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은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속 노폐물을 거르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맞추며, 적혈구 생성이나 비타민D 활성도 담당한다. 신장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고, 점차 기능을 잃는 경향이 있어 예방과 조기 발견·치료가 중요하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장내과 이경호 교수와 다양한 신장 질환과 신장 건강을 지키는 생활 습관을 알아본다. 이경호 교수는 “신장 질환은 초기에 증상이 없어 ‘침묵의 장기’라고 부른다. 증상이 나타났을 땐 이미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커 증상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증상은 ▲소변량 감소 ▲잦은 소변 ▲배뇨통 ▲잔뇨감 ▲혈뇨·농뇨·단백뇨 ▲무력감 ▲식욕 저하·구토·설사 ▲전신 부종 ▲옆구리 심한 통증 ▲고혈압 등이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에서 신장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 이 경호 교수 소변량이 감소하고, 손·발등 부종, 구토·설사 등이 발생하면 신장 기능이 수일, 수주 이내 급격히 나빠지는 ‘급성 신부전’일 수 있다. 감염, 탈수, 독성물질·약물 복용, 소변 배출이 막히는 경우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3개월 이상 지
과거에는 비만을 체형쯤으로 여겼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야기가 좀 다르다. 2000년대 접어들면서 비만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 보건복지부가 2020년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만 19세 이상 비만 유병률이 무려 38.3%로 나타났다. 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비만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 수가 2017년 1만 5천여 명에서 2021년 3만여 명, 즉 4년 만에 2배로 늘었다. 전 세계적으로도 건강 악화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비만’에 대해 대전을지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이준철 교수에게 물었다. Q1. 비만은 증상인가, 질환인가? 비만은 증상이 아니라 질환이다. 물론 뚱뚱한 체형이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이나 숨찬 증상, 관절통 등을 유발하는 정도에서 그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이러한 증상들로 인해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고, 심장질환, 뇌졸중, 암, 제2형 당뇨병 등 각종 심각한 질환들의 원인으로 작용해 사망률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은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질환이 생기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비만도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
심부전(心不全ㆍcardiac failure)은 심장 기능이 저하돼 혈액을 온몸으로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부전이 발병하면 5년 내 60~70%가 사망에 이르기에 ‘심장 질환의 종착역’이라고 부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심부전 환자는 2017년 12만3,000여 명에서 2021년 15만7,000여명으로 4년 새 27% 늘었다. 같은 기간 다른 심장 질환인 협심증이 9% 정도 증가한 것에 비하면 심부전은 3배 정도 빠른 속도로 늘어난 셈이다. 그러나 심부전에 대한 국민 인지도는 여전히 낮다. 한국노바티스가 심부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 40~69세 남녀를 대상으로 질환 인식 조사를 시행했을 때 58.5%가 심부전을 모른다고 답했다. 김경수 강남베드로병원 원장(심장내과 전문의)은 “지방간ㆍ이상지질혈증ㆍ고혈압ㆍ당뇨병을 현대사회 4대 질환이라고 부르는데, 이 네 개 질환이 모두 합병증으로 심부전을 일으킨다”며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심부전 환자가 점점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심부전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호흡곤란이다. 폐에 혈액이 고이는 폐부종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움직이고 있을 때만 숨이 찬다. 그러나 시간이
충북대학교병원(병원장 최영석) 신경외과 박영석(49) 교수가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열린 대한감마나이프방사선수술학회(KGKS, 이하 감마나이프학회)에서 제21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올해 11월부터 내년 11월까지 1년간이다.감마나이프학회는 2002년 창립되어, 신경외과, 방사선종양학과, 의학물리사, 방사선사및 간호사 등 방사선수술 장비를 운용하는 의료진 및 전문가 140여 명의 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날 곤지암 리조트에서 열린 학회는 200여명 안팎의 관련 전문가가 참석하여 코로나이후 위축된 이래로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날 박영석 교수와 함께 부회장으로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김세혁 교수가 선출되었다. 박영석 교수는 지난해 부회장직을 1년 역임한 바 있다. 감마나이프는 뇌종양, 뇌동정맥기형 등의 뇌혈관질환과 이상운동질환, 삼차신경통 등의 난치성 뇌질환을 주로 치료하는 혁명적인 치료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높은 기술력과 정밀도를 요구하여 의학, 물리 등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박영석 교수는 취임사에서 “고통받는 환자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감마나이프학회장으로서 학회 발전 및 회원 간의 활발한 학문활동과 학회 국제화를 위해
평소에 멀쩡하던 사람도 하루아침에 갑자기 사망할 수 있는 ‘심근경색’,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요즘과 같은 날씨에는 특히 발병 위험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기온과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면 기온이 1도 가량 떨어질 때 수축기 혈압이 1.3mmHg, 이완기 혈압이 0.6mmHg 올라간다고 한다. 실제로 월별 심근경색 환자 수를 살펴보면 다른 때보다 기온이 내려가는 10월에서 다음해 1월까지 환자 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 김찬준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김찬준 교수는 “겨울이 막 시작할 즈음 심근경색 환자수가 갑작스레 늘어나는 것은 아무래도 차가운 날씨에 혈관이 수축하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열을 밖으로 발산하지 않기 위해 몸이 수축되면 자연스레 혈압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심혈관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이유로 막히게 돼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때 발생한다. 평소에는 잘 다니던 자동차의 연료관이 막히게 되면 연료의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결국에는 핵심부품인 엔진이 고장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심혈관질환에는 크게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근경색과 협심증은 심장동맥의 동맥경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피부과 조미연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피부과 노미령 교수팀이 켈로이드 치료 시 주사 방법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통증 감소와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켈로이드는 피부에 흉터가 생긴 이후 발생하는 만성적인 질환으로, 단단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수술로 제거해도 수술 부위가 오히려 크게 부풀거나 재발할 수 있다. 증상만을 일시적으로 나아지도록 하는 기존의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또는 레이저 치료만으로는 치료 효과가 미미해 켈로이드 치료를 위해 대학병원에 내원하는 환자가 많다. ▲ 조 미연 교수 ▲ 노 미령 교수 ▲터널링 주사 요법은 딱딱해진 조직에 주삿바늘을 이용해 터널을 만들어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딱딱해진 조직을 부드럽게 하고 약물이 고루 퍼지도록 한다. 조미연 교수팀은 기존의 치료에서 주사하는 방법만을 바꾸는 ‘터널링’ 주사가 켈로이드 치료 시 통증 감소와 치료 결과 측면에서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터널링은 켈로이드 치료 시 딱딱해진 조직을 부드럽게 하고 약물이 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강남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한
정부가 코로나19(COVID-19) 겨울철 재유행을 공식화 한 가운데 BA.4/5 대응 개량백신의 접종이 시작됐다. 독감이 코로나19보다 치명률이 현저히 낮지만 백신 접종률은 코로나19를 압도하고 있는 것은 당국이 풀어야할 숙제로 꼽힌다. 방역당국은 동절기 추가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고령층 접종 편의성을 높이는 등 접종률 제고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1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부터 화이자 오미크론 BA.4/5 변이 대응 개량백신이 예약 및 당일접종을 시작한다. 지난달 27일 사전예약을 시작한 품목으로, 앞서 접종에 투입된 화이자와 모더나 BA.1 기반 백신 대비 BA.5 변이 예방능력이 2.6배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60세 이상 동절기 추가 접종률은 인구 대비 10.3%, 대상자 대비 11.6%에 불과하다. 11월1주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가운데 60세 이상 비중이 86.8%, 95.1%인 점을 감안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유행 본격화 속 좀처럼 오르지 않은 접종률에 전문가 역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국내 코로나 사망자는 올해 2만7000명 정도로 추정
암을 예방하는 첫 걸음은 역시 술을 멀리하는 것이었다. 금주를 하기 어렵다면 마시는 술의 양이라도 줄여야 암 예방에 도움이 됐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유정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통계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년과 2011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았던 40세 이상 성인 남녀 451만 3746명의 건강검진 이력을 토대로 음주량의 변화에 따라 암 발병 위험도 달라진다고 미국 의사협회의 학술지인 ‘자마 네크워크(JAMA Network)’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하루 음주량에 따라 비음주군, 저위험음주군(15g 미만), 중위험음주군(15-30g), 고위험음주군(30g 이상)으로 나누고, 음주량의 변화가 암 발병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분석했다. 알코올 15g이면 대개 시중 판매 상품을 기준으로 대략 맥주 375ml 1캔 또는 소주 1잔 반에 해당하는 양이다.그 결과 평소 술을 마시지 않던 사람이 술을 마시기 시작하면 알코올 관련 암 발병 위험도 덩달아 커졌다. 알코올 관련 암은 구강암을 비롯해 식도암, 인후두암, 간암, 직장암, 유방암 등 알코올과 암 사이 인과관계가 밝혀진 암들을 말한다. 앞서 검사에서 비
국내 연구진이 확장성 소세포폐암에 대해 화학요법과 면역요법을 결합한 치료를 시행했을 시 ‘진단 시 폐기능 상태’가 치료성적의 주요 인자임을 확인했다. 소세포성 폐암은 새로 진단된 폐암의 13~15%를 차지한다. 비세포성 폐암에 비해 공격적이고 증식속도가 빠르며 예후가 상대적으로 불량하다. 또한 암이 좀 더 진행된 확장성 병기의 소세포성 폐암은 제한성 병기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약 30년간 항암 화학요법인 백금 기반 항암치료 외에 특별한 치료방안이 없었던 확장성 병기 소세포성 폐암에서 최근 백금기반 항암제와 면역 항암제를 결합한 치료가 국내에 도입, 1차 치료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여러 임상 3상 연구에서 기 여의도성모병원 임정욱 교수 존 치료 보다 우월한 치료 성적이 증명되었으나, 아직 국내 치료 성적 데이터는 부족한 상태로, 치료 성적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호흡기폐암센터 임정욱 교수 연구팀은 백금기반 항암제와 면역항암제 조합 치료를 받은 확장성 소세포성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 항암부작용 및 예후 인자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7개 병원(여의도, 서울, 의정부, 부천, 은평, 성빈센트, 인
2021년 기준 ‘당뇨병’의 생애주기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3,564,059명) 중 중년기가 48.7%(1,736,651명)로 가장 많았고, 노년기(65세 이상)가 46.6%(1,661,757명)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중년기가 55.0%(1,091,887명)로 가장 높았고, 여성의 경우에는 노년기가 55.2%(870,265명), 중년기가 40.9%(644,764명)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은 ‘세계 당뇨병의 날(11.14.)’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당뇨병(E10~E14)’의 생애주기별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진료인원은 2017년 2,866,540명에서 2021년 3,564,059명으로 697,519명(24.3%)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5.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7년 1,573,647명에서 2021년 1,986,267명으로 26.2%(412,620명)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7년 1,292,893명에서 2021년 1,577,792명으로 22.0% (284,899명)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김지원 교수는 중·노년기 환자가
동북아시아, 한국인에게 많은 위암은 모든 암 중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위점막은 음식물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우리가 먹는 음식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가천대 길병원 소화기내과 김경오 교수는 위암의 원인이 되는 습식관 개선,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등 같은 일차예방뿐 아니라 조기 발견 같은 이차예방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암은 위점막에서 발생하는 만성위축성위염, 장상피화생, 선종의 단계를 거쳐서 생겨난다. 위암의 원인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보통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다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위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 김 경오 교수 또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식습관, 흡연 등이 있으며 흡연의 경우 위암의 발생률을 1.5배에서 2.5배 가량 증가시킨다. 만성위축성위염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위점막은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 속 각종 발암물질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발암물질로는 나이트로소아민(nitrosoamine), 나이트로소 아마이드(nitrosoamide), 이종환식아민(heterocyclic amine) 등이 있다. 염분은 식습관 중 위암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고농도의 염분은 위점막
동아쏘시오그룹은 올해 창립 90주년을 맞아 향후 100년 기업으로서 필요한 지속 가능한 성장의 토대 구축과 사업경쟁력 강화, 신사업 촉진을 위해 핵심 인물들을 발탁하는 임원 승진 인사를 11월1일자로 단행했다. 1. 승진 ◇동아쏘시오홀딩스 △상무 감사실장 오무환 △상무보 HR혁신실장 이형석 △상무보 경영기획실장 조민우 ◇동아제약 △부회장 최호진 △대표이사 사장 백상환 △상무보이사 경영지원실장 최용훈 △상무보 커뮤니케이션실장 김용운 △상무보 생활건강사업부장 차태웅 ◇동아ST △전무 법무실장 김형헌 △상무 임상개발실장 방미영 ◇용마로지스 △부회장 금중식 △대표이사 사장 이종철 △상무이사 경영관리본부장 박상순 △상무 영업본부 TPL영업1팀장 박성진 ◇DA인포메이션 △대표이사 사장 이성근 △상무보 IT전략담당 조성민 ◇동아오츠카 △전무 영업본부장 최석암 △상무보 경영관리본부 경영지원실장 박재영 ◇에스티팜 △전무이사 생산본부장 겸 공정기술실장 장순기 △전무 mRNA사업개발실장 겸 바이오텍연구소장 양주성 ◇아벤종합건설 △상무 건설사업부장 박태규 △상무 사업개발실장 최동호 ◇동천수 △상무보 생산본부장 이성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