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일반적으로 관상동맥에 스텐트 삽입시술을 받은 환자에서 1년에 대략 15%, 5년까지 약 25%에서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외과적 시술이나 수술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스텐트와 함께 항응고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의 10% 가까이에서 매년 외과적인 처치를 받아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술 또는 수술과 관련해서 출혈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의 투여중단과 관련된 주제는 현실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출혈위험을 지나치게 의식한 나머지 항혈소판이나 항응고제를 너무 오래 중단할 경우, 스텐트 혈전증, 급성심근경색증, 급성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이 올라갈 수 있고, 반면에 이러한 약제를 너무 길게 유지하면 주요 출혈합병증, 혈 및 관련된 사망률 등이증가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혈전과 출혈위험의 균형을 결정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위험 요소들도 고려해야 하나, 어떤 유형의 외과적 시술이나 수술인지,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 출혈성 합병증과 관련될 지를 우선적으로 생각해 보아야 한다. 현실적으로 임상에서 이 문제와 관련되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겪고 있는 상황은치과 치료시의 발치, 검진에서 시행하는 내시경, 흔히 시행되
허혈성 심장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 문진을 통해 전형적인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인지 파악한다. 두 번째, 전형적 가슴 통증 혹은 비전형적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심전도를 시행하여 ST 분절 상승 혹은 저하 및 T파 역전 발생 유무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가능성이 높은 환자는 심근 효소를 검사하여 불안정 협심증과 심근 경색증을 감별한다. 건강 보험 심사 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까지 우리나라 협심증 및 심근 경색증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슴 통증 발생 시 이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로 이어져 좋은 예후를 가져 올 수 있다. 협심증 및 심근 경색증의 정의 및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1. 환자가 가슴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을 때 우선 문진을 통해서 허혈성 심장 질환 가능성에 대해 평가해야 한다. (1) 가슴 통증 구분 가슴 통증은 크게 전형적 가슴 통증 (typical angina), 비전형적 가슴 통증 (atypicalchest pain) 및 비심인성 가슴 통증 (non cardiac chest pain) 으로 구분된다 . ① 흉골 아래 부위가 쥐어짜듯 아프
86세 여자 환자가 약 2년 전부터 시작된 요하지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환자는 양쪽 엉치가 빠져나갈 듯이 아프면서 우측 다리의 바깥쪽을 따라 저림증이 있었고 약 10 미터 밖에 걷지 못하는 증상을 호소하였다. 걷다가 쪼그리고 앉아서 쉬면 통증은 나아지고 다시 걷기 시작하면 통증이 악화되는 양상이었으며 통증의 강도는 시각 통증 등급 10점 만점에 10점이었다. 환자는 그 동안 여러 병원을 다니면서 치료를 받았으며 대부분의 병원에서 수술을 권유하였으나 수술은 절대 받지 않겠다고 거부하는 상황이었다. 신체 검사를 시행한 결과 하지 직거상 검사 (straight leg raising test)에서 음성 소견을 보였고, 패트릭씨 검사 (Patrick’s test)에서 음성 소견을 보였으며 겐슬렌씨 검사 (Genslen’s test)에서도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양쪽 하지의 대퇴 동맥, 슬하 동맥, 발등 동맥의 맥박은 정상이었고 심부 건 반사에서도 정상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우측 요추 4/5번, 요추5/천추1번 추간 관절에서 압통이 관찰되었고, 양측 중둔근 (Gluteus medius)에서 통증 유발점이 관찰되었다. 외래에서 시행한 요추 X-ray에서 요추
영화 ‘말아톤’, ‘레인맨’, ‘템플 그랜딘’, ‘내 이름은 칸’ 그리고 최근에 개봉한 ‘그것만이 내 세상’ 등의 영화에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주인공이 나온다. 영화속에서 이들은 때로 비범한 능력을 보이며 놀라움을 자아내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들과 확연하게 구분되는 말과 엉뚱한 행동으로 이목을 끌고 놀림을 받기 일쑤다. 그렇다면 현실에서는 어떨까? 자폐증은 보통 3세 이전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100명 중 2~3명에서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세계적으로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며, 이는진단 기준의 변화, 질환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사회적 인식 증가, 출산 연령의 고령화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증상은 보호자와의 애착행동이나 상호작용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것으로 “아이와 눈 맞춤이 잘 되지 않아요.”, “불러도 쳐다보지를 않아요.”, “혼자노는 것만 좋아해요.”, “말을 거의 하지 않아요.”, “감정이 별로 없어 보여요.” 등의 말을 하게 된다면 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게 하는 증상들이니 대수롭지 않아 하며 넘어가지 말고 다음의 내용을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임상적 특징 자폐스펙트럼장애(Auti
증례 신장 152cm 체중 62Kg 의 55세 여자 환자가 좌측 후두부 및 목 부위 통증을 주로 신경과에서 통증센터에 의뢰되어 내원하였다. 환자는 6개월 전 자동차 사고 이후 지속되는 좌측 뒷목과 동측 후두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사고 당시 경부 단순 방사선 검사상 경추 5번과 6번 사이, 6번과 7번 사이 디스크 공간이 약간 좁아져 있는 것 외에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고 사고 이후 외부 병원에서 촬영한cervical spine MRI에서도 X-ray에서 확인한 소견 이외에 특별한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사고 이후 4개월 동안, 외부 병원에서 Gabapentin(Neurontin® )daily 900mg, Celecoxib(Celebrex® ) 200mg, tramadol/acetaminophen 복합제제처방 받고 지속 복용하였으나 통증은 크게 호전되지 않은 상태였다. 또한, 2주 전부터 증상이 갑자기 악화 되어 본원 신경과를 방문 한 뒤 뇌혈관 병변 의심 하에 자기공명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음에도 특별한 이상 소견을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환자는 본원 신경과에서 후두신경통(occipital neuralgia) 의심 하에 통증센터로 의뢰
신장 179cm, 체중 100 kg의 28세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요통과 우측하지의 방사통을 주소로 본원 통증센터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우측 하지의 방사통으로 인해 보행이 불가능하였다. 앉거나 눕는 자세에서도 방사통은 지속되었으며서있을 때는 통증이 감소하는 듯 하나 1-2분 이상 서 있기 힘들다고 호소하였다. 방사통의 위치는 주로 우측 엉치에서 허벅지 외측과 정강이까지 뻗치는 양상이라고표현하였다. 내원 당시 통증의 강도는 숫자통증등급(numerical rating scale painscore, NRS pain score) 8-9/10점 이었다. 이학적 검사상, 우측 하지의 감각 이상은없었으나 발목의 배굴(dorsiflexion)의 운동 능력(motor grade)이 4(움직일 수 있으며 근육 수축도 있으나 저항을 이기지 못함)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상 제 4-5 요추사이 디스크 공간이 좁아 보이긴 하였으나 이상은 없었다. MRI상, 제 4-5 요추 추간판이 탈출되어 있었고 우측의 제 5번 척수신경근을 압박하였다(그림 1). 증상이 발생한 후, 3개월 간 진통소염제를 포함한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병행해 왔다고 하였으나 증상의 호전은 없는 상태였다.
최근 5년 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치주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707만 명에서 2016년에는 1천 107만 명으로 56.6%(400만 명) 증가하였다. 치주질환은 흔히 풍치라고도 하는데,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뉜다. 치주질환은 치은(잇몸)과 치아 사이의 틈 혹은 홈(Sulcus)의 아랫부분을 박테리아가 공격하여 치주인대와 인접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염증이 진행되어 더 많은 조직이 손상되면서 치주낭으로 발전하게 되고 치주낭이 깊어지면서 치주인대에 염증이 생기고 골소실이 일어나는 것이 치주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5년 간(2012~2016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중 ‘치주질환’ 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최근 5년 간 ‘치주질환’환자 연평균 12%씩 꾸준히 증가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12년 362만 명에서 2016년 555만 명으로 52.9%(192만 명)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2년 344만 명에서 2016년 552만 명으로 60.4%(207만 명) 증가하였다. 2016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
체내 활성산소가 간암을 악화시키는 핵심 요인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어 악성간암 치료법 개발과 치료제 개발에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영찬)은 서울대 정구흥 교수팀이 광주과기원 박성규 교수팀과 협동으로“악성 간암의 발달에 체내 활성산소가 주로 관여하는 현상을 밝혀냈으며, 더 나아가 악성간암 질병의 새로운 생물학적 매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는 호흡과정에서 몸속으로 들어간 산소가 각종 산화과정에 의해 변형된 유해산소. 환경오염, 화학물질, 자외선, 스트레스 등으로 과잉생산된 활성산소는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킨다. 간암은 전세계적으로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으며, 암사망률 2위로 생존률이 낮고 조기진단‧치료가 어려운 대표 질환이다. 한국은 암치료기술이 증가하면서 모든 암에서 선진국과 비슷한 암생존률을 보이고 있으나, 간암의 경우 국내 암질환 중에서도 여전히 생존률이 낮은 추세다. 연구팀은 활성산소가 간암발달에 주요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운 후 이를 증명하는 연구들을 십수년에 걸쳐 수행해 왔으며,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악성간암 발달이 촉진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메커니
COPD를 의심해야 하는 경우는 흡연력과 함께 운동성 호흡곤란이 있으면서 나이가 중년 이상인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COPD를 진단하기 위해서 폐활량측정법이 필요합니다. 폐활량측정법을 하여 FEV1/FVC<0.70이면 기류제한이 있다고 하고 기류제한을 보이는 질병은 COPD가 대표적이며 그 외 비조절 천식, 결핵성파괴폐, 기관지확장증 (일부) 등이 있습니다. COPD를 진단할 때 엄밀하게는 기관지확장제를 흡입한 후 폐활량측정법을 하여 기류제한 유무를 확인합니다. 1. 증상 평가 COPD 환자의 증상을 평가하는데, 다음 두 가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와 삶의 질을 평가합니다. 호흡곤란의 정도는 영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modifiedMedical Research Council Dyspnea Scale (mMRC 호흡곤란점수)을 이용하며 삶의 질은 COPD 평가검사 (COPD Assessment Test, CAT)을 이용합니다 (표 1). 1) 호흡곤란 평가 호흡곤란의 정도는 mMRC를 이용하여 평가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흡곤란점수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다른 도구(평가방법)를 이용한 검사결과와 비교적 일치하며 호흡곤란점수가 높을수록 예후가
2017년 난청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34만 9천 명으로 2012년 27만 7천 명에서 연평균 4.8%씩 증가하였다.‘ 난청’ 질환의 진료비는 추이를 살펴보면 2017년 445억 원으로 2012년 309억 원에서 136억 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7.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청 이란 어떠한 원인에 의해 청각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소리를 듣지 못하여, 언어 상태와 관련된 청각기관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뜻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12만 2천 명, 34.9%)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6만 5천 명, 18.7%), 50대(5만 2천 명, 14.9%) 순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입원의 진료비는 115억 원에서 139억 원으로 연평균 3.9% 증가하였고, 외래의 진료비는 194억 원에서 306억 원으로 연평균 9.5%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최현승 교수 70대 이상 노인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70대 이상의 난청 환자는 대부분 노인성 난청으로 연령의
I. 서론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흡연, 직업적 노출, 실내 오염, 감염 등에 의해서 기도와 폐 실질의 이상에 의해 발생해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기류제한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폐질환이다. 그동안 COPD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었고 고령에서 주로 발생하였기 때문에 치료해 봐야 효과가 없는 질환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 새로운 치료 방법이 개발되고 COPD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면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질환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다. COPD는 매우 흔한 질환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 경제적 영향을 미친다. COPD는 특성상 기관지 염증이 갑자기 나빠져서 기도 폐쇄가 심해지는 급성악화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COPD가 없는 정상인에 비해 심혈관 질환, 대사 증후군, 악성 종양 등의 동반질환이 매우 흔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COPD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예후를 나쁘게 한다. COPD의 특징인 비가역적 기류제한은 장기간에걸쳐 진행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오랜 기간에 걸쳐 유해인자 (대표적으로 흡연)에 노출된 경우에 발생하고 노화에의해서도 진행되므로 COPD는 노인에서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소아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행동장애로, 학령기 아동의 5-10%가 앓고 있으며,이는 천식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최근 ADHD를 과잉 치료한다는 기사와 간과되고 있다는 보도가 동시에 쏟아지는 상황에서 수 십 년간ADHD의 유병률이 갑작스럽게 증가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무엇보다 확실한 것은 보다 많은 의사와 학부모들이 ADHD의 증상에 친숙해졌으며 진단 기준이 개선되면서 실제 ADHD로 진단을 받는 아이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ADHD 와 관련된 잘못된 여러 추측과 논란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ADHD의 정의, 원인,최근의 과학적연구 결과에 따라 치료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 알아보자. ADHD 진단 ADHD는 심하게 움직이고 부산스러운 과잉행동, 집중력이 짧고 끈기가 없어 쉽게 싫증을 잘 내는 주의 산만함, 참을성이 적고 감정 변화가 많은 충동적 행동, 이러한 세 가지 주요 행동 특성을 갖는다. 12세 이전에 증상이 있으며, 정도가 심각하고 지속적이어서 아이의 일상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보통 ADHD는어려서부터 까다롭거나 과도하