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3D 프린팅 기술-나노광촉매 기술 융합 ‘다기능 생체지지체' 개발

골재생과 감염 예방, 지혈, 면역 반응 조절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플랫폼 제시
외상성 손상 및 암 수술 후 골 재건 등 다양한 정형외과 임상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임기택 교수 연구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스마트팜융합바이오시스템공학과 임기택 교수 연구팀이 3D 프린팅 기술과 나노광촉매 소재를 융합한 ‘다기능 생체지지체(bio-scaffold)’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가천대학교 김종성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됐으며, 외상성 골결손 치료에서 골재생과 감염 예방, 지혈, 면역 반응 조절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플랫폼을 제시했다.

임기택 교수팀은 가시광선에 반응하는 고산화 이차원 그래핀 질화탄소(Ox-gCN)를 알긴산/젤라틴 기반 수화젤(Alginate/Gelatin hydrogel)에 혼합해 3D 프린팅 복합체 생체지지체를 제작했다.
 

     ▲ 임 기택 교수

 

해당 지지체는 ▲3분 이내 혈액 응고 유도 ▲10분 내 세균 95% 사멸 ▲줄기세포 유래 골세포 분화 촉진 ▲대식세포의 항염증성 M2형 전환 유도 등 외상 후 골조직 회복에 필요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특히, ‘사람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hBMSCs)’의 성장과 골세포 분화를 유도하고,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한 항염증성 M2 형태로의 전환을 촉진해 골 면역환경(osteoimmune microenvironment)을 최적화했으며, 가시광선 조사 시 생성되는 ROS(활성산소종)를 활용해 항생제 없이도 병원성 세균(E. coli, S. epidermidis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항균력을 입증했다.

임기택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골이식재가 가지지 못한 다기능성과 정밀 제어 능력을 동시에 구현한 사례로, 향후 외상성 손상 및 암 수술 후 골 재건 등 다양한 정형외과 임상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광활성 나노소재를 활용한 스마트 치료 플랫폼 기술을 통해 출혈, 감염, 염증까지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골이식재 개발을 통해 향후 전임상 연구를 거쳐 실제 임상 적용을 목표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Biomaterials’(IF 12.8, JCR 상위 3%, JCI 상위 2%) 2025년 5월호에 게재됐으며,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산림과학연구소의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ㅇ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