 보습 필수증상악화시 피부과 전문의 찾아 적극적으로 치료 받아야건조주의보가 이어지는 매년 이맘때만 되면 괴로운 이들이 있다. 바로 피부건조증과 건선환자들이다. 춥고 건조한 날씨에 정강이부위부터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더니 견딜 수 없이 가렵다. 참지 못한 나머지 계속 긁다보면 어느새 피도 나고 흉터까지 생긴다. 긁지 않으려 애써봐도 자는 중에 자신도 모르게 손이 가 여기저기 상처가 생겨있기 일쑤다. 연고를 발라봐도 잠시뿐 하루 종일 가려움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 또한 만만치 않다.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피부질환인 피부건조증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난다. 나이가 들어가면 점점 피부에서 피지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는 데, 이때 피부표면에 있어야 할 기름 보호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피부는 수분을 잃게 된다. 또한 날씨가 추어지면 대기가 건조하게 되고, 과도한 난방, 뜨거운 물에 잦은 목욕, 과도한 비누와 때수건의 사용 등도 피부건조증 악화에 주요 원인이 된다. 피부건조증의 증상은 종아리, 허벅지 등 다리부위와 팔에 먼저 나타나기 시작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직무대리 박병태)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포함하는‘소화성궤양'의 진료인원은 2009년 251만2천명에서 2013년 206만8천명으로 17.8% 감소(연평균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013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70대 이상이 인구 10만명당 1만1,893명으로 가장 많고, 60대(9,458명), 80대(8,331명) 순(順)으로 나타나 노령인구층에서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연도별 진료인원 추이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총 진료인원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20대와 30대 연령층에서 감소율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대와 60대에서 감소율이 둔화되다가(각각 연평균 2.0%, 4.2% 감소), 70대 이상에서는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연평균 2.5% 증가).젊은 연령층에서 소화성궤양 환자가 감소하고 노인층에서 소화성궤양 환자가 여전히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전한호 교수는 “소화성궤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Helicobacter pylori(헬리
우울 증상 감소위해 운동 및 활발한 신체 활동 적극 권장. 우울증 진료인원이 2009년 약 55만 6천명에서 2013년 약 66만 5천명으로 5년간 19.6%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4.6%로 나타났다.총진료비는 2009년 약 2,135억원에서 2013년 약 2,714억원으로 5년간 약 579억원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6.2%를 보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이다.표1. 우울증(F32~F33)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구 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진료인원(명)계555,528 579,151 601,432 662,565 664,616 남169,180 176,819 185,952 206,552 208,756 여386,348 402,332 415,480 456,013 455,860 총진료비(천원)계213,539,958 233,237,546 243,629,804 259,173,064 271,404,894 남67,668,756 75,595,588 81,602,112 88,723,86
흔히 '디스크'로 불리고 있는 '추간판 장애(추간판 탈출증)'는 척추뼈 마디 사이에서 쿠션같이 완충작용을 해주는 디스크 조직(추간판)이 잘못된 자세나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해 밖으로 밀려나오며 발생하는 질환이다.'디스크'는 척추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목(경추)과 허리(요추)부분에서 대부분 발생한다.'디스크'의 흔한 증상은 허리의 경우 허리통증 및 발·다리의 방사통 등이 있으며, 목의 경우는 뒷목 및 팔·손의 방사통 등이 나타난다.밀려나온 디스크 조직이 주위의 신경근을 자극, 압박하게 되어 팔, 다리의 저림이 나타나게 되는데, 밀려난 부위가 크고 중앙에 위치하면 드물게 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가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디스크’에 대해 분석한 결과,진료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눈다래끼'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8년 148만 6천명에서 2013년 172만 9천명으로 연평균 3.1%씩 증가하였다.2013년 한 해 진료인원은 남성이 71만 1천명으로 전체의 41.1%, 여성은 101만 8천명으로 전체의 58.9%를 차지,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10대(34만명, 19.7%)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0대(30만 5천명, 17.6%), 20대(30만명, 17.3%) 순(順)이었으며, 20대 이하가 전체 진료인원의 49.3%를 차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눈다래끼는 세균 감염에 의한 질환이기 때문에 젊은 연령층이 상대적으로 야외활동이 많고, 그로 인한 개인위생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세균에 감염돼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하여 ‘기관지 확장증(J47, Bronchiectasis)’에 대해 분석한 결과,진료인원은 2009년 약 7만 5천명에서 2012년 약 8만 1천명으로 증가하였으나, 2013년에는 약 5천명 감소하여 약 7만 5천명인 것으로 나타났다.총진료비는 2009년 약 175억원에서 2013년 약 193억원으로 5년간 약 17억원(9.9%)이 증가하여, 연평균 2.4%증가율을 보였다.최근 5년간 '기관지 확장증’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41.1%~42.4%, 여성이 57.6%~58.9%로 여성 진료인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지 확장증은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나 타인을 의식하는 여성의 강한 성향이 객담 배출을 기피한 결과 여성 점유율을 높인 것으로 추측된다.'기관지 확장증’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틱장애 5명 중 4명은 20세 미만인 소아·청소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해 ‘틱장애’(Tic disorders)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1만6000명에서 2013년 1만7000명으로 5년간 약 1000명(7.8%)이 증가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9%로 나타났다.총진료비는 2009년 약 37억원에서 2013년 약 59억원으로 5년간 약 22억원(58.9%)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2.3%로 나타났다.최근 5년간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77.9%~78.8%, 여성은 21.2%~22.1%로 남성 진료인원이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진료인원은 2012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틱장애‘의 주요발생 연령층인 20대 미만 건강보험 적용인구의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추측된다.연령별(1
전음성 및 감각신경성 난청 환자 중 45%는 60대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전음성 및 감각신경성 난청(H90)’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22만 2천명에서 2013년 28만 2천명으로 연평균 4.8%씩 증가하였다.이중 남성은 지난 2008년 10만6000명에서 지난해 13만2000명으로 24.1% 증가했고 여성은 11만6000명에서 15만명으로 2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에서 50대까지 난청 환자를 분석해보면 여성 환자가 남성에 비해 21.8%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10대 이하, 60대 이상 난청환자는 남성이 여성보다 각각 15.5%, 14.7% 많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 난청환자는 12만5475명으로 전체 환자 대비 44.5%를 차지했다. 그 뒤로 50대가 4만8031명으로 17.1%, 40대가 3만2508명으로 11.5%를 기록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2013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생산액은 1조 4,820억원으로 ’2012년(1조 4,091억원)에 비해 5% 증가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지난해 성장은 새로운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개별인정형‘ 제품으로 전년대비 29% 증가했다. 개별인정형이란 고시된 품목 이외에 안전성, 기능성을 개별로 인정받은 원료로 제조한 건강기능식품(백수오등복합추출물, 당귀혼합추출물 등)이다. 이어 유산균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을 가진 건강기능식품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 전년대비 55% 증가하였다.수출은 754억원으로 ’12년(584억원)보다 29% 증가했으며, 수입도 3,854억원으로 ’12년(3,532억원)보다 9% 증가하였다.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국내외 경기침체에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기능성을 찾는 다양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14년 상반기 제네릭의약품 개발을 위한 생물학적동등성(이하 ‘생동성’)시험계획 승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승인건수는 총 76건이라고 밝혔다.최근 연도별 상반기 생동성시험계획 승인 건수는 ’11년(114건), ’12년(108건), ’13년(79건), ‘14년(76건)으로 `11년 이후 생동성시험계획 승인건수 감소는 공동 생동성시험 허용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올해 상반기 승인된 생동성시험의 주요 특징은 ▲정신신경계의약품 증가 ▲오리지널의약품의 제형 변경 등 새로운 패턴 의약품의 개발 ▲재심사 또는 특허 만료예정 의약품 개발 집중 등이다.치료영역별로는 정신신경계의약품 선두치료영역별 승인건수는 정신신경계의약품 25건(32.9%), 심혈관계의약품 20건(26.3%), 비뇨생식기계의약품 11건(14.5%) 등의 순서로 많았다.현대 사회 스트레스 증가 및 고�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된다는 예보에 걱정이 앞서는 사람들이 있다. 비가 오면 무릎이 쑤시고 아프기 때문이다. 장마철에 무릎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관절 내부의 압력은 외부의 영향을 받는다. 장마철 같은 저기압 환경에서 관절 내부의 압력은 높아진다. 압력을 받은 관절막이 팽창되고 근육이나 힘줄이 늘어나면서 통증을 유발한다.관절 손상 정도가 클수록 통증도 심하기 때문에 비오는 날 유독 무릎이 아프다면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두 질환은 아픈 부위나 통증의 느낌, 발생 연령대가 비슷하지만 원인이 달라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도 차이가 있다.퇴행성 관절염은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다. 관절은 많이 쓸수록 관절을 구성하는 연골이 손상되고 힘줄은 약해진다. 그 결과, 관절의 균형이 깨지면서 손상이 일어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