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치매관리에 관한 사업을 시행하고 지원함으로써 치매를 예방하고 치매환자에게 적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보건복지부는 지난 6월 29일 국회 전체회의에서 의결된 「치매관리법」이 7월 26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8월 4일 공포된다고 밝혔다. 시행일은 2012년 2월 5일이다.치매관리법은 치매의 예방 및 치매관리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시행하여 치매로 인한 개인적 고통과 피해,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국민건강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이 법의 주요 내용을 보면 1)국가치매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5년마다 치매관리종합계획 수립 2) 치매의 예방과 치료․관리를 위한 연구사업, 치매검진사업, 의료비 지원사업, 등록통계사업 등의 실시 3) 치매에 관한 전문적 연구․치매관리사업의 지�
보건복지부는,「제2기 심뇌혈관질환종합대책(‘11∼’15년)」을 수립하여 심근경색증의 30일이내 원내 사망률을 9.6%(’07)에서 8.7%(‘15) 낮춰 ’20년까지는 OECD평균인 7.7%로 낮추고 뇌졸중의 경우에는 7.3%(‘08)에서 6.9%로 낮춰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최소화하기로 하였다.이번 2기 대책은, 1기 대책(’06∼‘10년)을 보완‧개선하여 첫째, 만성질환 정보 제공 및 실천적 교육을 통해 인식개선 및 행동변화를 유도(1차예방)하고 보건소, 의원 간 협력을 통한 지역 중심 만성질환 관리체계를 통하여 고혈압, 당뇨 등 선행질환 지속치료율(최소 80% 이상 제대로 투약한 비율)을 높이고(2차예방)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중증질환 진료역량을 제고(3차 예방) 하는 것이다.보건복지부는 이를 위해첫째, ‘건강예보제’를 도입하여 심뇌혈관질환 등에 대한 정보를 일정�
보건복지부(장관:진수희)는,암정복계획 중간평가 결과 당초 목표를초과 달성함에 따라 국가암관리위원회(위원장:최원영 복지부 차관)심의를 거쳐,2015년 책목표를 암생존율* 67%(당초 목표54%)로 상향,암사망율인구10만당88명(당초94명)으로 조정하고 이를 위해 암예방인지율과암검진 수검률을 높이고 항암신약개발을 적극 지원하는 등대책을강화하며 향후 매년 추진 상황을 점검 평가할 계획이다.※암생존율:암치료 후5년간 생존할 확률,사실상 완치율을 의미함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원장:이진수)는,‘06년 수립된 제2기 계획에 대한중간평가 결과,정책목표를 포함한 다수의 지표가 개선되었으며이는 첫째,지속적 암관리정책의 추진,둘째,의료기술 발전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구체적으로 정책목표인 암생존율(%)은50.8(‘05)에서 59.5(’08)로17.1%상승하였고,암사망�
간‧폐‧위‧대장암 등 말기암 환자들이 국민연금장애연금을 조기에수급할 수있는 길이 열렸다.보건복지부(장관 진수희)는 악성신생물(고형암)말기 환자에 대해 초진일로부터6개월 경과시점에 장애등급을 판정하고,판정 결과,장애1급에 해당되고향후 호전가능성이 없다고 인정될경우에는 그 시점부터국민연금 장애연금을지급할수 있도록「국민연금 장애심사규정」을 개정하여2011년8월1일부터시행한다고 밝혔다.고형암이란?일정한경도와 형태를 지니고 있는 암으로 악성종양을 말하며간‧폐‧위‧대장암 등이 해당,백혈병 등 혈액암은 제외된다이에 따라 연간약470명이 월 평균54만원 정도의 장애연금을 수급할수 있을것으로 전망된다.그동안 악성신생물(고형암)에 대한 장애는 별도의 장애심사기준없이 국민연금 장애심사규정 상‘복부․골반장기의 장애’에포함�
1. 간암 환자의 간이식 대기 중 간부전 상태에서 투여된 알부민주 인정여부 ■ 청구내역○ 상병 : 간세포 암종, 델타 병원체가 없는 만성 바이러스 B형 간염, 복수○ 입원일수 : 46일 (2010.2.11.~ 3.28.)○ 주요청구내역- 주사료: 알부민주20%(사람혈청알부민) 1*11 - 방사선 진단 및 치료료: 자664나 혈관색전술-기타혈관 1*1 ■ 진료내역○ 퇴원요약지1999년 간경화 진단2009.2.24. 타병원 경과관찰 중 CT에서 4.7cm HCC(Hepato-Cellular Cacinoma) 병변 발견2009.5.26. ~ 6.30. TACE(간동맥화학색전술) #1 ~ TACE #22010.2.11. adm for TACE #3 ○ 치료 및 경과2010.02.14. 2/12 TACE#3 시행 후 LFT 상승(T-bil 6.0, AST/ALT 341/192) 2010.02.24. Bilirubin 상승 지속 2010.03.05. Bilirubin, AST/ALT 지속적으로 상승 2010.03.06. 고빌리루빈혈증 지속되어 Liver CT 시행뚜렷한 폐쇄성 황달 원인은 찾을 수 없음. 간부전 진행 때문이라고 생각됨.2010.03.25. Bil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