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건강/연수강좌

여름철에 늘어나는 `요로감염' 예방하려면

물놀이 후 젖은 수영복 오래 입고 있으면 습한 환경에서 세균 번식으로 감염 위험성 높다
예방위해 물 놀이 후 마른 속옷 입기와 잦은 수분섭취, 위생관리 등 일상 속 작은 실천 중요하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비뇨의학과 전병조 교수

여름철 물놀이 시즌을 앞두고 있는 요즘, 안전사고만큼이나 요로감염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요로감염은 소변을 생성하는 콩팥(신장)에서부터 소변이 몸 밖으로 나오는 요도에 이르기까지, 소변이 지나는 '요로'에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물놀이 후 젖은 수영복을 오래 입고 있으면 습한 환경에서 세균 번식을 부추겨 감염 위험성이 높아진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비뇨의학과 전병조 교수는 “젖은 수영복 자체가 원인균을 제공하진 않지만, 세균이 침투하고 증식하기 쉬운 조건을 만들기 때문에 감염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요로감염 환자는 여름철에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여러 환경적·생 리적·생활습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전 병조 교수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에는 땀이 많이 나면서 체내 수분이 줄어들고, 덩달아 소변량이 감소한다. 결국 소변량이 줄면 요로 내 세균이 씻겨 나가지 않고 오래 머물러 증식할 우려가 커진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 국내 약 113만 명의 건강보험 표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름철 기온이 20% 상승할 때 요로감염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위험이 전체 표본 인구에서 6%, 여성에서는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로감염은 감염 부위에 따라 하부, 상부 요로감염으로 분류된다. 소변이 모이는 방광과, 소변이 몸 밖으로 배출되는 통로인 요도에 생긴 감염을 하부 요로감염이라고 한다. 주로 방광염이 이에 해당하며 하부 요로감염이 생기면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거나, 가만히 있을 때 아랫배 또는 하부 골반에 뻐근한 통증이 동반될 수 있다.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빈뇨, 소변 후 시원하지 않은 잔뇨감도 주요 증상이다.

 

상부 요로감염은 소변을 만드는 콩팥과, 소변이 방광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요관에 생기는 감염이다. 상부 요로감염이 생기면 발열과 메스꺼움 등 전신 증상이 동반되고, 중증 감염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요로감염에 비해 치료 기간이 길다. 신장과 신우에 생기는 신우신염이 상부 요로감염에 해당된다.

 

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대장균이다. 주로 자신의 장에 있던 대장균이 요도로 침입해 발생한다. 부적절한 회음부 청결 등 위생 습관의 문제, 소변을 자주 참는 습관 등이 주요 원인이다. 또 여성은 요도 길이가 짧고 항문과 가까워 대장균의 침입이 쉬운데, 성관계 이후 요도로 세균이 유입돼 감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간접적인 원인으로는 젖은 수영복을 오래 입는 등,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환경을 만드는 행동이 꼽힌다.

 

요로감염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다.

소변검사로 감염 여부와 원인균을 확인하고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해 치료한다.

 

전 교수는 “항생제는 처방받은 기간만큼 꼭 복용하고, 증상이 사라졌다고 중단하면 재발하거나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 “요로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여름철 물놀이 후 마른 속옷으로 갈아입는 것은 물론, 잦은 수분 섭취와 위생관리, 배변 후 앞에서 뒤로 닦기, 성관계 후 배뇨 등 일상 속 작은 실천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여름철 요로감염을 예방하려면, 물놀이 후 마른 속옷으로 갈아입어

세균이 증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AI 생성 그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